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김이영 ( Yiyou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그릿,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본,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2,500명이다. 자료 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매개분석,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 중 친구관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그릿, 자아존중감, 사회적자본,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self-esteem,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5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mediated analysis and control effect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riend relationship among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self-esteem, soc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김이영(Kim Yiyoung),전지은(Jun Jieun),박미란(Park Miran),어윤경(Au Y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년도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2,500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고, 그릿은 학업성취도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열의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열의는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도, 그릿, 학업열의,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s dependence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smartphone dependenc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grit, academic enthusiasm,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2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주관적 가족지지 정도에 따라 재활성과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참여자는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352명으로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 173명,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 179명이었다. 결과는 첫째, 임상적 영역의 재발율과 증상에서는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영역의 기능평가에서 전체점수와 하위 요소인 일상생활 수행기술,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의 점수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탐색 효능감 평가에서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전체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경험의 영역의 삶의 질 평가에서 삶의 질의 전체점수와 긍정적인 자기지각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평가에서 전체점수와 구체적 효능감, 일반적 효능감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기능적 영역(기능과 직업태도), 주관적 경험 영역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ether the mentally ill people's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has any impact on various dimensions of their rehabilitation outcomes. The participants were 352 mentally ill patients who were attend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nationwide. The analyses were done by categorizing 173 subjects into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and another 179 subjects into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rehospitalization rate and symptom levels. Second,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functioning level than the other group. When the sub-dimensions of functioning level scal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unctioning in daily living activity skills and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ird, the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and in the sub-dimension of positive self awarenes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Fourth, compared to low family support group, high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port from family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ly ill people's functioning level,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