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식성 교수법으로서 점진적 책임 이양 모형(GRR)의 재조명 : 직접교수법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주환 ( Kim¸ Joohwan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3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접교수법과 점진적 책임 이양 모형의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직접교수법이 원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알려졌다. 직접교수법은 과제를 학생들이 학습 가능한 수준으로 세분화해서 제시하고 이를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교사가 적절한 비계 지원을 해주는 데 초점이 있다. 그러나 제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접교수법은 학생이 성취해야 할 과제에 대한 분석이나 학생 활동에 대한 고려 없이 교사의 지도만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점진적 책임 이양 모형이 현시적 교수법으로 잘못 알려져왔다. 제6차 교육과정시기에 직접교수법과 함께 점진적 책임 이양 모형이 언어 기능 신장을 위한 대표적인 교수법으로 소개되었으나 초기 연구자들에 의해 현시적 교수법이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어 직접교수법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로부터 학생으로 학습의 책임을 점진적으로 이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GRR 모델은 학습의 책임이 교사로부터 학생으로 점진적으로 이양하는 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에 이 모형을 활용할 경우 교사 중심의 접근 혹은 학생 중심의 접근으로 혼란한 우리나라의 문식성 교실의 여러 가지 편향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clarifies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 instruction and the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The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instruction was known differently from its original purpose. The direct instruction presented in the sixth curriculum emphasizes only the teacher’s guidance, without analyzing the tasks to be accomplished by the students or considering student activities. Second, the GRR model was misunderstood as an explicit instruction. The GRR model was introduced in the sixth curriculum, but early researchers introduced it as an explicit instruction and recognized it only as direct instruc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gradually release the responsibility of learning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The GRR model emphasizes the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of learning. Using this model will help improve literacy problems in Korean classes by not offering purely teacher-centered or studentꠓcentered classes.

      • KCI등재

        영남 지역 기반 대학생 정치 활동가들에게 청년 정치의 의미

        김주환(Joohwan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4 사회이론 Vol.- No.65

        이 연구는 영남 지역, 특히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청년 정치인으로서 꿈을 키워가는 대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에게 정치란 무엇인지, 지역 특히 영남에서 정당활동을 하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정치에 큰 의미를 두는 이들의 세계상은 이른바 생존경쟁 속에서 자기보호에 몰입하는 많은 청년들의 세계상과 어떻게 다른지 등을 해석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이들은 부당한 실패의 경험 속에서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의 원인을 찾고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힘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도달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들은 세상은 인간의 집합적인 정치적 실천에 의해 변화가능하다는 믿음을 공유한다. 이들은 지역의 정치적 특성을 정치적 힘을 확보해 보다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 이용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청년 정치는 기존 청년 담론에 비추어 청년들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해볼 수 있게 해주기도 하지만, 청년 정치의 현실은 여전히 기성 정치에 종속되어 있어 독자적인 청년 정치의 실현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청년들이 정치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대폭 늘리고 정치의 효능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제도의 보완이 시급히 요청된다.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politics for university students aspiring to be professional politicians in Yeongnam region, specifically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It examines their views on political party activities and how their worldviews differ from those solely focusing on survival. These students recognize the need for political power to address and rectify failures, believing in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collective political action. While youth politics can inspire new possibilities, it remains subordinate to established politics. To poster youth politics institutional measures to enhance political engagement and efficacy among young people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대학생 토론 담화의 입론 구성 연구

        김주환 ( Kim Joohwan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4

        This study analyzed the ways and characteristics that the college students built up the constructive speech on the basis of three core factors, such as concept-definitions, stock issues, and claims and warrants. First, most students struggled to deal with concept-definitions. Their levels of clear concept-definitions affected the whole procedures of debate. Second,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choose specific stock issues based on their debate strategies. For example, students intentionally avoided unfavorable issues instead of fully covering stock issues for the debate. Third, most students struggled to deal with value issues more than policy issues. They approached to the theme focusing on the policy issues, even though value issues were also embedded in them. Fourth, most students lacked analytic reasoning skills needed to verify their claims. Students often used the claim-data structure, rather than the claim-warrant-data structure. Deep investigation of stock issues is critical to correspondence with the nature of debate as a problem-solving trial for a community. Using core factors that construct argument, such as concept-definitions, stock issues, and claims and warrants, as a content-organizer may promote students` debate abilities.

      • KCI등재

        숙명적 비극의 시대, 고통의 현상학: 「조커」의 사회학

        김주환 ( Kim Joohw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1

        사회변동이 야기하는 삶의 위기와 불안, 고통 등은 괴물에 대한 상상을 낳는다. 따라서 괴물은 한 사회가 어떤 위기에 빠져 있는지 보여주는 징후이며 사회비판이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인도해주는 좋은 주제이다. 특히 광대는 근대 이후 사회와 역사에 전면에 등장한 힘없는 민중들을 상징하는 괴물의 전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시대의 여러 사회문제들을 훌륭히 담아낸 영화 「조커」(2019)를 통해 우리사회가 처한 위기를 진단하면서 우리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사회학적으로 사유해본다. 특히 이 글은 신자유주의에 의해 약자들의 삶의 보호막인 사회적 연대의 논리가 무너짐으로써 영화 속 ‘조커’의 고통과 분노가 파괴적인 방식으로 표출되었다고 본다. 자선이나 박애와 달리 사회적 연대란 개인 및 집단들 상호간에 놓여 있는 죽음의 위협을 집합적으로 처리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신자유주의 시대 불평등의 심화와 계층 간 힘의 불균형은 죽음의 공포 및 고통의 호혜성을 깨뜨려 그것들을 피지배집단에게 일방적으로 강제하는 구조를 만든다. 이는 사회적 연대의 토대를 침식한다. 이렇듯 사회적 연대라는 보호막이 제거되어 ‘벌거벗은 생명’이 되어버린 상태에서 약자들의 저항은 ‘조커’의 경우처럼피지배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주관적 고통을 절대화하여 사회 자체를 깨뜨려버리는 전복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향을 낳는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경쟁의 ‘개별화(개인화)’ 논리가 ‘개인적인’ 주관적 고통의 형태로 전도되어 나타나는 저항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저항은 다른 약자들 사이의 연대를 가로막는다. 따라서 그것은 약자들을 죽음의 고통을 야기하는 근 본원인인 신자유주의적 개별화의 지배 논리를 강화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 글은 사회적 연대의 강화와 이에 기반한 경합적대적(agonistic) 민주주의 투쟁의 활성화를 오늘날의 ‘조커들’이 취해야 할 전략이라고 주장한다. Social change used to produce many imaginations of monsters caused by people’s painful life and anxiety. Thus, a representation of monster is both the sign that designates the crisis in a society and the guidance that leads a social critique. In this context, I sociologically analyze the movie ‘Joker’ (2019) that expresses the pain and despair of the people in our time and the crisis in this society through exploring the indignation of a clown as a form of monster. Social solidarity is a collective response to the reciprocal danger of death among individuals under the pre-social condition. I suggest that the death or weakening of social solidarity and its institutional mechanisms, the safeguards against the threat of death, caused Joker’s pain and despair. People are likely to absolutize their own pain and to take a strategy of destructing the society itself, rather than to practice agonistic politics within the society. However, this type of resistance is simply a mirror reflection of the neoliberal logic of privatization of existence in that the logical of social solidarity is absent in both of those. Thus, I argue that the strategy of rehabilitating social solidarity and agonistic politics on it can be only promising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regime.

      • KCI등재

        대학생 토론 담화의 반박 전략 분석

        김주환 ( Joohwan Kim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1

        This study analyzed various uses of refutation strategies that college students presented in their debate discourse. This study first found out a firm relations between the background knowledge on the topic for debate and the uses of refutation strategies. Second, students frequently evaded and strayed from the point of debate due to the burden of refutation. Third, students had a tendency to proceed their refutation based on the prepared materials, instead of attacking the opposite team`s weak points directly. College students had various difficulties in handling two heavy loading works together, such as analyzing the opposite team`s weak points and developing their refutation strategies instantly. Preparation of data and materials is important; however, it is more critical for students to use their materials effectively, not to heavily relying on, for deepening examination of the topic and for making a productive debate. The aim of debate 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topic of debate and to explore the ways to solving problems that the community members confront by the affirmative and opposite teams` argument and refu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deep understandings and examinations of debate topic in contents of debat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에서 사회적기업과 신자유주의 통치

        김주환(Kim, Joohwan)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0

        한국에서 사회적기업은 흔히 ‘착한 기업’으로 표현되면서 차가운 시장논리를 넘어 공동체적 연대와 공존의 정신을 구현하는 대안적 경제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와 같은 대중적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회적기업 육성을 신자유주의 통치 비판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심각해지고 있는 빈곤과 실업은 체제 유지의 위협요인으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국가는 사회적기업 육성 메커니즘을 통해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만들고 이들을 사회에 통합함으로써 통치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 사회적 자본이라는 지식체계는 권력이 사회적인 것의 영역들을 통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사회적기업 육성이라는 통치 전략 수립에 큰 역할을 했다. 사회적기업을 둘러싼 통치 메커니즘 속에서 국가는 민간영역과 위계적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전략을 취했고, 주기적인 성과평가를 통해 사회적인 것의 영역들을 인식 및 통제가능한 대상으로 변형시켰다. 국가는 사회적기업을 호명할 수 있는 권한을 독점함으로써 사회공익을 추구하는 조직들의 활동들이 통치 목적에 종속되도록 유도했다. 1사 1사회적기업 및 프로보노 캠페인 등을 통해 경영 관련 지식들과 기법들이 사회적기업 속으로 파고들도록 촉진했다. 사회적기업 육성 메커니즘은 신자유주의 통치가 공동체적 연대, 민주적 시민참여, 사회공익지향 등의 가치들과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러한 것들을 통해 작동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neoliberal governmentality operating in the process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in South Korea. Gradually exacerbating poverty and unemployment were problematized as risks to the continuation of the current capitalist regime. As a risk management, it pursued the strategy to integrate the disadvantaged into society by providing them jobs through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In this process, the knowledge system of social capital theory served as a guideline through which the social could be used as means for governmental ends. In the governing mechanism of social enterprises promotion, the state took the strategy to form a hierarchical partnership with civic organizations. It transformed the areas of the social into recognizable and governable ones through regular evaluation of each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By monopolizing authority to call an organization ‘social enterprise,’ it led the activities of public good-oriented civic organizations to be conformed to the goal of government. Through coupling social enterprises with big commercial enterprises and promoting Pro Bono campaign, it facilitated knowledge, methods and logic of business administration to be infiltrated into the fabric of social enterprises. The mechanism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in South Korea shows that neoliberal governmentality is not incompatible with the values of communal solidarity, democratic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social-public orientation. Rather it operates through these values.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의 구조와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김주환(Joo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문화와 사회 Vol.16 No.-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의 구조를 해명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말까지 진보 성향의 신문 두 곳(경향, 한겨레)과 보수 성향의 신문 두 곳(조선, 중앙)에 실련 사회적 기업 관련 기사들을 대상으로, 공적가치 어휘들과 시장가치 어휘들의 출현빈도와 연결망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보다 심층적인 담론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 속에서 ‘성공’은 곧 ‘시장에서 기업으로서의 성공’과 동일시되고 있으며, 사회공익적 가치와 목적들은 주변화되거나 심지어 성공의 장애물로 표상되고 있었다. 둘째,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들은 국가의 역할을 축소하면서 그 역할을 시장, 민간, 개인들에게 이전하는 것을 정당화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은 국가, 시장, 민간, 개인 사이의 관계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신자유주의의 사회재구조화 담론의 일반적 틀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셋째, 이 두 가지 분석 결과에 대해 진보의 담론과 보수의 담론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이는 진보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이 보수의 신자유주의 헤게모니에 대한 대항담론으로 역할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신자유주의 헤게모니 담론에 포획된 채, 의도하지 않게 그것을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은 담론적 차원에 한정하여 말할 때, 진보의 사회적 기업 성공담론이 원인분석이 아니라 문제해결의 문제설정 담론 구조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 그와 같은 결과를 야기한 한 원인임을 논증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scursive structur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in Korea, an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nalyzed occurrence frequencies of social and public interest-based vocabularies and the market-based ones, and network pattern among those vocabularies. Using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as heuristic tools, next, I analyzed discursive structures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the ‘success’ was represented as the ‘corporate success in the market.’ The social and public values and interests were marginalized or sometimes those were represented as barriers to the success. Second, social enterprise discourses justified the minimization of the government’s roles and the initiatives of the market, private sector, and individuals. In that sense, the social enterprise’s success discourses were structured on the basis of the neoliberal society-reorganization project, which pursues to reorgan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the market, private sector, and individuals in new ways. Concerning those two general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progressive presses and the conservative ones. It implies that the Korean progressive’s discours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do not serve as a counter-hegemonic discourses against the Korean conservative’s neoliberal hegemonic discourses. The former are deeply captured into the neoliberal hegemonic discourses. Thus, the former are unintentionally allied with the latter, and reinforce the conservative’s neoliberal hegemony. I argue that this ironic condition is systematically caused by the fact that the Korean progressive’s discourses of social enterprise’s success are framed in the problematization of problem-solving, not cause-analysis.

      • KCI등재

        의미상실과 자유상실의 시대, 청년들의 시간감각과 세계감각 속에서 가치의 전도

        김주환(Kim, Joohwan)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3

        모험적 삶의 양식은 우리가 살아가는 외적 세계의 통제 불가능한 위력에 맞서 실존적 삶의 의미와 자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삶의 시도이다. 따라서 모험적 삶이 새로운 삶을 조직화할 수 있는 존재 미학적 상상력으로 떠오르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계 속에서의 삶이 정서적으로 의미가 상실된 권태로운 삶, 자유가 상실된 무력한 삶으로 체험되어야 한다. 인간은 특정한 환경 세계 안에 처해져 특정한 기분 내지 정서 속에서 특정한 삶의 양식을 조직해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의미상실과 자유상실의 시대의 첨점에 있는 청년 집단들에게 대안적 삶을 조직화하는 존재 미학적 상상력으로서 모험적 삶이 가능할지, 그것이 어떻게 이해되고 받아들여질지 그 의미 세계를 탐색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청년들이 느끼는 삶의 시간감각과 세계감각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양식이 전개되는 양상들을 해석한다. 청년들의 시간감각에서 권태는 모험과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한 몸을 이루며, 그들의 세계감각에서 이 세계는 통제 불가능한 주어진 자연필연성의 세계이고 자신들은 무력한 존재라고 느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상시적으로 죽음의 협박을 당하고 있는 오늘날의 청년들에게 모험이라는 존재 미학적 삶의 방식은 대안으로 상상될 수도, 권하기도 힘든 것이라는 점을 드러낸다. 그리고 모험적 삶의 존재 미학적 삶이 의미와 자유를 회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모험적 삶이 가능한 사회적 조건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Adventure as a mode of life is an alternative ontological experiment of life searching for meaning and freedom against the overwhelming force of the outer world. Therefore, the feeling of boredom or languor of powerlessness is required for the adventurous mode of life. In this vein,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adventurous mode of life for the youth who live in the era of the loss of meaning and freedom. Specifically, I analyze their feeling of time in the life and the feeling of the world to understand their mode of life. Ironically, they make sense of their lives as a series of boring adventure in their feeling of time. They feel the world uncontrollable like a quasi-law of nature; themselves powerless. Synthesizing these findings, I argue that the adventure as a mode of life cannot be imagined as an alternative mode of life by them in the present social conditions that their lives are forced by the cruel treat of death imposed by capitalist compet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