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 20대 여성들의 ‘아름다움’의 네트워크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김애라(Aera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4 No.1

        오늘날 여성과 아름다움의 관계는 디지털 기술과의 관계 속에서 구축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해 소셜라이징을 가능케 해준 글로벌 소셜미디어 콘텐츠들 속에서 이 여성들의 미적감각은 디지털테크놀로지를 매개로 네트워크화 되고 있다. 특히 유튜브와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확산을 발판삼아 아름다움에 관한 공통의 준거점은 보다 손쉽게 그리고 빠르게 공유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공통의 세밀하고 방대한 정보를 통해 오늘날 일종의 아름다움의 범주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와 뷰티 콘텐츠를 일상화한 동시대 10-20대 여성들에게 아름다움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관한 질문에서 출발, 이들의 아름다움이라는 관심사가 적극적으로 반영, 드러나고 있는 뷰티 콘텐츠를 통해 아름다움에 관한 실천과 인식의 특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1) 한국에서 뷰티콘텐츠 인기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2) 여성들의 뷰티콘텐츠 소비양상과 아름다움에 관한 인식 및 실천의 특수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3) 뷰티콘텐츠를 둘러싼 여성 이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동시대 10-20대 여성들이 공유하는 아름다움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 같은 작업은 오늘날 디지털 세대 여성들의 아름다움에 관한 실천과 감각, 그리고 그 동시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the aesthetics of women of the digital generation are networked by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ereby forming a common reference point for aesthetic sensations. It also focuses on the practice and sense of beauty shared in digital culture that is inevitably formed in interactions with nonhuman subjects such as smartphones, cameras, image correction software, digital networks, and social media.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aesthetic practice and sensibility that women share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It analyzes the concept of the ‘beauty creators’ and the beauty content they are creating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is study will also look at the concrete standards of beauty, which are being circulated, exchanged, reproduced, and practiced in the beauty contents fandom. This research will explore current specialties in aesthetic senses and experience of women of the digital generation through the ‘beauty creator’ and their fandom network.

      • KCI등재

        ‘탈코르셋’, 겟레디위드미(#getreadywithme) : 디지털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

        김애라(Kim, Aera) 한국여성학회 2019 한국여성학 Vol.35 No.3

        본격적인 인터넷 문화가 꽃을 피운 2000년대 이후 온라인 광장에는 1020세대의 페미니즘 의제화 참여 비율이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페미니즘 운동의 형식과 아젠다 역시 변화를 맞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는 1020세대 여성들이 지금 어떻게, 왜 젠더 정치의 주체로 등장하게 되었는가에 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특히 현재 온라인 페미니즘 운동의 대표격인 ‘탈코르셋 운동’이 어떻게 이 세대들에게 주요하고도 대중적인 페미니즘 아젠다가 되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이에 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코르셋 운동과 그 주체들을 디지털미디어와 신자유주의, 포스트페미니즘 이후의 개인/여성으로서 그들이 겪었을 문화와 경험들과의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다. 10-20대에게 탈코르셋 운동은 비단 ‘외모’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평등한 경쟁’을 저해하는 것으로서, 이미 경쟁에서 더 많은 비용과 조건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로 여겨진다. 이들이 곧 제도화된 경쟁에 뛰어들어야 하고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세대라는 점은 이들에게 탈코르셋 운동이 왜 그렇게까지 중요한 페미니스트 아젠다로 작동하는지 보여준다. Since the 2000s, when the Internet culture of full-fledged flowered, the proportion of 1020 generation participating in feminism in the online square has increased and the form and agenda of the feminist movement are now changing.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how the female population of 1020 generation who has been emerging in the center of the new women’s movement in the digital era. In particular, this study answers this question by exploring how The Movement of ‘tal-corsets’, representative of the online feminist movement, has become a major and popular feminist agenda for these generation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movement of ‘tal-corsets’ and its subjects in relation to the cultures and experiences of individuals since the birth of digital media, neoliberalism and post-feminist ethos. For the female population of 1020 generation, the Tal-Corset movement is not only about "appearance," but rather "equal competition." And the fact that they are the generation that has to enter institutional competition and find jobs is related to why the Tal-Corset movement is such an important feminist agenda today.

      • KCI등재

        소셜미디어 소녀시장과 디지털(소비)정보를 통해 구축되는 십대여성성

        김애라(Kim, Aer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4

        십대여성들의 또래문화와 네트워크가 소셜미디어로 이주해오면서 십대여성들은 공통의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을 통해 또래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 때 십대여성들의 또래네트워크에서 강력하게 부상한 정보의 영역은 ‘패션뷰티’이다. 이는 소셜미디어플랫폼과 소셜미디어플랫폼을 광고매체로 활용하고자 하는 소비시장, 그리고 소셜미디어 이용자로서 십대여성들의 참여활동, 이 세 가지의 교직 속에서 등장한 것이다. 즉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십대여성들에게 개인화되고 자동화된 정보의 장을 제공하는데, 이 정보의 대부분은 소셜미디어플랫폼이 십대여성 범주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시장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소셜미디어 참여 과정에서 십대여성들이 가장 많이, 자주 접하게 되는 정보는 패션뷰티 영역이다. 패션뷰티 정보는 십대여성들 사이에서 패션 트렌드와 상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매력적인 또래적 여성성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또래집단 안에서의 소통과 승인을 매개하며, 실제적인 소비로 이어지게 한다. 패션뷰티에 대한 일상적 정보와 이를 매개로 한 소비실천은 좋은 평판을 받고 싶다는 욕망, 그리고 그것을 위한 자기관리에의 욕망, 소위 ‘매력적인’ 여성으로서의 연출을 위한 욕망과 직결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즐거움’, ‘놀이’, ‘향유’의 영역이기도 하다. 소셜미디어의 패션뷰티 정보는 십대여성의 현재적 일상과 미래 전망, 자신이 바라는 자아상과 또래 내 평판, 친구관계의 유지에 이르는 거의 대부분의 삶의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소비 실천과 그 권리뒤에 가려져 있는 여성들의 삶을 조직하는 원리가 되고 있다. The social media platform provides a series of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on the category of teenage girl. The majority of the information culled automatically consists of business advertisements. Teenage girls most frequently select fashion and beauty related content to learn about cutting edge fashion trends and which beauty products are popular. Keeping up with the latest fashion trends and ‘hot’ beauty items is an essential part of being attractive or ‘cool’ within this peer group. This consensus requires mutual approval and communication about which items gain popularity. This dynamic of collective acknowledgement often leads to consumption. Various desires are involved in these media activities and consumption practices: the desire to earn a good reputation; the self-management involved in achieving a desirable reputation; the gendered desire to appear as an attractive women. Social media activities and buying beauty commodities are also within the realm of ‘having fun’, ‘pastimes’, and ‘enjoyment’. Fashion and beauty related information gains its significance from various aspects of teenage girl’s lives, such as daily activities, future life prospects, ideal self-image, peer reputation, and maintaining friendships; it works as an organizing principle in everyday life beyond mere consumption and consumer rights.

      • 폐암 선암 생존시간 예측을 위한 병리학적 영상분석

        보티트엉비 ( Vi Thi-tuong Vo ),김애라 ( Aera Kim ),이태범 ( Taebum Lee ),김수형 ( Soo-hyu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Survival time analysis is one of the main methods used by the pathologist to prognosis for cancer patients. In this paper, we strive to estimate the individual survival time of Adenocarcinoma (ADC) lung cancer patients from pathological images by adopti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alled the SurvPatchV1 model. First, we extracted tissue patches from the whole-slide images (WSI) to deal with extremely large dimensions of WSI. Then the survival time of each patch is estimated through the SurvPatchV1 model. Finally, the individual survival time of each patient is computed. The proposed method is trained and tested on the subset of the NLST dataset for ADC lung cancer.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our model can obtain all tissue information in lieu of only tumor information in a whole pathological image to estimate the individual survival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