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2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 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ed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S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s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등재
      • KCI등재

        ‘타자의 고통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언론의 역할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이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타자와의 윤리적 관점에서 그 의미지평을 확장하고, 이를 토대로 언론의 존재론적 당위는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무한경쟁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연민의 위기’ 시대에,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당위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언론의 실천적 이념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이러한 물음에는 세월호 참사와 촛불혁명이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여기에 이론적 실마리를 제공한 게 김상봉의 철학적 사유개념인 ‘서로주체성’이다. 타자의 고통에 응답함으로써 나와 타자는 ‘우리’로 고양된다는 게 서로주체성의 이념이다. 서로주체성은 타인에 대한 설득을 이념으로 한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한 반성과 재구성을 요구한다. 언론의 세월호 보도에서 언론이 현실적 힘인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에 철저히 예속돼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표피적 인과관계이고 더 본질적인 원인은 언론의 존재당위에 관한 이념 부재에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논의다. 커뮤니케이션 개념 혹은 언론의 존재 이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촉구하는 이 연구는 언론개혁을 앞두고 언론의 존재이유에 대한 새로운 담론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aper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be critically reflected in an ethical view of others. In an age of ‘crisis of pity’ what is true communication? How shoul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be reshaped? These questions were entirely derived from both the sinking of Sewol ferry disaster and the candlelit revolution. The concept of ‘allelo(to each other in English)-subjectivity.’ which was moulded by Sang-bong Kim, a distinguished philosopher of Korea, helped solving the problematic of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The idea of allelo-subjectivity consists in elevating both I and the other to be ‘we’ by responding to the other’s suffering, spurring us to critically reflect the traditional persuasion-oriented concept of communica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orming an alternative discourse on why the media should exist.

      • KCI우수등재

        칸트의『판단력비판』으로부터 커뮤니케이션의 본원적 의미에 대한 성찰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6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human communication inevitably assuming inter-subjectivity extends to social solidarity’ based on Kant’s explanation about ‘how can judgement of taste accomplish its universal delivery?’. The judgement of taste fits the idea of communication in that it comes true when its emotional element is in harmony with understanding by which the things are objectively recognized. In Kant’s book, Critic of Judgement, his view of aesthetic judgement was applied to the essential concepts of communication. Firstly, taste is relevant to singular judgement that requires purely subjective judgement by individual. This implies that a reflective mechanism works and opens to others’ view of point while each idea and opinion is freely expressed. Secondly, the universality of aesthetic judgement relies on judge’s disinterestedness. This assumes that communication is to be based on equality and impartiality among people. Thirdly, we communicate each other on the ground of ‘common sense’, which makes communication occur. Communication, accordingly, is not the result of conceptual or definitive judgement.

      • KCI우수등재
      • 방송시장 구조의 변화와 텔레비전의 상업성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편성전략을 중심으로

        남궁협 東新大學校 1997 論文集 Vol.9 No.-

        Korea is now entering into a multi-channel era. We can watch cable TV with 32 channels ill addition to existing terrestrial television. Also, It will not be long before satellite television will broadcast its regular programmes via KoreaSat, which was launched in 1955. Therefore, this represents the fact that not only the number of broadcast channels have increased, but the content of programmes which will be served in the channels will be so diverse. In this circumstance terrestrial networks should bear the competition against new media, which is expected to act differently from what they have never seen. As a result, networks are now faced with the circumstance they must stage a 'war of eyeball' for appropriating limited viewing time budget and inelastic number of viewers. For both broadcasters and policymakers, programming is not only the strategic point for meeting changing environment of marketplace but start line for broadcast policy to streamline audience welfare. Programming is essential for survival which an organism of network is adapting itself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cting as a role of guideline reflecting audience's needs. However, networks have regarded programming as strategic behavior, not but as temporary measures. The fact is that networks have made such inactive posture as displacing low-rating programmes against rival broadcasters rattler than exerting effort to analyzing the changing audience's needs. In a multi-channel era networks should hold differentiation, competitiveness, variousness and acceptability in programm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strategies networks should choose and how much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udience welfare in responding to the marketplace shaped newly. Particularly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roblem of commercialization of broadcasting industry with reference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 structure and the programm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