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무인항공시스템을 활용한 저수지 지형모델 생성 및 정확도 평가

        김정면,박성식,재휘,안승우,박성용,용성,Kim, Jungmeyon,Park, Sungsik,Kim, Jaehwi,Ahn, Seungwoo,Park, Sungyong,Kim, Yongseong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2

        This study examines methods for creating terrain models of reservoirs and techniques for verifying the accuracy. Such methods and techniques use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are capable of capturing high-resolution images repetitively, are highly economic, and capable of surveying wide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acquiring data for reservoir safety management, the methods which also employ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helps solving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rebuilds a reservoir management database, such as a shortage of local government manpower.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providing element technology necessary for advancing the database.

      • 점토와 모래층이 교호하는 연약지반의 압밀대상층 평가

        김정면 ( Jungmeyon Kim ),박성용 ( Sungyong Park ),임현택 ( Hyuntaek Lim ),범주 ( Bumjoo Kim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연약지반구간의 침하량 검토는 일반적으로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점토지반과 즉시침하가 일어나는 연약모래층으로 구분하여 침하량을 예측한다. 압밀침하가 발생하는 점토층은 모래층에 비해 침하량이 크게 발생함에 따라, 연약지반 침하량 검토 시 세밀한 분석을 통한 압밀대상층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점토(CL)와 모래층(SM)이 교호하는 연약지반의 경우 예측 침하량이 실제 침하량보다 과대하게 발생하여, 실제로 연약지반 현장에서는 공기 및 공사비 증가 등과 같은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모래층(SM)의 압밀침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토와 모래층이 교호하는 연약지반 현장의 계측데이터를 수집·분석 하여 총 예상침하량과 연약점토층만 고려할 때의 침하량을 비교하여 모래층(SM)의 압밀대상층 포함 여부를 검증하였다.

      • 표층 지반변형 계측센서를 이용한 사면붕괴 예측에 관한 연구

        김정면 ( Jungmeyon Kim ),재휘 ( Jaehwi Kim ),연규석 ( Kyuseok Yeon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국토면적의 64%가 산지지형인 우리나라는 국지성 폭우로 인하여 산사태와 급경사지 붕괴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산림청 통계자료에 의하면 25년간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가 전체 인명피해의 20%를 차지함으로써 그 심각성을 제기하고 있다. 정부는 대책방안으로‘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붕괴 위험지역 정비대상 1,605개소에 대해 상시 관리를 규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준이 되는 표준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붕괴예측 기술 수준이 실시간 예측이 아닌 수동적인 방법으로 전문가의 현장 육안조사에 그치고 있다. 또한 관련 대책공법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장조건에 따라 적용성이 대부분 떨어지며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는 현재의 계측시스템 상 유지관리를 위해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여 경제성 또한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사면계측시스템과는 달리 산사태 및 사면붕괴의 체계적이고 저비용 고효율적인 사전 위험경보시스템 구성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선행연구로 지중 설치 표층지반 변형률 계측센서를 제작하였고 사면모형 실험을 수행하여 전단 변형율과 사면붕괴 시 전조현상의 지반변형을 분석하고 사면파괴에 따른 계측센서의 적정 길이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지반 분석 자료를 통해 환산전단 변형률의 증가속도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근사식을 도출하였다.

      • 지진피해 대비 주택용 방재쉘터 개발

        김정면 ( Jungmeyon Kim ),임현택 ( Hyuntaek Lim ),기환 ( Jihuan Jin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2016년 9월에 규모 5.8의 지진으로 인해 23명의 인명피해가 발생된 9.12 지진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농촌지역의 주택의 대부분은 노후화 및 내진설계가 반영된 주택이 아님에 따라 주택붕괴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 우려가 심각하며, 본진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여진으로 인해 주민의 불안감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시 주택붕괴 및 주택 내 낙하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택 내 설치가 가능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외부하중에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주택용 방재쉘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방재쉘터 제원, 재료, 작용 하중 분석을 통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방재쉘터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아연도 강관+토목섬유, 두랄루민+토목섬유 재료를 사용한 방재쉘터의 안전성 검토결과 지진으로 인한 주택붕괴 및 매몰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재난대피기구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촌지역 재난대피 관련 안전약자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정면 ( Jungmeyon Kim ),박성용 ( Sungyong Park ),임현택 ( Hyuntaek Lim ),재민 ( Jaemin Kim ),연규석 ( Kyuseok Yeon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따른 재해의 발생횟수와 재해로 인한 피해규모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국내에서도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산사태, 토석류, 홍수, 강풍 및 폭설 등에 의한 대규모 자연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인명 및 재산피해에 취약한 농촌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의 경우 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노약자, 이주 외국인 등의 안전약자의 비율이 높음에 따라 도시지역에 비해 인명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우심피해 발생율을 토대로 발생횟수와 피해금액이 가장 높은 농촌지역을 각 도별로 추출하여 안전약자 현황을 조사·분석하였고, 국외의 안전약자 대피관련 규정 및 지침을 분석하여 국내 농촌지역 안전약자 대피관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농촌지역 재해위험저수지 정밀수치지형도 생성 및 활용방안

        김정면 ( Jungmeyon Kim ),재휘 ( Jaehwi Kim ),타망비백 ( Bibek Tamang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국내 저수지의 약 81%는 농업용 저수지로 축조된 지 60년 이상 경과되어 노후화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육안조사를 통한 저수지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으로 인한 비용 및 시간 등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재해위험저수지의 위험도 평가 및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으로 고해상도 영상의 반복취득이 가능하고 운용비용이 저렴하여 최근 국토모니터링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무인항공시스템(UAVS)을 활용하여 실감지적 정사영상 및 DSM(Digital Elevation Model)을 기반으로 한 정밀수치지형도를 생성하였다. 정밀수치지형도 정확도 분석결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시한 작업규정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UAVS 사진측량 성과를 수치지도 작성 및 영상정보 활용을 통한 농촌지역 재해위험저수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수치지형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 생성에 있어 정밀수치지형도를 사용한다면 재해위험저수지의 수계 및 수문 분석 정확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지형 경사비에 따른 토석류 동적충격하중 상관식 연구

        김정면 ( Jungmeyon Kim ),임현택 ( Hyuntaek Lim ),재휘 ( Jaehwi Kim ),연규석 ( Kyuseok Yeon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크고 작은 산사태로 발생되는 토석류로 인하여 매년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산사태로 인한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적인 토사재해 위험지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구조적 방법인 사방댐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토석류에 의한 피해규모와 잠재적 위험 지구가 축소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국내 농촌지역 주택 및 마을의 대부분은 비탈면과 인접하여 입지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소규모 산사태 발생에도 주택이 쉽게 붕괴되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노후 주택의 비중이 높아 주택붕괴로 인한 인명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태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토석류 하중에 대응이 가능한 기존 주택의 보강, 나아가 주택 내에 설치가 가능한 재난대피시설의 개발이 필요하나 토석류 동적충격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하중의 기준이나 지침 등이 정립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사태 시 발생되는 토석류 하중기준 제시를 위한 선행연구로 산사태로 인한 토석류 하중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우려지역 판정기준을 분석한 결과 지형경사와 관련된 요소가 토석류 하중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실제 국내에서 발생한 산사태 자료를 수집하여 비탈면 경사비와 토석류 동적충격하중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하여 지형 경사비와 동적충격하중의 상관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인장균열에 따른 대규모 비탈면 보강

        종주 ( Jongju Kim ),김정면 ( Jungmeyon Kim ),범주 ( Bumjoo Kim ),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대규모 절토 비탈면을 따라 발생한 인장균열이 약 0.5m 정도의 폭으로 비탈면과 유사한 방향으로 뚜렷하게 발생하여 나타나며 이와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다수의 균열로 절토에 따른 비탈면 붕괴방지를 위한 인장균열 원인 및 상세조사를 통한 비탈면 보강계획을 수립하였다. 비탈면 지층현황 분석을 위한 시추조사, 전기비저항탐사, 토모그래피, 시추공영상촬영(BIPS), 지표지질조사를 통하여 지층분포, 불연속면의 방향, 파쇄대 등을 파악하고 특히 상부 역암층과 하부 회장암 경계부에 열수변질 작용에 의한 점토대가 존재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인장균열이 발생한 비탈면에 대한 보강은 임계파괴면 파악을 위한 시추조사 및 탐사, 파괴규모에 따른 보강공법 선정, 절토 법면의 지층을 고려한 앵커의 지지 판넬 적용 등으로 인장균열 및 파괴규모를 고려한 보강사례로서 향후 비탈면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조사와 보강방안 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산사태 대비 농촌 주민 대피계획 개선 방안

        김정면,박성용,임창수,연규석,용성,Kim, Jungmeyon,Park, Sungyong,Lim, Changsu,Yeon, Kyuseok,Kim, Yongseong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1

        This study has purpose on deducting problems of evacuation plan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 and suggesting improvement plan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weakness in domestic rural region aiming at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 like old people containing most of domestic rural population, sometimes being in blind spot of safety when landslide or disaster occur. As a result, we could know that rural regions have high proportion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 like old people, also being so weak to landslide and slope collapse. So we suggested development of manual describing prevention of disaster and evacuation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 like old people and disaster evacuation organization for house and minimizing solution for damage of human life through improvement of steep slope evaluation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