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눈꺼풀테 분리와 병행한 속눈썹 회전 봉합술을 이용한 광범위 속눈썹증 교정

        나미리(Miri Na),박태성(Taeseong Park),이경욱(Kyeongwook Lee)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2

        목적: 광범위한 속눈썹증을 교정하기 위해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도 간편화된 과정으로 시행한 눈꺼풀테 분리와 병행한 속눈썹 회전 봉합술의 임상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눈꺼풀이나 눈꺼풀테 이상이 동반되지 않고 눈꺼풀테 범위 1/3 이상의 병변을 가진 광범위 속눈썹증 환자를 대상으로 눈꺼풀테 분리와 병행한 속눈썹 회전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그들 중 최소 추적기간이 6개월 이상인 환자 21명 31안의 의무기록을후향적으로 조사하고, 12개월 이후 추적관찰을 하지 않은 이들은 연구 시점에서 유선상으로 재발여부를 재평가하였다. 수술 성공의기준은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안구표면에 속눈썹이 닿지 않고 미용적 측면에서 보통이상의 만족을 얻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남자 2명(3안), 여자 19명(28안)이었고 평균 연령은 54.5 ± 18.3세(19.2-82.4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5.3± 5.6개월(10-35개월)이었다. 수술 후 모든 환자에서 안구 표면 자극 증상은 소실되었고 속눈썹 전기분해술 등 추가적 시술이 필요한정도의 재발은 3안으로 수술 성공률은 90.3%였다. 결론: 간편화된 눈꺼풀테 분리와 병행한 속눈썹 회전 봉합술은 눈꺼풀테 범위 1/3 이상의 병변을 가진 광범위 속눈썹증 환자에게 간단하면서도 합병증이 없고 교정효과 및 미용적 만족도가 우수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we introduced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yelid margin splitting combined with cilia rotation suture performed in simplified steps resulting in minimized complications in diffuse trichiasi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on 31 eyelids of 21 patients with diffuse trichiasis. The patients had trichiasis of more than 1/3 of eyelid margin and received eyelid margin splitting combined with cilia rotation suture at our hospital. The patients did not have eyelid or lid margin abnormalities and were followed up more than 6 months after surgical correction. A telephone survey of the surgical outcomes including cosmetic satisfaction and recurrence was conducted in patients who did not visit at postoperative 12 months. Success was defined as complete resolution of symptoms and acceptable cosmesis at final visit. 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2 males (3 eyes) and 19 females (28 eyes) with an average age of 54.5 ± 18.3 years (range, 19.2‒ 82.4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3 ± 5.6 months (range, 10‒35 months). Cornea or conjunctiva irritation symptoms by misdirected eyelash were resolved in all eyelids; 3 eyelids with recurred trichiasis required additional electrolysis to remove irritating cilia resulting in an overall success rate of 90.3%. Conclusions: For patients with diffuse trichiasis, an eyelid margin splitting combined with cilia rotation suture performed in simplified surgical steps showed excellent results resolving irritating symptoms with very low recurrence rate and high cosmetic satisfaction

      • KCI등재

        라식수술에서 발생한 유리절편을 절편회전술로 치료한 1예

        나미리(Miri Na),정성근(Sung Kun Chung),박규홍(Kyu Hong Pak),최진석(Jin Seok Choi)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5

        목적: 레이저각막절삭가공성형술(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중 발생한 유리절편으로 인해 생긴 불규칙난시를 절편회전술로 치료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1세 여자 환자의 라식수술 중 의도치 않게 우안 유리절편이 발생하였다. 절편의 표시가 지워진 상태여서 임의의 위치에 놓은 후 수술을 종료하였다. 술 후 3개월째 우안 난시는 -3.00D, 좌안 난시는 -0.75D로, 우안 나안시력은 0.4, 좌안 나안시력은 1.0이 었다. 기존의 위치로 돌리기 위해 각막형태검사를 분석하여 절편회전술을 시행하여 불규칙난시를 치료해 우안 나안시력 1.0으로 호전 되었다. 결론: 라식수술 중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유리절편 발생과 동시에 기존 수술 전 표식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술 후 각막형태 검사 분석을 통해 2차적으로 유리절편회전술을 시행하여 기존의 위치로 돌려놓는 것이 난시 교정 및 나안시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5):484-490> Purpose: To report a case of irregular astigmatism caused by a free flap during laser-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surgery that was treated with a flap rotation based on postoperative topography. Case summary: A 21-year-old female underwent LASIK, which was complicated by a free cap on her right eye. Because the gentian violet markings were no longer present, the exact orientation of the cap was unknown. At 3 months after surgery, the astigmatism of the right eye was -3.00 diopters (D) with an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of 0.4, and the astigmatism of the left eye was -0.75 D with an UCVA of 1.0. The corneal topography was analyzed in order to return to the existing position. Free cap repositioning was performed and irregular astigmatism was corrected to improve the UCVA to 1.0. Conclusions: If the preoperative markings cannot be identified on a free flap during LASIK, secondary postoperative corneal topographic analysis can be performed to restore the corneal free flap to its original position to minimize astigmatism with good visual outcom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5):484-49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