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내 수원청개구리의 번식주기 확인 및 일주기 번식행동 연구

        김일훈,함충호,장석원,김은영,김종범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3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멸종위기 1급인 수원청개구리의 분포 및 생태를 연구하여 종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용역을 받 아 연구 수행 중에 있다. 수원청개구리는 제한적인 서식지 특성과 서식지 파괴에 의한 개체 수 감소 등의 이유로 2012년 환경부 멸종위기 1급 종으로 지정되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종의 생태 및 서식지에 대한 연구사례가 적어 개체군을 보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수원청개구리의 번식생태 중 정확한 번식시기 및 하루 주 기의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번식시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2년 5월부터 8월에 걸쳐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과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의 수원청개구리 서식지에 서 주 1회 이상 방문하여 번식울음(Mating call)을 내는 개체를 확인하였고, 일주기 행 동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3년 5월 29일에서 31일, 6월 14일에서 16일에 걸쳐 각 2회 동안 24시간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원청개구리의 번식시기는 5월 20일부 터7월 30일까지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번식시기는 5월 20일부터 6월 18일까지로 확인 되었다. 두 지역모두 6월 중순 이후 번식을 시도하는 개체의 수가 급격하게 줄었는데, 이는 이시기가 수원청개구리가 서식하는 논경지에서 벼의 뿌리성장을 돕기 위해 물을 빼는 시기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주기 패턴 연구결과, 두 지점 간 유사한 경 향을 보였으나, 시기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월 조사 시에는 17시부터 익일 새벽 03시 까지 번식울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7시부터 24시 까지가 정점을 이 룬 반면, 6월 조사에서는 18시부터 익일 새벽 04시까지 울며 18시부터 24시까지 정점을 이루었다. 본 연구 를 통해서 수원청개구리의 번식생태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 는 추후 이 종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경희대학교 태양관측시스템

        김일훈,김갑성,KIM IL-HOON,KIM KAP-SUNG 한국천문학회 1998 天文學論叢 Vol.13 No.1

        We have developed solar observational system in the department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of KyungHee University, in order to monitor solar activities and construct solar database for space weather forecasting at maximum of 23rd solar cycle, as well as an solar education and exercise for undergraduate students. Our solar observational system consists of the full disk monitoring system and the regional observation system for H a fine structure. Full disk monitoring system is made of an energy rejection filter, 16cm refractor, video CCD camera and monitor. Monitored data are recorded to VHS video tape and analog output of video CCD can be captured as digital images by the computer with video graphic card. Another system for regional observation of the sun is made of energy rejection filter, 21cm Schmidt-Cassegrain reflector, H a filter with 1.6A pass band width and $375\times242$ CCD camera. We can observe H a fine structure in active regions of solar disk and solar limb, by using this system. We have carried out intense solar observations for a test of our system. It is found that Quality of our H a image is as good as that of solar images provided by Space Environmental Cent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KyungHee Solar Observation System and result of our solar observations. We hope that our data should be used for space weather forecasting with domestic data of RRL(Radio Research Laboratory) and SOFT(SOlar Flare Telescope).

      • 한국 바다뱀(진정바다뱀아과와 큰바다뱀아과)의 분류와 분자계통

        김일훈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8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7

        한국 연안에는 진정바다뱀아과(Subfamily Hydrophinae) 내 먹대가리 바다뱀(Slender necked sea snake, Hydrophis melanocephalus Gray 1849), 얼룩바다뱀 (Annulated sea snake, H. cyanocinctus Daudin 1803), 바다뱀(Yellow- bellied sea snake, H. platurus Linnaeus 1766, 바다뱀 일반명과 구분을 위해 노란배바다뱀으 로 칭함)의 3종이 보고되어 있었으나 도감 상의 기록일 뿐 연구와 표본이 거의 없었 다. 청문조사를 통해 2013년 3월부터 2017년 8월 사이 접수된 51건의 제보 중 바다뱀은 4종 23건(3종 18개체 확보)이었고, 오제보는 26건(어류 18건, 육지뱀 7건, 무척추동물 과 사물 각 1건)이었다. 1995년 부산 수영구에서 보고된 먹대가리바다뱀의 사진을 재 검토한 결과, 넓은띠큰바다뱀(Chinese sea snake, Laticauda semifasciata Reinwardt in Schlegel 1837)의 오동정임을 확인하여, 큰바다뱀아과의 종이 22년 전에도 출현하 였음을 확인하였다. 2016년 10월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마라도리에서 미기록종인 좁은띠큰바다뱀 (Blue-banded sea krait, L. laticaudata Linneus 1758)을 포획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약 60년만에, 2017년 6월 22일에 서귀포시 성산읍에서 노란배바다뱀 1개체를 포획, 샘플 을 확보하였다. 형태측정을 바탕으로 한국에 분포하는 바다뱀 5종(노란배바다뱀, 얼 룩바다뱀, 먹대가리바다뱀,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의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큰바다뱀아과 종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큰바다뱀아과 3종 (넓은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 노랑입술큰바다뱀 Yellow-lipped sea krait, L. colubrina Schneider 1799)을 대상으로 full mtDNA를 분석하였다. 3종 모두 13개의 단백질 코딩유전자, 22개의 tRNA, 12s rRNA, 16s rRNA 와 2개의 control region을 가졌으며, 염기서열 크기는 17,170에서 17,450 사이로 밝혀졌다. full mtDNA 분석결 과 노랑입술큰바다뱀은 넓은띠큰바다뱀보다 좁은띠큰바다뱀과 더 근연하였다. 넓은띠큰바다뱀의 집단분석 연구를 위하여 21개의 다형성 미소부수체마커 (microsatellite markers)를 개발하였다. 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채집된 넓은띠큰바다뱀 36개체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좌위 당 대립유전자의 종류는 평균 7.38개였 고, 마커의 다양성 정보 함량(PIC)은 평균 0.71로 높았다. 넓은띠큰바다뱀에서 개발된 21마커를 이용하여 같은 속 2종(노랑입술큰바다뱀, 좁은띠큰바다뱀)에 적용한 결과 78.6%의 교차적용성을 나타내어, 개발된 마커가 넓은띠큰바다뱀을 포함한 큰바다뱀 아과 종들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유전학적 분석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연안에 분포하는 바다뱀의 종 별 분포를 확인하고 주요 큰바다뱀의 유전적 분화과정을 규명하였으며, 집단분석을 위한 다형성 미소부수체마 커들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향 후 한국 바다뱀의 모니터링 및 개체군 간 집단분 석 등 추가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