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대 예술에서 보이는 (비)물질성과 재물질화에 관한 연구

        김주옥(Joo-ok Kim)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1985년 퐁피두센터에서 열린 《비물질(Les Immatériaux)》 전시와 이후 비물질과 재물질 예술에 대해 다룬 최근 전시 《비물질/재물질: 컴퓨팅 아트의 역사 요약(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2020-2021)을 분석하여 동시대 예술에서 보이는 물질과 비물질에 대한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물질과 비물질의 구분을 넘어 재물질화를 이룬 예술을 새로운 물질적 전환의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비물질》 전시는 비물질의 근원은 물질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텔레커뮤니케이션의 기술과 같은 새로운 물질성에 대한 인식뿐만이 아니라 그 물질의 주인이 되려는 인간과 그의 욕망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비물질/재물질》 전시에서는 시각 예술에서 물질적 형태로 존재하는 것의 기원을 비물질 정보를 통해 해석해보고자‘ 비물질’이 표현되는 과정을‘ 재물질화’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비)물질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케이시 리아스(Casey Reas, 1972~) 작업을 분석하여 컴퓨팅 아트에서 다루는 비물질성이 어떻게 물질적 형식으로 재물질화 되는지를 살펴본다. This study analyzes the exhibition Les Immatériaux , held at the Pompidou Center in 1985, and the recent exhibition 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 (2020-2021), dealing with immaterial and material art. The study explores whether we can interpret rematerialized art beyond the usual distinction of material vs. immaterial, but rather in terms of a new material transformation. Les Immatériaux tried not only to recognize the new materiality, lik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lso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ir desire to become masters of material in order to prove that a material originates from an immaterial. The later exhibition 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 adopted the word “re-material” to describe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immaterial” in order to interpret the origin of what exists in material form in visual art through immaterial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a more in-depth analysis of this (im)materiality, this paper analyzes the work of Casey Reas(1972~) to explore how the immateriality used in computing art is rematerialized into material form.

      • KCI등재후보

        이미지 전쟁을 넘어 사물로 돌아가기

        김주옥(Kim, Joo-O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8 No.1

        본 연구는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 1947~)와 페터 바이벨(Peter Weibel, 1944~)이함께 기획한 두 전시, 《아이코노클래쉬: 과학, 종교 그리고 예술에서의 이미지 전쟁을 넘어서(Iconoclash: Beyond the Image Wars in Science, Religion and Art)》(2002) 그리고 《사물을 공적으로 만들기: 민주주의의 환경들(Making Things Public: The Atmospheres of Demecracy)》(2005)을 통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근대성과 이분법적 세계관을 비판해보고자 한다. 예술에서의 재현의 위기와 우상의 충돌에 대해 다룬 《아이코노클래쉬》 전시에서는 우리가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행위가 혐오를 만들어 낸다고 보았고 《사물을 공적으로 만들기》 전시에서는 사물과 사회, 사물과 정치, 사물과 문화에 대한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며 인간과 사물, 다시 말해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던 태도를 문제 삼고 있다. 또한 이 전시에서는 ‘이미지’와 ‘사물’에 대해 다루며 정치를 이야기하는데,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불확실한 세계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자연의 정치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사물을 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에 관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our modernity and a dichotomous view of the world through two exhibitions, Iconoclash: Beyond the Image Wars in Science, Religion and Art (2002) and Making Things Public: The Atmospheres of Demecracy (2005), jointly organized by Bruno Latour and Peter Weibel. Iconoclash, which dealt with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and the clash of idols in art saw that the act of dividing the world into a dichotomy creates hatred, and Making Things Public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ociety, objects and politics, and objects and culture.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in three dimensions and regarded the attitude of distinguishing between humans and objects, in other words, humans and non-humans, as a problem.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bjects in three dimensions, the problem is the attitude that distinguished humans and objects, that is, humans and non-humans. In addition, these exhibitions discussed politics by dealing with “images” and “things”, and the emphasis here is on how to behave in an uncertain world, how to make the politics of nature, and what is needed to make things public.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아동학대 재발생 정의에 따른 재학대율 비교

        정현(Kim, Jeonghyeon),이상균(Lee, Sang-Gyun),이봉주(Lee, Bong Joo),김주옥(Kim, Joo ok),이청아(Lee, Cheong-ah),유조안(Yoo, Joan),현수(Kim, Hyun-Soo)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1

        이 연구는 아동학대 재발생과 관련하여 국내·외 선행연구 및 국가통계의 조작적 정의를 살펴보고, 여러 산출 방법의 특징 및 그 기준에 따른 재학대율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재학대율 산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 국가통계 산출을 위해 적용하는 동일 피해 아동에 대한 동일 행위자의 5년 내 재학대 여부, 둘째, 행위자에 대한 구분 없이 피해 아동 기준 5년 내 재학대 여부, 셋째, 최초 학대 보고 기준 1년 이내 재학대 발생이다. 비교 분석을 위해 2012년∼2020년 간 우리나라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 내 존재하는 오류를 살펴보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최종 분석자료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동일 피해 아동/행위자 기준의 연도별 재학대율은 8.0%∼11.3%로 집계되었고, 피해 아동을 기준으로 재학대율을 산출한 결과는 11.5%∼21.7%로 약 2배 정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차이에 대해 기준별 아동특성을 연령, 성별,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학대유형,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산출 기준에 따른 결과 차이를 기술하였다. 한편, 동일 피해아동/행위자로 재학대율을 산출할 때는 부 혹은 모의 단독 재학대만 추정이 가능하고, 부와 모가 시간적 간격을 두고 학대한 경우는 재학대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부모의 재학대 행위자군을 비교한 결과 부의 단독 재학대는 31.4%, 모의 단독 재학대는 22.1%, 부와 모로 이루어진 재학대는 38.4%로 부와 모로 이루어진 경우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즉, 현재의 재학대 기준으로는 부 혹은 모의 단독 재학대에 개입을 요구하는 결과를 낳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재발생에 대한 기준을 재정립할 것을 제언하고, 이를 근거로 한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al definitions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by reviewing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and national statistics.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alculation methods and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according to their standards.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were (a) whether the same perpetrator has re-abused the same child within five years (applied in Korean national statistics on child abuse); (b) whether the child victim has been re-abused within five years, regardless of the perpetrator; and (c) whether child maltreatment recurs within one year of receipt of the initial report. For comparative analysis, we employed data of the Korean Child Protective Services (CPS) from 2012 to 2020, examined errors existing in the database, and selected the data for final analysis through a rigorous pre-process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rate for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as 8.0%-11.3% annually, and this rate based solely on the child victim was 11.5%-21.7%,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e examined differences in childrens characteristics across standards by age, gender, relationship to the perpetrator, type of abuse, and receipt of National Basic Likelihood Security, and we discussed thes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criteria. When calculating the recurrence rates of child maltreatment for the same child victim/perpetrator, we included the re-abuse rate only when it was a single perpetrator and either the childs father or mother. Thus, if the father and mother perpetrated the abuse at different intervals, this excluded them from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The results of the comparitive analysis of groups of parental perpetrators showed thatthe fathers re-abuse rate was 31.4%, that of the mother was 22.1%, and that of both parents was 38.4%.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definitions of child maltreatment recurrence and initiate a practical discussion on child protection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의 연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송이(Park, Song Yi),김주옥(Kim, Joo Ok)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연구 주체가 된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의 연구 경험을 탐구하였다. 대다수 연구들은 당사자를 연구 대상으로 상정하며, 당사자의 참여는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는 기제로 활용된다. 그러나 최근 소수자 정체성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에서는 당사자가 연구자로서 직접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연구와 지식 생산을 교육하는 대학원에서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들에 대한 교육적 조건이 마련되었는지에 대한 탐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8명의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이들의 연구 경험이 어떠한지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은 ‘주제 선정 경험’, ‘피드백 경험’, ‘방법론 활용 경험’, ‘연구의 의미’라는 영역에서 각각 어려움과 연구의 의미를 정립해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당사자성이 있는 대학원생들이 독창적이고 고유한 독립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의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있어 일조하고자 한다. Most of the studies postulate the PARTY INVOLVED as the object of study, and their participation is used as a mechanism fo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However, in academia focused on minority identity, it is argued that the PARTIES INVOLVED should directly participate in the study as researcher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se arguments, it is insufficient to explore whether educational conditions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the PARTIES INVOLVED have been established to educate research and knowledge productio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8 graduate students who are the PARTIES INVOLVED, this study shows their research experiences. The results exhibit that graduate students who are the PARTIES INVOLVED coped with their difficulties and formed the meaning of research in the area of “selecting the topic”, “experience of feedback”, “experience of using methodology”, “meaning of research”. In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invent an educational methodology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the PARTIES INVOLVED to grow into original and independent researcher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