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마조(馬祖) 선사상(禪思想)의 특징과 충청지역의 전래

        김진무 ( Kim Jin-moo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나말여초에 형성된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운데 충청지역과 관련된 무염(無染)국사가 개산한 `성주산문(聖柱山門)`과 관련된 선사상을 고찰하여 충청지역의 불교문화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무염은 마조(馬祖)의 사법인 마곡보철(麻谷寶徹)로부터 사사하여 그 선법을 전하였으므로 본고에서는 마조선의 특징과 무염국사의 구법, 그리고 선사상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선종사(禪宗史)에 있어서 ?육조단경(六祖壇經)?은 이른바 `조사선(祖師禪)`의 종전(宗典)이면서 중국불교의 사상적인 완성으로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단경?의 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이가 바로 마조도일(馬祖道一)로서 홍주종(洪州宗)을 개창하였다. 마조선은 `즉심즉불(卽心卽佛)`, `도불용수(道不用修)`,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를 특색으로 하고 있다.무염은 입당(入唐)하여 마조의 사법제자인 마곡보철로부터 인가를 받아 귀국하여 현 충남 보령지역의 성주사(聖住寺)를 중심으로 활동하여 `성주산문`의 개산조(開山祖)가 된다. 무염의 선사상은 단편적인 자료만이 남아 있어 명확하게 획정할 수 없지만, 그로부터 마조선의 선법을 온전하게 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당시 문성왕(文聖王)을 비롯하여 헌안왕(憲安王), 경문왕(景文王), 헌강왕(憲康王) 등 4조(朝)의 국왕으로부터 귀의를 받았고, 또한 경문왕과 헌강왕 양조의 국사(國師)로 봉해졌으며, 그 제자가 2천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러한 기록으로부터 무염의 선사상은 당시 시대정신과 관련된 뛰어난 선법(禪法)을 제창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비록 그 구체적인 상황은 사료(史料)의 결핍으로 명확하게 밝힐 수 없지만, 당시 충청지역에 조사선의 선풍을 크게 일으켰으며, 다양한 불교문화가 전개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Buddhist culture in Chungcheong province by considering Seon thought related to Seongjusan School(聖住山門), one of Nine Mountain Seon Schools, founded by Seon master Muyeom(無染). He had studied under Magubaoche(麻谷寶徹) succeeding to Mazu(馬祖) and handed down his Seon. So I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azu Seon(馬祖禪), pursuing Buddhist less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 Seon thought in this paper. Platform Scripture of the Sixth Patriarch(六祖壇經) is the so-called main text of `Patriarch Seon(祖師禪)` and is received as completion of Chinese Buddhist thought in the history of Seon school. Mazudaoyi(馬祖道一) had succeeded the thought of 『Platform Scripture』 and founded Hongzhou school(洪州宗). The characteristics of Mazu Seon are `Nature mind is the Buddha(卽心卽佛)`, `Tao does not need to practice(道不用修)` and `the ordinary mind is the truth`. Muyeom(無染) had gone to Tang dynasty and got authorization from Magubaoche(麻谷寶徹) succeeding to Mazu(馬祖). After returning to Silla dynasty, Muyeom worked around Seongjusa temple(聖住寺) in Chungnam Boryeong province currently and became the founder of `Seongjusan School(聖住山門)`. Though I can`t define clearly because there is fragmentary data left about his Seon thought, I assume that he would have unfolded Mazu Seon soundly. Including King Munseong(文聖王), King Heonan(憲安王), King Gyeongmun(景文王), and King Heongang(憲康王), four kings had turned to Muyeom. He had been appointed national Buddhist monk from King Gyeongmun(景文王), and King Heongang(憲康王) and had more than 2,000 disciples. From these records, I can assume that Muyeom`s Seon thought was an excellent Seon mode(禪法) related to the sprit of the times. Though I can`t disclose the concrete situation clearly owing to the lack of historical records, I can presume that he caused the trend of Patriarch Seon and the various Buddhist culture would have been developed in Chungcheong province.

      • KCI등재

        중국불교에서 신행단체(信行團體)의 전통과 현대적 과제

        김진무 ( Kim Jin-m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1

        본고에서는 중국불교의 ‘신행’과 관련하여 동진시기로부터 출현한 신행단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비록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공식적으로 동한(東漢) 초기이지만, 중국인들이 본격적으로 불교를 신앙하기 시작한 것은 서진(西晉) 시기에 이르러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불교의 ‘신행’과 관련하여 동진시기로부터 출현한 신행단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현존하는 역사기록에 입각한다면, 중국에서 최초로 신행단체를 형성한 것은 동진(東晉)과 남북조(南北朝)시대의 교체기에 나타난 여산 동림사의 ‘백련사(白蓮社)’라고 하겠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백련사’의 성립과정과 그 이후에 나타나는 ‘의읍(邑義)’, ‘읍의(邑義)’, 혹은 ‘사읍(社邑)’, ‘읍사(邑社)’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근대에 출현하는 ‘거사불교’의 단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거사불교’는 불교가 철저하게 국가의 통제를 받아 승려들에 의한 포교활동에 제약이 존재하였던 청대(淸代)에 팽제청(彭際淸)으로부터 제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있어서 중국불교를 다시 부흥시킨 이는 바로 양문회(楊文會)라고 할 수 있으며, 그는 특히 중국의 위기상황에 대하여 ‘민족불교’와 ‘거사불교’를 제창하였다. 그에 따라 수많은 거사불교단체들이 건립되어 활동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청대에 철저하게 쇠락한 불교가 다시 민족종교로서 자리 잡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근대 거사불교의 신행단체들의 활동은 송대(宋代) 이후에 중국사상계에서 밀려났던 불교가 다시 시대사조(時代思潮)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religious act groups appeared from DongJin(東晋) era with regard to ‘religious act’ in Chinese Buddhism. Though Buddhisim had been officially handed down to China in the early DongHan(東漢), it was XiJin(西晉) era that Chinese began to believe Buddhism in earnest. It was ‘Bailian socieety(白蓮社)’ at Dong linsi(東林寺) temple in Lushan(廬山) appeared in transition era between DongJin and North and South Dynasties that formed the first religious act group in China basing on extant historical records. Therefore this paper briefly examined ‘Yiyi(義邑)’, ‘Yiyi(邑義)’, ‘Sheyi(社邑)’, and ‘Yishe(邑社)’ etc. in and after the formation process of 'Bailian socieety(白蓮社)'. This article especially looked into the groups of 'Layman Buddhism(居士佛敎)' in modern society. ‘Layman Buddhism’ had beeb put forth by Pengjiqing(彭際淸) in Qing Period(淸代) when there were restriction on propagation activity by Buddhist monks under the national thorough control. So this paper considered how Pengjiqing (彭際淸)'s ‘Layman Buddhism’ and his thought had been passed to modern times. It could be said to be Yangwenhui(楊文會) that revitalized Chinese Buddhism in modern times and advocated for ‘National Buddhism(民族佛敎)’ and ‘Layman Buddhism(居士佛敎)’ under the Chinese crisis situation. After that many Layman Buddhism groups were built and worked, it served the momentum situated as national Buddhism for the thoroughly rundown Buddhism in Qing Period(淸代). These acts of religious groups of modern Layman Buddhism can be regarded as a leading role in the trend of the times even Buddhism had been ousted from the world of Chinese thoughts after Song dynasty.

      • KCI등재

        공손성에서 축소사의 화용적 기능 연구 - 한국어 ‘좀’과 프랑스어 ‘petit’를 중심으로 -

        김진무(KIM Jin Moo)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1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7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좀’과 이에 상응하는 프랑스어 ‘petit’의 화용적 기능을 살펴보는 것이다. 수량사 ‘좀’과 ‘petit’는 적은 분량, 작은 크기라는 축자적 의미로부터 상대화자의 체면을 위협하는 발화수반적 힘을 줄여주는 완화사 역할을 하면서 ‘공손’이라는 관습적 가치를 갖는다. 이런 수량사들이 공손으로 작용하는 기제는 무엇인지 공손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승조(僧肇)의 ``비유비무(非有非無)`` 논증(論證)과 그 의의(意義)

        김진무 ( Jin Moo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7 禪文化硏究 Vol.2 No.-

        본 논문은 승조(僧肇)의 ``비유비무(非有非無)``와 관련된 논증(論證)을 고찰하였다. ``비유비무(非有非無)``는 유명한 반야학(般若學)의 논리인 ``사구백비(四句百非)``의 ``사구(四句)``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승조가 활동하던 위진(魏晋)에서 남북조(南北朝)로 전환되는 시기는 현학(玄學)이 주된 사조(思潮)였다. 현학(玄學)에서 다루는 수많은 철학적 논의 가운데 가장 핵심이면서 그 근저에 있는 주제는 바로 ``유무지변(有無之辨)``이다. 실제적으로 현학(玄學)의 대체적 발전 과정은 하안(何晏) 왕필(王弼)의 ``귀무론(貴無論)``의 출현과 그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배위(裴危)의 ``숭유론(崇有論)``, 그리고 그 둘을 철저히 지양(止揚)하여 나타난 곽상(郭象)의 ``독화론(獨化論)``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유(有) 무(無)를 둘러싼 철학적 논의로부터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사조(時代思潮)의 영향으로 반야학(般若學)을 대상으로 현학화(玄學化)된 격의불교(格義佛敎)가 출현한다. 현학(玄學)과 격의불교(格義佛敎)를 모두 겨냥한 것이 바로 ``비유(非有) 비무(非無)``의 논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有) 무(無)``의 문제는 유(儒) 불(佛) 도삼교(道三敎)의 사상 가운데 가장 심층적인 철학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승조가 논증한 ``비유비무(非有非無)``는 유(儒) 불(佛) 도삼교(道三敎)의 핵심적인 문제에 있어서 모두 관련되어 있다고 하겠다. 그에 따라 승조와 그의 『조론(肇論)』은 당시뿐만 아니라 역대로 지속적인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더욱이 승조가 제시한 ``촉사이진(觸事而眞)``, ``체용부이(體用不二)`` 등의 수많은 핵심적인 개념들은 보다 구체적으로 유(儒) 도양가(道兩家)와 불교의 제종파(諸宗派)에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개념들의 근저는 바로 ``비유비무(非有非無)``에 대한 논증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승조가 후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면, 그 원인을 무엇보다도 ``비유비무(非有非無)`의 논증(論證)에 두어야 할 것이다. SengZhao, the disciple of Kumarajiva, succeeded to the idea of Kumarajiva and accomplished Chines Prajna thought. He was interested in the philosophical issues of Xuanxue (玄學) and finally solved the problem of YouWu(有無), which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the philosophy of Xuanxue by the logic of FeiYouFeiWu. In his work, ZhaoLun(肇論), we can recognize that a great deal of phrases are quoted from LaoZi(老子) and ZhuangZi(莊子). Hence, the thought of SengZhao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 which is produced by the unification of the Prajna thought in India and the Lao-Zhuang thought in China. The issue of YouWu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among the three philosophical systems, namel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SengZha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philosophical issue. Therefore, SengZhao and his work, ZhaoLun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philosophies in China. The crucial notions of ChuShiErZhen(觸事而眞) and TiYongBuEr(體用不二) etc. which were used by SengZhao, have incessantly influenced sects of Buddhism and both Confucianism and Taoism but the basis of these concepts is placed under the notion of YouWu. It can be said that if SengZhao played a great role in understanding Buddhism, that was because of the notion of YouWu which was solved by SengZhao. In addition, the period of GeYiFoJiao(格義佛敎) terminated when SengZhao criticized the three views of BunWu(本無), XinWu(心無), and JiSe(卽色) and Buddhism came to be studied through its own terms. The disappearance of GeYiFoJiao made Xuanxue declined in China and Buddhism dominated throughout the period of Southen-Northern dynasties in China. This is the significance which the demonstration of FeiYouFeiWu(非有非無) plays a role in the history of thoughts in China.

      • KCI등재

        칭찬에 대한 응답 화행의 화용론적 연구

        김진무(KIM Jin-Moo)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7 프랑스문화연구 Vol.34 No.1

        Notre travail a pour objectif d’examiner du point de vue de l’analyse des conversations et surtout de la théorie de la politesse linguistique, les aspects pragmatiques de l’acte de réaction au compliment à partir de feuilletons télévisés diffusés en Corée par les chaî̂nes KBS, MBC, SBS et TVN. L’acte de compliment amalgame deux composantes : une assertion évaluative positive et un cadeau verbal dont on gratifie l’allocutaire. Il est illocutoirement double : d’une part, en tant qu’assertion, il a pour but de faire admettre à l’allocutaire son contenu comme vrai. D’autre part, en tant que cadeau, il vise à faire plaisir à l’allocutaire. Il a donc pour fonction essentielle de renforcer la solidarité existant entre les interlocuteurs. Nous avons examiné les aspects sur l’accord et le désaccord dans le type réactif à l’assertion évaluative positive, et sur l’acceptation et le refus dans le type réactif au cadeau verbal. Les accords explicites ne sont guère trouvés dans notre corpus, et les acceptions y sont rarement trouvées. Les réponses relativement plus fréquemment attestées sont de type suivant : le désaccord, le refus implicite, l’accord implicite et l’acception implicite.Avec la théorie de la politesse, le compliment est un acte de langage anti-menaçant pour la face positive de l’allocutaire. L’acte de compliment fait partie de la politesse positive qui doit ê̂tre considérée comme la production d’un FFA au sens de Kerbrat-Orecchioni. Et pour rendre compte de la réaction du destinataire au compliment on prend en considération trois principes de politesse suivantes : (1) Principe d’accord, (2) Principe de protection de son propre territoire, (3) Principe de modestie. Presque tous les réactions au compliment peuvent ê̂tre rapportées à l’un ou/et l’autre de ces trois principes. Le premier principe implique évidemment les réactions positives. Les deux derniers principes invitent au contraire aux réactions négatives. Les interlocuteurs français accordent de l’importance au premier principe, alors que les interlocuteurs coréens attribuent plus grand importance aux deux derniers principes.

      • 조사선의 무수무증(無修無證)과 당하즉시(當下卽是)

        김진무 ( Kim Jin-moo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조사선은 중국불교의 귀숙(歸宿)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까닭은 불교 전래에 가장 커다란 장애였던 ‘이하론(夷夏論)’을 극복하였을 뿐 아니라 중국전통의 유가와 도가의 사상과도 융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까닭에 조사선의 사상은 인도로부터 전래한 불교와는 차별이 발생하고, 나아가 수증론(修證論)에서도 본질적인 차별이 출현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선의 수증론을 논구하기 위하여 조사선이 배태되는 동산법문으로부터 북종선, 그리고 『육조단경』의 수증론을 고찰하였다. 동산법문에서는 ‘입도안심(入道安心)’을 목적으로 ‘오문선요(五門禪要)’를 수행론으로 제창하고 있고, 북종선에서는 이를 계승하여 ‘대승오방편문(大乘五方便門)’으로 제창하고, 구체적인 수행법을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을 수용하여 ‘간심간정(看心看淨)’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육조단경』에서는 ‘돈오(頓悟)’를 중심으로 하여 ‘무념·무상·무주’를 수행법과 궁극적인 경지로 제창하고 있다. 또한 ‘돈오’와 ‘무념·무상·무주’에 입각하면, 최종적으로 ‘무수무증(無修無證)’과 ‘당하즉시(當下卽是)’로 귀결되고 있음을 논하였다. 이러한 『육조단경』의 ‘무수무증’과 ‘당하즉시’는 그대로 조사선으로 계승되어 ‘본래현성(本來現成)’이 더욱 강조되어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Patriarch Seon is regarded as the master of Chinese Buddhis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not only overcame the biggest obstacle t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yixialun(夷夏論)’, but also fused with the ideas of Confucianism and Taoism in Chinese tradition.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the ideology of Patriarch Seon was differentiated from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India, and furthermore, essential discrimination appeared in Practice Theory. In this paper, in order to discuss Practice Theory in Patriarch Seon, the Northern Patriarch Seon and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ere examined from Dongshanfamen(東山法門) where Patriarch Seon was born. In Dongshanfamen, ‘Gist of Seon in five category’ is advocated as a practice theory for the purpose of ‘Provide peace of mind’, and in Northern Patriarch Seon, it is inherited and advocated as ‘Five category of skill in Mahayana’. And the specific method of practice is presented as ‘Seeing Mind and purity’ by accepting the ‘one mind and two gates’ of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However, in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centering on ‘Whole Enlightenment’, ‘no-thought, no-form, no-abiding’ is advocated as the method of practice and the ultimate stage. In addition, based on ‘Whole Enlightenment’ and ‘no- thought, no-form, no-abiding’, it was discussed that it ultimately resulted in ‘Non-cultivation and Non-attainment’ and ‘Here and Right Now’. It can be seen that ‘Non-cultivation and Non-attainment’ and ‘Here and Right Now’ in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ere inherited as Patriarch Seon, and developed with more emphasis on ‘Manifestation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거절 화행의 화용론적 분석

        김진무 ( Kim Jin-moo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1 No.1

        Notre travail a pour objectif d’examiner du point de vue de l’analyse des conversations et de la theorie de la politesse linguistique, les aspects pragmatiques sur les echanges de refus, à partir de feuilletons televises, diffuses en Coree par les chaines KBS, SBS et TVN. Avec la theorie de la politesse on peut considerer l’acte de refus comme une action sociale delicate, dans la mesure où il concerne FTA (Face Threatening Acts) pour la face positive du destinataire. La politesse linguistique est etablie par Brown et Levinson (1987). Leur theorie, bien connue en Coree, a deux problèmes contradictoires. D’une part, ils ont reconnu tous les actes de langage comme FTA. Mais il existe egalement FFA, tel que le compliment et le remerciement. D’autre part, il s’agit d’une classification de la politesse negative et de la politesse positive. Leur classification est fondee non pas sur la notion de FTA et FFA, mais sur la notion de la face negative et la face positive. Les actes d’ordre et de requete sont toutefois menaçants à la fois pour la face negative et pour la face positive du destinataire. Les politesses positive et negative doivent donc etre considerees comme la production d’un FFA et comme l’adoucissement d’un FTA, qui consiste à le reparer ou eviter de le produire. En ce sens, l’acte de refus direct est menaçant pour la face positive du destinataire, mais le refus indirect fait partie de la politesse negative. L’acte de refus se realise par des formules explicites ou implicites. Les refus directs sont produits explicitement par des verbes performatives, des negations, et des assertions negatives. En revanche, les refus indirects sont nombreux et varies selon la situation interactionnelle, la relation interpersonnelle et le contenu d’une intervention initiative. Les refus indirects, trouves à notre corpus, se sont composes d’une raison, une explication, une excuse, et une autre solution. On constate que l’acte de refus peut influer sur la relation interpersonnelle et que le problème au niveau de relation interpersonnelle cause un refus. Il ne signifie pas la cloture de sequence, mais le debut d’une negociation. Afin de resoudre un conflit produit par le refus, les interlocuteurs choisissent les strategies de la negociation, et accordent de l’importance à la resolution d’un problème pose ou au renforcement d’une relation interpersonnelle existan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