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천적 지식 형성에 비추어 본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경험

        김현자 ( Hyon Cha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7 영유아교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보육실습 참여 과정에서 유아교사의 행위 양식으로 무엇을 어떻게 습득하는 지를 실천적 지식 형성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유아교사 양성대학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보육실습 기간과 이후에 실습일지, 반성적 저널, 실습소감문, 사례발표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영역분석과 분류체계분석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습생들은 지시와 복종, 상호 지지의 관계적 맥락에서 보육의 양식을 전반적으로 경험하며 내재된 규칙을 습득한다. 둘째, 실습생들은 지도교사를 역할모델로 한 모방과 연습 그리고 시행착오를 통하여 직무 수행방식과 행위들을 익힌다. 셋째, 실습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실습일지를 중심으로 일상화되고, 교사의 칭찬과 유아들의 지원에 의해 촉진되며, 예비교사의 신념형성을 이끈다. 넷째, 실습생들은 체계화되지 않은 경험과 신념을 통합하고 직무와 직무행위에 대한 다각적 통제 경험을 쌓는다. 본 연구의 목표는 장애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입소가 늘어나므로 유아교육과에서 효율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 및 유아교육과 교수 및 학생, 그리고 현장의 원장과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전문가들의 심의를 거쳐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과는 장애유아통합 환경에서의 효율적 직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점차 확대되고 있는 장애유아통합교육 현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사양성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child care settings in view of practical knowledge. Participants are 20 college students who had been enrolled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and were involved in student teaching session in child care centers. Documents including the student teaching journal, reflective writings, opinions and materials for projects were col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ontents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an overall pattern of child care in a relational context of direction-submission and mutual support, and perceived the embedded rules. Second, student teachers modeled themselves on their advisors and underwent trial and error. Third, student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established as a routine, was encouraged by advisors` approval and support from children, and led to beliefs. Fourth, student teachers endeavored to integrate disorganized experiences and beliefs, and to gain multiple control over their job duties and their own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김현자 ( Hyon Cha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5 교육인류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립유치원교사들의 직무환경과 일상생활, 교사들이 실제 수행하는 직무의 범위와 내용, 그리고 직무의 성격과 직무에 대한 적응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공립유치원교사 3명이 주제보자로 참여하였고, 다른 10명의 유치원 교사와 초등교사 한 명은 보조 제보자로 참여하였다. 자료는 개인적 기록 수집, 심층면담, 문서수집 방법을 통해 수집 되었고, 자료 분석을 위한 주요 방법으로는 영역분석과 분류체계분석이 활용되었다.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과 일상생활 그리고 직무의 범위와 내용을 재구성하여 제시하였고, 직무의 성격과 직무에 대한 적응이 갖는 의미를 추론하였다. 교사의 직무환경은 초등학교와의 공존 상황과 교실 중심의 시공간 관리방식 및 교육수요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석되었고, 교사의 일상생활은 유아들과의 상호작용 방식 및 일과진행 양상을 통하여 구성되었다. 교사의 직무 범위와 내용은 관계 조성 및 유지, 유아지도 및 보호, 교실중심 환경 정비, 행사수행 등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의 직무는 노동집약성, 다중적 역할, 가변성, 업무표준의 모호성 등의 특성을 보였고, 교사의 직무에 대한 적응은 생존하기, 혼란스런 일상에서의 표준 찾기, 존중감 추구 등의 의미로 해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job environment and their ordinary lives, the range and contents of their job du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job duties, and the meaning of their performing job.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ttached to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1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sonal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3 kindergarten teach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kindergarten teachers.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eachers` job duties we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ontents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found unfairness in coexistence, special meaning of their classrooms, restriction by time, and sensitivity to parents` right of school choice. Second, the range and the content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job duties included ``creating and maintaining relations``, ``teaching and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building classroom environment``, and ``managing regular educational events``. Thir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job duties were characterized by high labor intensity, multiplicity of roles, variability, and obscure criteria of job duties. Performing kindergarten teachers` job duties was characterized by the meaning of survival, seeking criteria in disorderly routines, and pursuing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public kindergarten system had much influence on defining teachers` job duties. The job duties teachers performed revealed variability in accordance with kindergarten settings. And in performing their job duties, the teachers endeavored to meet their various needs simultaneously.

      • KCI등재

        초기 공립유치원 교원의 생애 발달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자(Kim, Hyon-Ch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설립 초기에 유치원 교직에 입직한 한 교원이 정년퇴직할 때까지의 전 교직 생애를 통하여 교원으로서 어떠한 발달 단계를 거쳤으며 그러한 발달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이었는지를 탐색하였다. 초등 교직 경력을 가진 공립유치원 퇴직 교원 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영역 분석과 분류체계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공립유치원 교원은 교직 생애 동안 직위 변화를 중심으로 ‘초임 교사 시기’, ‘경력 교사 시기’, ‘장학사 시기’, ‘원감 시기’, ‘초임 원장 시기’, 그리고 ‘경력 원장 시기’를 거치면서 발달하였다. 초기 공립유치원 교원의 교직 생애 발달에는 개인적 요인들로는 ‘버스 통근’, ‘교원과 가장 역할 병행’, ‘교육적 배경과 초등 교직 경험’, ‘개인의 가치관’이, 그리고 조직적 요인들로는 ‘근무 여건’, ‘교원 인사행정 제도’, ‘관료제적 규칙과 절차’가 각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n earl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life-long development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had influences on it. The participant was a retired public kindergarten principal who had served as teacher, superintendent, and vice-principle in order. And she also had teaching experiences of more than 5 yea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with certificate. In-depth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for data, which were analyzed with the methods of contents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development of an early public kindergarten teacher went through such periods in order as ‘beginning teacher’, ‘experienced teacher’, ‘superintendent’, ‘vice-principal’, ‘beginning principal’, and ‘experienced principal’. Each period was characterized by her duties, concerns, difficulties, and challenges.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on the process of an earl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life-long development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nes. Individual factors included ‘commuting by bus’, ‘playing role of both teacher and head of fami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ences related to elementary education’ , and ‘personal values’. And organizational factors were composed of ‘working conditions’,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nd ‘bureaucratic rules and formalities’.

      • KCI등재

        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논의의 접근방법과 내용 분석

        김현자(Kim Hyon-Ch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주로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유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후속 연구의 방향 설정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관련 논의들은 접근방법 면에서는 교직전문성의 탐색, 유아교직과 교사에 대한 당위적?처방적 전문성 탐색, 일원화된 관점에서의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전문성 탐색에 주목하였고, 내용 면에서는 전문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의 양성체제와 자격제도, 유아교사의 발달, 유아교직의 전문화를 위한 직무수행 요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심층적 탐색, 유아교사의 직무와 정체성에 기반한 전문성의 개념 재정립, 그리고 유아교사 전문성의 구성 요건에 대한 탐색 및 전문성 모델 구축, 유아교사의 책무성 논의의 활성화 등이 과제로 제시되었다. By examining debates on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this stud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study of the nature of teacher as a professional or an expert. Research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ing profession and the teachers mainly dealt with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presented key elements of teacher expertise from various perspectives. Researchers i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lore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drew an obligatory or prescriptive nat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 as an expert and considered the nature of expertis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s identical one. Research o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anged over such subject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xpertise, the system of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certificati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xpertise, and professiona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ofession. Future research needs to be pursued on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s, re-conceptualization of expertise bas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duties and identity, a close conceptual examination of key elements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viewpoint justifying identical expertise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nd the account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