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 출판의 세계화 전략

        노병성 한국출판학회 2002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4

        One of the most conspicuous features of the recent information period is that ideas of space and time are changing to an absolut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past analogue period. The movement of information by digital eliminated the physical space barrier that was thought to be the greatest obstacle to men and made it possible for information to reach the entire world simultaneously. Today's publication is a field that is extremely affected by this tendency. In the case of publications, the best-selling books in any country tend to be ones with global appeal and so does the sale period. Consumption of publication transfers from the level of one country to the level of world, and it tends to be without boundaries. This study focuses on what the Korean globalization plan is at the time when space/time barriers are eliminated and globalization is accelerated. The urgent thing that is necessary to fulfill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publications is to readjust the organization to activate a publishing business. This study admits that many globalization plans suggested by preceding researchers are important, and focuses on the fact that what is necessary is to readjust the organization. That is to say, the most important plan in case of the national parts among practicing plans in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publication is to readjust the organization. And to fulfill this plan, we need to establish a 'Korean Publication Committee'(tentative name) and a 'World(International) Publication Interchanging Center'(tentative name). In my own judgement, to avoid the worst result, we need to make a thorough study and readjust the system, and organize it according to the objective researches. Moreover, in the private aspect, open consciousness is essential in the globalization strategy. To accomplish globalization of the publishing business, individuals need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global citizens and the cultures of other countries. What is to be emphasized is the point that the way to survive the globalization is to be a creative specialist. All the works based on originality have competitive power in any place in the world, and this is really the very shortcut of globalization. In the aspect of enterprises, I studied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Publication Association and practical strategies separately, and then I examined the practical particulars of globalization and suggested directions. Among them, intensification of advertisement in the aspect of association is to be focused on. In the aspect of individual enterprises, the publishing company's turnover of management idea, surpassing the idea of nationality in the activity of publishing companies, the tactical coalition among enterprises, diverse demand and globalization, getting predominant position in the world, and intensification of advertisement for globalization are suggested as a globalization strategy. And above all, publishers have to change their idea of publ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y must recognize the idea of publication as below. In advance, publishers have to understand seven constituents: material, mode, medium, means, market, money and management, and recognize their correlation with the organic views.

      • KCI등재

        이덕무의 출판사상에 관한 연구 : 서적관을 중심으로

        노병성 한국출판학회 2019 한국출판학연구 Vol.45 No.6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이덕무의 출판사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의 출판사상 중 서적관을 중심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덕무의 저작인 『국역청장관전서』를 기본 텍스트로 하여 연구하였다. 고찰 결과 이덕무 서적관의 특징은 첫째, 이덕무는 당시의 간행문화에 대해 과감하게 비판했고, 저술이 확대되길 주장하였다. 둘째, 이덕무는 서적 제작의 실용성을 강조하여 보다 많은 책이 유통되고 읽힐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이덕무는 서적의 정밀함은 오로지 교서의 상태에 달려 있음을 말하였다. 그는 박흡·정민·침정·근려를 교정인의 자질로 보았다. 넷째, 이덕무는 반드시 저작자 표시를 할 것을 주장하였다. 다섯째, 이덕무는 표절이나 대필 등의 비도덕성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저술의 윤리성을 강조하였다. 여섯째, 이덕무는 소설책은 음탕하고 헛것을 내세우며 귀신을 논하는 책으로 보아서는 안 되는 책으로 여겼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이덕무의 저작에 나타난 출판사상을 검토함으로서 출판학의 외연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종교법인의 회계제도와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병성,이우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religious organization accounting system and tax system.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a real case of the accounting and tax aspects for religious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 standard accounting system reflecting uniqueness of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applying and adopting bookkeeping by double, modified accrual basis and external audit system as well as improving method of depreciation need to be considered to enhanc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Secondly, problems with religious organization tax system should be addressed in corporate tax law. For this, establishing precise classification system of business sections and business types for religious organizations, extending limitation of reserve fund for essential business, reducing interest dividends profits tax, tightening law of submission of materials for taxation, imposing additional duties to illegal activities or the donated property, simplifying current donation system and extending range of admit expense which is contributed are 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roblem with accounting and tax system and take a theoretical basis via case study for religious organiz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법인의 회계제도와 과세제도의 전반적인 현황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실제 종교법인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제기되어지고 있는 종교법인의 회계제도와 과세제도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종교법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통적인 회계기준 제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종교법인회계의 특성을 감안한 복식부기의 도입과 적용, 수정발생주의 회계의 적용, 외부감사제도의 도입, 감가상각 방법의 개선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법인세법상 종교법인 과세제도의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업구분기준의 명확화, 고유목적사업 준비금의 손금산입한도 확대, 이자․배당 소득의 비과세, 과세자료 제출의무를 강화 및 가산세 부과, 출연재산에 대한 증여세 과세여부, 현행의 기부금 제도의 단순화와 기부금의 비용인정 범위를 확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종교법인의 사례연구를 통해 회계제도와 과세제도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삼강행실도』에 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접근

        노병성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1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의 간행과 보급은, 유교를 중심으로 한 정치이념을 전파하고, 가정과 사회에서 이를 윤리 규범으로 실천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의 통치 질서와 기강을 확립하고자한 목적을 분명히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기에 '의도적(deliberate)'이고, '계획된(planned)' 커뮤니케이션 행위였다. 이러한 행위는 가정의 평화와 사회질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당시 사회구조를 왕정이라는 균형상태로 이끌 수 있어서 당시대의 '공중의 이익(public interest)'을 도모하였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의식과 윤리를 관리하고, 조선의 사회통합과 체제유지에 기여하는 '성과(performance)'를 낳았다. 『삼강행실도』를 널리 보급하고 이를 실천하는 가운데 왕실과 관료, 백성들 간에는 건의나 실천사례 등이 전달되어 비교적 원활한 '쌍방적 커뮤니케이션(two-way communication)'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삼강행실도』를 통한 정치이념의 홍보는 관료 및 백성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왕조관리라는 '경영기능(management function)'을 충실히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조 시대 정치이념 홍보를 위한 대표적 서적매체인 『삼강행실도』를 커뮤니케이션학적 측면에서 심층 분석한 결과, 현대 홍보이론에서 활용되는 수용자 중심의 메시지 구성 전략, 이중부호화이론, 정보의 2단계 흐름 등이 초보적인 수준일지는 몰라도 이미 조선시대에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Publishing and disseminating 『Sam-gang-hang-sil-do』 contributed to the diffusion of Yi Dynasty's confucianism-based political ideology and led the society and its households to adopt the Confucian ideas. While so doing, the Yi Dynasty ha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Dynasty's ruling order and achieving the social stability. For this reason, the Yi Dynasty's PR through 『Sam-gang-hang-sil-do』 was a 'deliberate' and 'planned' act.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led the Dynasty to the balanced and stable state by keeping each household peaceful and social order maintained, such an act can be regarded as representing, or serving, 'public interest.' In addition, the Dynasty could achieve the performance of managing a way of people's thinking and ethics, and of making social integration and stable political system possible. It seems that, in the Yi Dynasty there was 'two-way communication' because requests and exemplary cases flowed, one way or the other, among the Dynasty's royal family, government officials, and general people. And, doing political PR through 『Sam-gang-hang-sil-do』 performed successfully, to a certain extent, the management function by helping to manage the Dynasty through its communications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general people. In short, a deep analysis of 『Sam-gang-hang-sil-do』, one of the Yi Dynasty's exemplary books as PR medium, reveals that, in as early as the Yi Dynasty, those modern PR concepts, such as recipient-oriented message strategy and two-step flow of information, were already understood and applied even though they might have been immature as compared to those modern, more sophisticated on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