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로표지 관리 및 배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항로표지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연구

        김아영,이영주,박세길,오재용,김연규,Kim, Ah-Young,Lee, Yeong-Ju,Park, Se-Kil,Oh, Jae-Yong,Kim, Yeon-Gyu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시뮬레이터에서 구축된 항로표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항로표지 배치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와 같은 계층 구조와 이력카드, 상태 부여 등을 통해 항로표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항로표지 배치안에 대하여 시각적, 청각적, 정량적인 검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항로표지 운용 소프트웨어를 구현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한다. 항로표지 운용 소프트웨어는 항로표지 신설, 이설 등과 같이 자유로운 제어뿐만 아니라 조건 검색, 가상운항 및 정량 평가 결과 전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항로표지 배치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는다. 이를 활용하여 여러 설계안에 대해 선박이나 선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하거나 설계안의 효율성 및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 수월해진 검증 방법을 통해 더 다양한 설계안을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항로표지 설계 및 배치 계획 시에 발생 할 수 있는 실패비용과 항로표지 관리비용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searched to find a program in order to manage simply and practically use the expelled AtoN database from the AtoN Simulator and to support the idea decision for the AtoN placement. It examines a program that manages AtoN database through the hierarchy structure, history card and endowment with condition same as a scenario. And accomplishes this study's goal owing to realizing AtoN operational software that helps for visual, hearing sense, fixed amount verification upon AtoN placement project. The AtoN operational software contributes not only flexible control like a newly establishment, relocation etc, but also supports idea decision for AtoN placement plan through many functions such as condition search, virtual sailing and fixed amount appraisal result exhibition, etc. Through utilization of this, it is to help upon the presupposition of the impact to ship or sailor about many designs and in addition, upon the judgment of whether or not for the efficiency and appropriation of the design. It is expected to reduce possible failure costs and management costs due to AtoN design and placement plans, because to compare more various designs thru the easier verification method.

      • KCI등재

        알고리즘 적용이 용이한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에 관한 연구

        이영주(Yeong-Ju Lee),김아영(Ah-Young Kim),박세길(Se-Kil Park),오재용(Jae-Yong Oh),김정수(Jeong-Soo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4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여러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동된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뮬레이터 개발 및 유지보수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시뮬레이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관련 전문가들이 협력하고 업무를 분담하여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업무의 상호 의존성이 이를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터 개발 업무를 알고리즘 구현과 이를 제외한 시스템 구현으로 나누어 두 업무의 상호 의존성을 낮추고 전문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알고리즘 구현을 담당하는 도메인 전문가의 요구 사항을 분석함으로써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를 설계하고, 이를 활용한 시뮬레이터 개발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도메인 전문가의 알고리즘 개발 지원과 유연한 데이터 관리를 위해 데이터셋 개념을 도입하였고, 시뮬레이터 장비들이 유연하게 재구성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구조를 설계 하였다. 시뮬레이터 개발 지원 도구를 통해서 도메인 전문가는 알고리즘개발에 전념할 수 있고, 효율적인 협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발 절차가 체계화 되고 더 명확해지기 때문에 개발 계획 및 관리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 된다. Simulator is composed of several devices that have a variety of forms and functions. These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network intricately. For this reason, simulator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rocess require a lot of time and money.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the simulator, it is ideal that related professionals share the work and work together in parallel. However, development is carried out inefficiently, because task interdependence makes it difficult to work in paralle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s of the simulator were classified into algorithm development and system development, and it was discussed how to lower the interdependence of these two tasks and support professionals.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quirements analysis of the domain expert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we designed the support tool for simulator development and proposed development process using this tool. We also introduced the concept of a DataSet in order to support algorithm development of domain experts and manage data flexibly. And we designed network architecture to enable flexible reconfiguration of simulator equipment. By using the tools to support the simulator development, domain experts are able to concentrate on algorithm development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collabor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plan and management are expected to be easy because the development process is systematic and clearer.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jun ),김아영 ( Kim Ah-young ),김진식 ( Kim Jeen-sieg ),이정윤 ( Lee Jung-y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본 조사는 2017년 4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본 조사와 2019년, 2020년 2차례 추가조사를 통하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상록활엽수림 주요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등을 포함하여 33개 군락이, 상록활엽수림과 혼생하는 군락은 낙엽활엽수림에서는 굴참나무-동백나무군락, 굴참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상록침엽수림에서는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붉가시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군락, 곰솔-붉가시나무군락, 곰솔-참식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생달나무군락, 산지습성림으로는 고로쇠나무-참식나무군락 등을 포함하여 15개 군락이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48개 군락이 나타났다. 이중에서 동부지역인 나로도지구, 금오도지구, 소안·청산지구에서는 35개 상록활엽수림 군락이 조사되었고, 서부지역인 조도지구, 비금·도초지구, 흑산·홍도지구에서는 29개 상록활엽수림 군락이 조사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주요 36개 도서 가운데 가장 많이 분포한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군락으로 23개 도서(63.8%),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21개도서(58.3%), 곰솔-동백나무군락 10개 도서지역에서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그 외에 후박나무군락(9개), 동백나무군락(8개),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6개), 후박나무-동백나무군락(4개) 등이 나타났다. 또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상록활엽수림을 조사하고 과거자료(1995년, 2009년)와 비교하면서 상관에 의한 식생을 정리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서남해안 도서중에서도 비교적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이므로 주요 도서별 식생 특성에 따라서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각 도서별 식생 특성에 따라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This survey investigated the vegetation statu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the area aroun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through the main survey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8 and two additional surveys in 2019 and 2020. The major communiti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vestigate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ere 29 colonies, including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and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ere Quercus variabilis-Camellia joponic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Eurya japonica community.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o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acuta community, Pinus thunbergii-Neolitsea serice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Acer pictum var. mono-Neolitsea sericea community, 15 colonies appeared, and 44 colonies in total. Among them, 33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eastern regions of Narodo district, Geumodo district, Soan district and Cheongsan district, and 28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in the western regions of Jodo district, Bigeum district and Docho district, and Heuksan district and Hongdo district. Among the 36 islands in the survey area,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relatively large in 23 islands(63.8%)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21 islands(58.3%) of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and 10 islands of Pin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It was widely distributed.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9 colonie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8 colonies of Camellia joponica community, 6 colon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4 colonies of Machilus thunbergii-Camellia joponica community. It was distributed relatively widely in the region. In additi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was surveyed and compared with past data (1995, 2009), and vegetation by correlation was summarized.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is a region with relatively excellent natural scenery among the southwestern coastal islands. Therefore, in establishing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 서울시민의 가족정책 인지도 및 관련 요인 탐색

        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김아영(Ah-Yeong Kim)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 대상으로 가족정책(아동돌봄정책, 가족친화제도,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인지도와 관련되는 개인적 특성과 정책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 25~74세 서울시민 1,102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빈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가장 높았고,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아동돌봄정책 중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친화제도 중에서는 육아휴직 인지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족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지도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가장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정책별로 차이가 있는데 공통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미혼자보다 기혼자의 인지도가 높았다. 또한, 미취학자녀나 초등자녀가 있는 응답자가 해당 연령과 관련된 정책 인지도가 높았다. 정책 인지도는 도입시기와는 상관성이 없었으며, 예산이 클수록, 서울시 정책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적용되는 중앙정부 정책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정책 인지도는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정책은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홍보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wareness of family policies among Seoul citizens, as well as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family policies under examination in this study consist of ten types of childrearing, five types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and five type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Data were first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of 1,102 adults aged 25-74, and then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know about each type of family policy and the effect of both individual and policy-related factors on their awareness. The most well-known policies are those for family-friendly workplaces, with participants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for parental leave. However, the least awareness is for family service delivery, among which public childcar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the best known. Awareness levels are related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budget and scope of the policy. Awareness about some types of family policy is lown, suggesting that public advertisement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and for consequent use of family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