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부지역 소형 관개용 못들에서의(둠벙) 동물플랑크톤 군집특성 조사 및 평가

        김항아 ( Hang Ah Kim ),최종윤 ( Jong Yoon Choi ),김성기 ( Seong Gi Kim ),도윤호 ( Yuno Do ),주기재 ( Gea Jae Joo ),김동균 ( Dong Kyun Kim ),김현우 ( Hyun Woo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2 생태와 환경 Vol.45 No.4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vestig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e.g. rotifers, cladocerans and copepods) and environmentally related driving factors (e.g. elevation, area size, water depth, types of dike construction, and bottom substrates). We hypothesized that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would be influenced by ambient driving forces in different scales of the irrigation ponds (Dumbeong). A total of 66 zooplankton species/groups (56 rotifers, 9 cladocerans, 1 copepods) were found and identified at 45 Dumbeong of Goseong region (i.e. Goseong-gun) in 2011. The rotifers occupied 84.9% of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e could categorize a clear separ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to 4 different patterns based on cluster analysis. Zooplankton diversities in Dumbeongs were lower than those in natural ponds or wetlands. In addition,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was also simpler and had a broken stick distribution based on SHE analysis. Species composition in each Dumbeong was no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each other.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pinpointed that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upon zooplankton community were dissolved oxygen percent saturation, pH, and Dumbeong`s material. This study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type of the Dumbeong and its water quality could deter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Furthermore, the connectivity between ambient habitats and materials could be necessary to be rigorously considered in respect to producing the Dumbeongs to subsidize alternative habitats for wetland ecosystem in freshwater landscape.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 도구 개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판단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도덕판단력 검사도구 개발의 변천 과정을 알아본 후, 도덕판단력 검사를 응용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덕판단력의 정의와 콜버그 및 그의 후학들이 개발한 도덕판단검사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소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선택형과 서술형을 혼합한 정보윤리판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첫째, OISE형 정보윤리판단 단계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1, 2, 3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상위 단계로 나아갔다. 둘째, OISE형 단계 점수의 남여 차이는 없었다. 셋째, DIT형 정보윤리판단 점수의 경우, 3, 4, 5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3학년보다 5학년 학생들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는 기존의 도덕판단력 검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향후 인터넷 중독 지수, 정보윤리감수성, 정보윤리 판단력 점수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nge in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test, to develop the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IEJT) applying moral judgement test, and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IEJ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moral jud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judgement tests that Kohlberg and his juniors had developed. Based on moral judgement test,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was developed into two scores: OISE typed score and DIT typed score. The subjects for the test was 135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Incheon. Th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rst, most of students are in 1st, 2nd, and 3rd stages in OISE typed test.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OISE stage score. Lastly,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in DIT typed score. Fifth graders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3rd graders did. In conclusion, IEJT showed similar results as moral judgement test. For further research study, the comparison of IEJT, IEST, and internet addiction test(K-scale) is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감정 이입 발문에 관한 연구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 수업에서 정의적 도덕성의 감정 이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사의 발문 전략을 구안해 내는데 있다. 현재까지 정의적 측면 중심의 구체화된 도덕과 수업 모형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미 개발된 수업 모형도 교사의 구체적인 발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이입의 특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후, 감정 이입을 위한 역할 채택 발문을 타인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과 자아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으로 구분하고, 가치 규범의 내면화를 위한 반성적 발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서 호프만(Hoffman)의 감정 이입 이론과 밴듀라(Bandura)의 사회 인지 이론이 도입되었고, 연구자의 실제 도덕과 수업 사례가 경험적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to facilitate students' empathy as affective moralit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Up to now, there has been short of instruction-learning models for teaching affective morality. Even the developed models have no concret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In this study, three characteristics of empathy were presented. The role-taking questions for empathy are composed of other focused role-taking question and self focused role-taking question. In addition, the strategy for reflective question was also presented. In order to giv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Hoffman's empathy theory and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was used. The researcher's real experience in moral education was also introduced as an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 KCI등재

        도덕판단력 측정에 대한 고찰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레스트(Rest)의 DIT(Defining Issues Test)와 린트(Lind)의 MJT(Moral Judgment Test)를 비교하는 것이다. 두 측정도구들은 콜버그의 도덕발달 단계이론에 기초한 객관식 측적도구이며 도덕판단 발달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측정도구들은 기존의 콜버그가 개발하였던 도덕판단인터뷰(Moral Judgment Interview)를 대신하여 왔으며, 도덕 판단에....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토의 학습의 활성화 방안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4

        많은 교육학자들을 비롯하여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항상 논의할 경우, 교사 중심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지적하며 보다 수요자 중심,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요구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70년대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탐구학습’방법은 학생 중심의 과학적 사고와 적용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수학습이론에서 ‘탐구학습’이론을 찾기는 쉽지 않다. 즉 탐구학습의 열풍이 1990년대 들어와 식은 것이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중반까지 학급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였던 ‘열린 교육’의 열풍 역시 수요자 중심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이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로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외면되어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교과의 필요성과 과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0

        본 논문의 목적은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조사연구 결과들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현재 초등 도덕과의 문제점을 점검하며, 실효성있는 교과로서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등 도덕과의 이론적 근거로서 윤리학적 배경, 도덕심리발달적 근거, 역사적 전통, 시대적 사명, 비교 교육학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도덕과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초등교사, 학부모, 초등학생, 전문가의 지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하며, 관련 선행 조사 연구 자료와 면담자료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부각하였다. 제시된 문제점들로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집중 이수제, 초등 도덕과 수업 시수 문제,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들, 예비 교사 및 현지 교사 연수의 문제, 초등학생들의 도덕 행동의 실천 강화 문제들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초등도덕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using theoretical foundation and survey research results, to analyse the problem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 statu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presented ethical background, moral psychological foundation, historical tradition, the contemporary tasks, and compa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dditionally, using survey results from elementary teachers, parents, elementary students, and experts, the researcher analysed the problems of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oncentrated implementation from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hortage of tim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problems of instructional method in moral educ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e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implementation of moral behavior, and the solutions of improving students' moral implementa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Key Words: Elementary moral education, ethical approach,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personali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연구는 연구 윤리의 윤리학적 접근에 대한 고찰과 연구 윤리 확산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양한 학문 기관에서 연구 윤리 규정을 만들고 있는 시점에 연구 윤리의 바탕이 되는 윤리학 이론과 원칙을 다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윤리학적 배경이론으로는 칸트의 의무론, 공리주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윤리 이론을 제시하였다. 규범 윤리학이론이 연구 윤리에 적용되는 한 사례를 제시하고 앞의 세 가지 이론적 관점에의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 윤리 원칙들의 정당화, 역할, 적용을 탐구하였고, 또한 연구윤리의 원칙들과 윤리이론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윤리 확산 방안으로 연구 윤리의 제도화와 교육을 제시하였으며, 확산의 어려움으로 연구 공동체의 강한 집단 응집력으로 인한 제도화의 어려움, 타율적·외재적 동기화의 위험, 연구 윤리 전문가의 부족, 그리고 연구 윤리의 배경이론이 되는 윤리학 이론에 대한 경시풍조를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ethical theory based on research ethics and to present the way for the dissemination of research ethics. It is very important to inquire ethical theory and principles at the time that various academic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have tried to make the code of research ethics. In this study, Kant's deontology, utilitarianism, and Aristotle's virtue ethics were presented as normative ethical theories. A case related to research ethics was used to see the applicability of normative ethics on the research ethics and interpreted in terms of the above three theories. The researcher inquired justification, roles,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n research ethics and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and normative ethical theories. Finally, as the way to disseminate the research ethics, institutionalization and education on the research ethics were suggested. The researcher pointed out the problems of dissemination on research ethics: group solidarity based on collectivism, the danger of external motivation by codes, rules, and law, the shortage of the professional research ethicist, and the negligence of ethical theories.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본 논문의 목적은 현행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을 과거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향 후 과제와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다. 초등 도덕과는 10여 차례의 교육과정 변화에 맞물리면서 다문화 사회 및 갈등 해결 능력을 강조한 교육목표 구성, 가치덕목 배열의 세련화, 교육 내용의 축소와 심화, 생활의 길잡이 미도입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와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향후 과제로서 첫째, 가치덕목 체제에서 주제 중심 체제로의 변환이 요구되며, 가치 덕목을 선정함에 있어 학문적, 경험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도덕적 탐구능력의 강화로서 학생들의 도덕 추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사의 발문 혹은 토론 과정을 자세히 안내하도록 하는 교재가 요구된다. 셋째,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연계 강화 방안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경험적 결과에 근거한 프로젝트형 수업이 요구된다. 넷째, 교과용 도서 개발에 있어서 검인정 체제 도입 고려 및 모바일 정보기기의 발달로 인한 신세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의 세련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동적 측면을 골고루 발달시키기 위한 통합적 노력과 가정과의 연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past curriculum,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t, and to present the challenges and look toward improvement.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cluding multi cultural society, the need for conflict resolution skill, refinements of virtue array, and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over 10 times change of curriculum. Despite these change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needed. First, the system needs a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entered in the value system as future challenges. In selecting the core values,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re required. Second, the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to guide the questioning of the teacher and the process of discussion in detail that can lead to students` moral reasoning skills. Thir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action-oriented character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Fourth,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bottom-up development by various agencies is needed. Also the refinement of mobile textbook is required for new technology generation. Finally, moral education should be cooperated with the home side and integrate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morality for the change of students` moral behavior.

      • KCI등재

        콜버그식 도덕딜레마 면접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Kolhberg`s moral dilemma interview by letting the pre-service teachers implement moral dilemma interview to students. Galbraith & Jones(1976) presented five essential ingredients of moral dilemma: focus on the lives of the students, the course content, or contemporary society; central character; choice; moral issues; and a Should ques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the researchers` moral education course. After taking the course, they implemented moral dilemmas interview to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level students. All processes of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a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to 6 issues (Use of interview questions, neutrality of researcher`s role, change of central character or primary group of characters in the dilemma story, difference of in-depth questions, determination of moral reasoning stage, and epilogue of interview). Th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using moral dilemma interview is very important when the future teachers implement moral discussion approach in their classroom because moral dilemma interview is directly related to moral discussion approach. When we develop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of moral dilemma interview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ture teachers can efficiently promote thei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oral development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