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 문제의 현황과 연구 동향

        남상구(Nam Sanggu)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1985년 나카소네 총리의 공식참배 이후 한일, 중일 간 외교현안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외교 과제다. 그리고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 약 21,000명이 무단으로 합사되었고 유족이 ‘2차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식민지 청산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야스쿠니신사와 관련하여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한국인 무단합사, 총리 참배, 새로운 국립 추도시설,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의 역사적 경위와 현황, 쟁점,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논리 전개의 편의를 위해 야스쿠니신사 문제를 4가지로 나누어 검토했으나 이 문제들은 서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고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야스쿠니신사와 일본 정부가 침략전쟁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에 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인 무단합사가 가능했던 것도 피해자가 아닌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일본 국가의 논리를 앞세웠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야스쿠니신사의 역사인식 문제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의 실태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제2의 가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근대국가가 앉고 있는 공적인 전사자 추도라는 보편적인 문제이기도 하지만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식민지와 침략전쟁 피해라는 일본만의 특수한 문제이기도 하다. 식민지 청산과 유족의 인권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Yasukuni Shrine issue has significance in two aspects. First, the issue is a diplomatic challenge for Korea. The Yasukuni Shrine issue has been a pending issu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since Nakasone Yasuhiro, the former prime minister of Japan, officially visited the shrine in 1985. Second, it is also a historical challenge to solve the remaining problem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re than 21,000 Korean people, who were forcibly mobilized by Japan, were enshrined in Yasukuni Shrine together with Japanese war criminals without any notice.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obilized Koreans insist upon receiving their ashes, but their requests have been ignored. The families are still suffer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I focus on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Yasukuni Shrine: 1) the enshrining of Koreans in Yasukuni Shrine; 2) the prime minister’s visit to the shrine; 3) the new national memorial facilities; and 4) the Japanese view of history. I presen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ch issue, controversies regarding each issue, results of earlier studies related to each issue, and tasks to be solved. Even though I dealt with the four issues separately in this paper for logical convenience, they are, in fact, closely relat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how Yasukuni Shrine and the Japanese government view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Enshrinement of Koreans in Yasukuni Shrine reflects Japan’s recognition of a history that justifies its war of invasion. Before criticizing Japan’s view of history, analysis of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should proceed further. The Yasukuni Shrine issue can be seen from two perspectives: honoring the fallen soldiers, and disregard for damag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We should focus on the second view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limin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human rights of the bereaved.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가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남상구 ( Nam¸ Sang Gu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翰林日本學 Vol.0 No.37

        일본 총리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비판하는 논리 중 하나는 동 신사가 침략전쟁을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의 전쟁으로 미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야스쿠니신사가 일본의 침략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는지는 관심을 끌지 못했다. 본고는 야스쿠니신사 부속 전시관인 유슈칸 전시와 동 신사가 1960년부터 전사자의 유서나 편지 등을 소개한 사두게시(社頭揭示)를 소재로 하여, 야스쿠니신사의 전쟁기억 방식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 야스쿠니신사는 한 가족의 아버지이자 아들이, 사랑하는 가족과 위기에 처한 조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했다는 논리로 일본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있다. 침략전쟁을 인정하는 것은 이들의 희생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전쟁기억을 극대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된 것이 자살특공대인 특별공격대였다. 그런데 특별공격대를 강조하면 할수록 일본이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의 전쟁을 했다는 주장이 들어설 틈은 사라진다. 일본의 전쟁을 자위자존을 위한 전쟁으로 정당화하는 것과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전쟁으로 미화하는 것은 야스쿠니신사 전시에서는 양립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One of the reasons for criticizing the Japanese Prime Minister’s visit to Yasukuni Shrine is the fact that the shrine glorifies the war of aggression as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However, the way the Yasukuni Shrine remembered the Japanese aggression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Yasukuni Shrine remembers the war with a focus on Yūshūkan, a Japanese military and war museum located within Yasukuni Shrine and Sadugesi, a bulletin board where the shrine has posted fallen soldiers’ wills and letters since 1960. Yasukuni Shrine justifies Japan’s war of aggression with a logic that the father and son of many families sacrificed themselves to protect their loved ones and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Yet, to recognize such aggressive war is to deny their sacrifice. Meanwhile, the Special Attack Units or suicide units were actively utilized to maximize this war memory. However, the more emphasis placed on the Special Attack Units would inevitably lead to weaker grounds for claiming that Japan fought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Justification of the war as one for self-defense and self-esteem and glorification of the war as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cannot be compatible in the exhibition of Yasukuni Shr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