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산화염소(ClO2) 키트를 이용한 식품 저장시설의 훈증효과 검증

        나자현,여상헌,김병일,천용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이산화염소(ClO2) 키트를 이용한 식품 저장시설에서의 훈증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하여 저장해충들에 대한 훈증효과를 검증하였다. ㈜농심의 원주, 강릉, 안동, 순천, 광주, 전주, 제주물류센터에서 화랑곡나방 유충, 성충, 어리쌀바구미성충, 거짓쌀도둑거저리 성충, 수시렁이류 유충을 대상으로 이산화염소 훈증효과를 조사한 결과, 원주의 경우 처리구에서 3일째 화랑곡나방 성충과 수시렁이 유충 생존률이 0%였으며, 강릉도 각각 13.33, 16.6%로 낮게 나타났다.안동에서는 무처리구에서 화랑곡나방 유충과 성충의 7일째 생존률이 32, 23.33%, 처리구는 10.34, 0%, 화랑곡나방성충과 어리쌀바구미 성충의 경우 순천 처리구에서 8일째 모두 0%였으며, 광주 처리구에서는 각각 8일, 9일째0%, 전주 처리구에서도 각각 9일, 8일째 0%로 무처리구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7곳의 물류센터에서 이산화염소처리구에서 대상해충들의 생존률이 낮게 조사되어 이산화염소의 방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제분 시설에서의 화랑곡나방(Lepidoptera: Pyralidae)의 고온 방제

        나자현,류문일,Na Ja Hyun,Ryoo Mun I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1

        고온 처리를 통한 화랑곡나방의 방제효과를 검토하기위하여 제분시설 공간을 $60^{\circ}C$ 이상으로 가온하여 3시간이상을 유지한 후 충태별 사망률(${\pm}$표준오차)을 조사하였다. 가열 처리 후 시설 공간내의 온도는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여 $60^{\circ}C$ 이상이 유지된 시간이 주변부에서는 3시간, 중앙부에서는 11시간이었다. 화랑곡나방의 고온에 대한 내성은 충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충의 경우 가장 작아 처리 위치에 관계없이 $100\%$의 사망률을 보였고, 알이 가장커서 위치에 따라 $91.40{\pm}0.93{\sim}98.80{\pm}0.20\%$를 보였다. 유충의 사망률은 $96.00{\pm}0.67{\sim}100\%$의 범위에 있었다. $60^{\circ}C$ 이상의 온도가 11시간 이상 유지된 위치에서도 알의 사망률은 $100\%$에 이르지 않아 보다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소규모 제분시설에서의 가열방제에 대해 간략히 논의하였다. In a flour milling facility, control ability of superheating effect on Indian meal moth population was teated. Thirty adults, thirty larvae and 100 eggs were placed in a paper bag ($10{\times}20cm$) containing 100 g flour and were exposed to the temperature higher than $60^{\circ}C$ for longer than 3 hours. Mortality of the Indian meal moth (${\pm}standard error$) varied with the developmental stage; mortality (${\pm}standard error$) of egg, larvae and adult were in the range of $91.40{\pm}0.93{\sim}98.80{\pm}0.20\%,\;96.00{\pm}0.67{\sim}100\%$) and $100\%$, respectively. The position of paper bag caused differences in temperature and its exposure time to the moth during the experiment, consequently. The mortality of mo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bag position. Exposure of the paper bag to the temperature of higher than $60^{\circ}C$ for longer than 11 hours was not sufficient to kill all the eggs.

      • KCI등재

        Suppression of Indian Meal Moth (Lepidoptera : Pyralidae) by Iterative Mass Release of Bracon hebetor (Hymenoptera : Braconidae) in Wheat Elevators

        나자현,천용식,류문일,Na, Ja-Hyun,Chun, Yong-Shik,Ryoo, Mun-Il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3

        대용량 밀 저장 엘리베이터(직경 8 m, 높이 41 m)에서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u}bner$))의 유충기생봉, Bracon hebetor Say, 방사를 통한 화랑곡나방 개체군의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2002 년 7월 23일부터 일주 간격으로 총 50,000 마리의 기생봉을 방사하였던 바 화랑곡나방 성충의 밀도 수준이 방사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비해서 30%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Biological control of Indian meat moth (Plodia interpunctella ($H\"{u}bner$)) by iterative mass release of its larval parasitoid, Bracon hebetor Say, was tested in a large wheat elevator (diameter 8 m, height 41 m) containing 6,000 t of wheat. Adult parasitoids were released seven times from July 23 to September 3, 2002. The number of parasitoid adults per release time varied from 3,000 to 10,000 so that the total number released was 50,000. The moth population density in the parasitoid-released elevator was maintained at a level of ${\approx}30%$ compared to the moth population in untreated elevators.

      • 방충포장 제조용 천연 기피활성물질 조사와 화랑곡나방과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기피효과

        나자현,여상헌,천용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방충포장 제조용 친환경 기피물질 조사와 적용 가능성 검증을 위하여 식물에서 발현되는 2차대사물질을 함유하는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용, 약용식물 선정을 위한 후보군 84종을 조사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저장해충에 방충 및 기피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몇 종의 한약재를 선발한 후 추출물을 이용, 대표적 저장해충인 화랑곡나방과 어리쌀바구 미에 대한 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대상해충에 대한 기피효과의 적합한 분석을 위하여 기피물질 후보군의 추출방법과 물질농축도 등을 다르게 하여 한약재로부터 물질을 추출한 후 기피물질을 확보하였으며, 기피효과 시험은 여지확산법 을 이용하였다. 선정된 기피물질에 대한 기피효과는 화랑곡나방에서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어리쌀바구미에서는 7.1~69.3%의 기피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물질이라 하여도 해충 종에 따라 기피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 KCI등재

        온도가 화랑곡나방(나비목:명나방과)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나자현,류문일 한국응용곤충학회 199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7 No.2

        현미(Sativa oryzae L., 품종 일품)에서의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stella H)의 발육과 생명표와 통계량을 다섯상이한 온도 조건(17, 20, 25, 28, $35\pm$$0.5^{\circ}C$ )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에 대한 발육반응은 성 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사 온도범위에서 나방의 발육일수와 성충 수명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짧아져서 $17^{\circ}C$에서 각각 $149.9\pm$30.4일과 $38.1\pm$5.6일이었고 $32^{\circ}C$에서 각각 $19.4\pm$5.1일과 $6.9\pm$2.0일이었다. 우화율도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져서 $17^{\circ}C$에서 $13.0\pm$6.2%였고 $32^{\circ}C$에서 $49.2\pm$25.6%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부화율은 $25^{\circ}C$에서 $73.8\pm$5.3%로 정점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여 $25^{\circ}C$를 경계로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부화가 저해되었다. 암컷 당 산란수는 17SIM 28$^{\circ}C$의범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2^{\circ}C$에서는 유의하게 적어서 산란수와 부화율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암컷을 산란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화 2일후로 집중되었다. 순증가율은 $28^{\circ}C$에서 가장 높았고 $25^{\circ}C$와 $20^{\circ}C$의순으로 낮아졌으나 내적 자연증가율은$ 32^{\circ}C$에서 가장 높아 일당 0.065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빠른, 높은 우화율, 산란의 우화초기집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Development and life table statistics of 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Hiibner)on brown rice (Sativa oryzae L., var 'Ilpum' ) were tested under five different temperatures (17, 20, 25,28 and 3 2 f 0.5"C). The developmental response of females to the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lydifferent from that of males. In the tested temperature range, developmental period and life span of adultmoth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ranged from 149.9f30.4 to 38.1 k5.6 days and from19.4f 5.1 to 6.9k2.0 days at 17$^{\circ}$C and 32"C, respectively. Emergence rate increased with the increaseof temperature and ranged from 13.0f 6.2% at 17$^{\circ}$C to 49.2f 25.9% at 32$^{\circ}$C. However, hatching ratecurve in relation to the temperature was dome shape with the peak of 73.8 k5.37~a t 25"C, suggesting thathatching is inhibited by high temperature above that temperature.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femalesconcentrated their oviposition on the second day after emergenc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7 SIM 25"C, the number of eggs laid per female were not related to the temperature and ranged from 133.4f 37.6to 154.3k57.4. But the number of eggs laid per female decreased at 32$^{\circ}$C which suggests closerelationship with hatching ability. The net reproduction rate was highest at 28$^{\circ}$C and followed by those at25$^{\circ}$C and 20$^{\circ}$C. However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of the moth population on brown rice wasestimated to be highest at 32$^{\circ}$C (0.065 per day), probably due to the short developmental period, highemergence rate and the concentrated oviposition of females on earlier days of the emergence.ition of females on earlier days of the emergence.

      • 식품제조기업에서 발생하는 곤충 이물 클레임 발생 양상

        나자현,여상헌,천용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식품제조회사의 곤충이물 관련 클레임 분석을 위하여 2013년 2월~2015년 2월까지 식품제조기업의 곤충이물 관련 클레임 211건을 조사, 분석하였다. 제품유형 별로 면류(봉지면, 컵면)의 경우 179건을 분석한 결과 제품의 유통과정과 소비자의 소비 단계에서 59.2%가 발생하였으며 해충의 발생유형은 치사성충 41.3%, 치사유충이 26.3%로 나타났다. 해충유형은 산림, 경작해충 39.7%, 저장해충이 19.6%였으며, 나비목과 딱정벌레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저장해충의 경우 화랑곡나방, 권연벌레, 수시렁이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충 클레임의 경우 제품의 유통, 보관 중 포장지 천공, 실링불량, 파손으로 인한 오염과 소비자 사용 중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제품 내부로의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여 식품이물 저감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6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비(16053실용연556)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관건저장해충 화랑곡나방 Plodia interpunctella (Lepidoptera: Pyralidae)의 생태 특성과 방제 방안

        나자현 고려대학교 2008 생명자원연구 Vol.16 No.-

        화랑곡나방(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Hubner))은 전세계적으로 곡물 식품원료, 식품가공품의 저장 및 생산과정에서 발견되는 관건해충으로 광범위한 가해범위와 식품의 양적 질적 피해뿐만 아니라 식품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의 저하를 야기하는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저장해충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랑곡나방의 환경조건에 따른 산란 발육, 분포 등의 생태적 행동적 특성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위한 고전적 방제방법뿐만 아니라 최근 시도되고 있는 새로운 방제방법에 대해요약하였다.

      • KCI등재

        고농도 탄산가스 충전에 의한 식품 해충 방제: 거짓쌀도둑거저리와 화랑곡나방의 살충효과에 미치는 노출시간과 식품포장 재질의 영향

        나자현,남영우,류문일,천용식,Na, Ja-Hyun,Nam, Young-Woo,Ryoo, Mun-Il,Chun, Yong-Shi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고농도 탄산가스 충전을 통한 식품 해충 방제에서 식품 포장재질과 노출시간이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식품포장 재질은 3겹크라프트지(KKK), 2겹 크라프트-1겹 라미네이트 코팅지(KLK), 2겹크라프트-1겹 HD 코팅지였다(KHK). 탄산가스 농도가 85% 로 충전된 실험구(직경 1.2 m)에 투입 하루 후각 재질의 봉투($9.8{\times}9.8cm$) 내 탄산가스 농도는 KKK($26.67{\pm}0.58%$)에서 다른 재질 봉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망률은 KKK 재질의 봉투에서 다른 재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실제 식품보관 창고($9{\times}4{\times}3m$)에서 대형 포대(20 kg)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포장재질의 영향은 화랑곡나방 보다 내성이 강한 거짓쌀도둑거저리에서 두드러졌다. 화랑곡나방과 거짓쌀도둑거저리의 사충률은 누적 농도시간 (${\int}_{0}^{t}c{\times}tdc{\approx}{\sum}$농도${\times}$시간)에 회귀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탄산가스 충전에 의한 방제효과를 식품포장 재질, 식품의 종류, 누적농도시간과 연관하여 고찰하였다. Effects of three packing materials and exposure time on the mortality of Plodia interpunctella and Tribolium castaneum were studied using $CO_{2}-modified$ atmosphere control. Materials used were triple layered craft paper (KKK), triple layered craft paper with one laminate coating layer (KLK), and triple layered craft paper with one HD film coating layer (KHK). In the test balls (${\phi}1.2\;m$) containing 85% $CO_{2}-modified$ atmosphere, concentration of $CO_{2}$ in small packing envelopes ($9.8{\times}9.8cm$) made of the materials after one day was higher in KKK ($26.67{\pm}0.58%$) than KLK ($23.33{\pm}0.58%$) or KHK ($20.67{\pm}0.58%$). Both P. interpunctella and T. castaneum showed higher mortality in KKK than in either KLK or KHK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by larger space ($9{\times}4{\times}3m$) and packing volume (20 kg) studies. The effect of the packing materials was clearer on T. castaneum more tolerant to $CO_{2}$ than P. interpunctella. Regression of the insect mortality on cumulative concentration time (${\int}_{0}^{t}c{\times}tdc{\approx}{\sum}concentration{\times}time$) was highly significant. Control of P. interpunctella and T. castaneum by $CO_{2}-modified$ atmospher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acking materials, cumulative concentration time of $CO_{2}$ and food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