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oretical Approach to define Emerging Markets and Emerging Market Global Companies: Double Triangle Model

        김주권,정무섭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12 No.1

        Many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in international economics and business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trends, and source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of emerging markets (EMs) and/or emerging markets global companies (EMGCs) compared to those of other markets and companies becaus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EMs and EMGCs in the world economy. However, there are no clear-cut definitions of EMs and EMGCs.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called as ‘Double Triangle Model’ to define EMs and EMGCs who ha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Based on the Double Triangle Model, this study defines EMs as countries whose competitive advantages measured by the shares of GDP, exports, and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world are higher than the average competitiveness advantages of all countries except developed countries. Also, EMGCs are defined as companies whose competitive advantages measured by trans-national, growth, and profitability indice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competitiveness advantages of all companies from EMs.

      • KCI등재
      • KCI등재

        해외직접투자 환경 변화와 투자발전경로 이론(Investment Development Path Theory)의 재조명

        김주권,엄기룡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9 국제경영리뷰 Vol.13 No.2

        한 나라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국가 및 기업의 소유특유의 우위 요소와 내부화 우위요소 그리고 입지 우위요소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해외직접투자의 유출과 유입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게 된다는 투자발전경로 이론 (Investment Development Path)은 세계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패턴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Dunning & Narula (1996)는 과거 풍부한 자원 및 저렴한 생산비용과 낮은 임금을 제공하여 매력적인 투자대상국으로 인식되었던 국가들의 입지우위가 생산비용의 상승 등으로 인해 입지우위가 떨어져 유입되는 해외직접투자가 줄어들게 되고, 개발도상국 기업들은 시장 및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략적자산추구형의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하게 되어, 개발도상국들의 해외직접투자 순유입과 선진국들의 해외직접투자 순유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본 연구에 의하면 개발도상국들의 해외직접투자 순유입과 선진국들의 해외직접투자 순유출이 증가 되었다. 이는 1990년 중반 이후부터 더욱 심화해 가는 선진국 간의 지역경제통합으로 인한 선진국 간의 해외직접투자 (North to North FDI)를 증가, 신흥개발도상국들의 다국적기업들의 경제수준이 비슷한 주변국으로의 투자 (South to South FDI)의 증가,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의 (North to South) 시장 또는 효율성 추구형 해외직접투자의 지속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다. Investment Development Path Theory, which explains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outward and inward direct investment position of a country and its economic development, could be reconsider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lobal business environments. Dunning & Narula (1996) expects that the negative amounts of net outward investment (NOI) of countries at stage 1, 2, 3 and the positive amounts of net outward investment (NOI) of countries at stage 4, 5 will be decreased because of mainly strategic asset seeking FDI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data from 1980 to 2006, are the opposite.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more closed economic relations among developed countries (North to North FDI), more foreign direct investments by multinational enterprises from developing in similar economic level countries (South to South FDI), sustained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developed to developing countries (North to South FDI) after the middle of 1990s.

      • KCI등재

        총수출(Gross Exports)과 부가가치 수출(Value-Added Exports)의 결정요인 연구

        김주권,추연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4

        교통과 통신, 정보 및 물류 기술의 발전과 같은 글로벌 경영환경의 변화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복잡한 가치사 슬 내에서 국제 분업을 통해 최종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 나 완제품의 수출입을 측정하는 전통적 무역통계방식은 글로벌 가치사슬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무역활동의 국가별 부가가치를 측정하기 어렵게 해, 이를 무역정책 수립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 는 것은 적절치 않는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부가가치기준 무역 흐름의 측정을 목적으로 발표된 OECD – WTO TiVA (Trade in Value-Added) 2018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국가의 수출증감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온 다양한 경제, 사회 문화적 지표들이 각국의 총수출과 부가가치수출에 미치 는 상이한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부가가치수출 통계가 정부의 무역정책 수립 및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64개 국가의 12년간 (2005 –2016), 수출정보 및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시행된 고정효과 패널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모형 분석 결과, 생산증가율, 1인당 국민소득, 실질환율, 총고정자본, 인프라의 5개 지표들은 총수출과 부가가치수출 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모형별로 영향력의 크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고, 해외직접투자와 노동시장 자유도는 총수출에, 총생산, 물가상승률과 세금수익은 부가가치수출에 각각 배타적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가치사슬 내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의 발굴 및 육성을 통해 우리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추구해야 할 정부의 역할과 함께, 무역정책 입안의 기초자료 로 활용해왔던 경제 요인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정책 입안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changes in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logistics technologies, have brought about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global value chain (GVC) that produces final goods and services through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traditional trade statistics method of measuring the import and export of finished products are difficult to measure the added value of each country of trade activities within the global value chain, has been consistently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 determinants of gross exports and value-added exports based on the OECD-WTO TiVA 2018 database and to provide policy and strategic implications to governments and companies. Based on 688 unbalanced panel data for 64 countries over a span of 12 year (2005-2016) extracted from TiVA statistics, we conducted fixed-effect panel analysis in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UR) model to predict factors that influence a country 's gross exports and value-added expor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to change the paradigm of policy making and corporate strategy establishment through reexamination of economic factors that have been used as basic data for trade policy and corporate strategy establishment.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율 결정요인 연구: 글로벌화 단계 & 경제성장 단계 비교연구

        김주권,최이선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2 동서연구 Vol.34 No.4

        One of the recent meaningful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can be represented by structural changes in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such as the establishment, development,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so-called Global Value Chain(GVC).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GVC participation rate by dividing it into the entire period from 2000 to 2019, the stages of globalization(Hyperglobalization and slowbalization), and stages of economic growth(developed and non-developed countries). In all the study periods, trade openness was the only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the GVC participation rate. And other variable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tage of globalization or econom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actors that promote or reduce the GVC participation rate differ depending on the stage of globalization or economic growth, so that the government requires to set up appropriate policies according to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country's economic situation. 최근 세계화 발전의 의미 있는 변화 중 하나는 이른바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의 구축, 발전, 확장, 재편 등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로 대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GVC 참여율의 결정요인을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전체 기간, 글로벌화 단계(초세계화 및 저속화), 경제성장 단계(선진국과 비선진국)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모든 연구 기간에서 무역 개방성은 GVC 참여율 결정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다른 변수들은 세계화 단계 또는 경제성장 단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GVC 참여율을 높이거나 낮추는 요인이 세계화나 경제성장의 단계에 따라 다르므로 정부가 세계 경제 환경과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The Impact of the Process of Economic Integr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Trade: Cases of Japan and U.S. in European Union

        김주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4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7 No.2

        In the traditional trade model, FDI and trade were substituting each other because the major objectives of the traditional model were finished good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intra-firm trade goods by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and the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integration expanded the trade model to embrace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rities between FDI and trade.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FDI and trade in the past decades by comparing the FDI and trade records of Japanese and MNEs of the United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