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소셜 커머스의 서비스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김현경(Kim, Hyeonkyoung),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8 No.-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의 대중화로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모바일 커머스인 모바일 소셜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소셜 커머스는 소비자 경험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개념이다.본 연구는 모바일소셜 커머스 시장의 성장 배경으로서 모바일 커머스와 소셜 커머스의 개념 및 현황을 살펴보고, 글로벌 선두업체인 그루폰(Groupon)과 리빙소셜(Livingsocial)의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요소 및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모바일의 실시간성을 활용하여 Timely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온오프라인이 융합된 상거래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밀접한 연계를 통하여 편리한 상거래 경험 제공 및 보다 많은 잠재 고객을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보상제도를 운영하여 이용자의 구매 욕구 및 로열티를 제고하고 있다. 향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의 모바일 소셜 커머스 도입 사례에 대한 분석 및 소비자 관점에서 모바일 소셜 커머스의 가치 및 수용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bile social commerce market which involves social network and mobile commerce is rapidly growing. This study examined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bile commerce and social commerce as a origin and background, and deduced service characteristics of mobile social commerce from studying it’s notion and cases. Mobile social commerce is a subset of mobile commerce that supports realtime sharing through social network using mobile device. As successful case studies, Groupon and LivingSocial services were analyzed. Mobile social commerce benefited by ubiqu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of mobile device should offer timely service and integrated on/offline combined experience and sharing. And with close connection with social network service it should enable users to experience more convenient commerce and secure more potential users. In addition, it should run a reward program to enhance users’ interest and royalty. A study on the values and the factors of mobile social commerce in the context of a user will be performed hereafter.

      • KCI등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QR 코드 활용 방안

        김윤미(Kim Yunmi),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최근 QR 코드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1차원 바코드 보다 많은 정보량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속한 반응이 이루어진다는 장점 하에 마케팅 광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 더 발전하여 흑백의 단순했던 QR 코드에 컬러를 입히고 30% 형태 변형이 가능함을 이용한 디자인 QR 코드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 QR 코드를 사용할 경우 코드에 담긴 정보를 예측할 수 있어 정보 안내 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일반 QR 코드와 비교했을 때 호감도가 높아 그에 따른 높은 접속률을 기대 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코카콜라 루이비통 마크제이콥스 켈빈클라인 등에서 활용하였고 국내의 대기업들도 QR 코드에 로고를 삽입하여 브랜드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디자인 QR 코드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패션 브랜드 분야에 있어서 상징성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큰 영향력을 끼친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상징성을 가지는 QR 코드를 마케팅에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기존 사례를 조사하고 다른 분야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한 다양한 QR 코드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QR 코드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하는 것이 마케팅에 효과적임을 현대자동차와 드라마'아테나 전쟁'의 사례를 통해 규명하였다. Recently QR code has been increasingly used due to the code's larger capacity and faster data handling technology. Moreover due to flexibility of modifying the code "Design QR code" was born combining characters and other graphic facial appearance with QR code and it is used as one of powerful way to boost strength of brand identity. Since the design QR code can let users to predict information that they can get from and has friendlier shape than barcode it can effectively attract consumers to use the code and access to further data about the product or service. The design QR code is already broadly used in the global market: Coca-cola Louis-vuitton Marc Jacobs and Calvin Klein have used the code. Korean companies also used the code to build up their brand identity. In this study QR code's utilizations for brand identity were researched focusing on case of fashion brand since symbolic message is more important in the fashion field than others. The cases of the fashion brand that used design QR code for their brand identity were discussed and various ways how to use the code effectively were suggested in the paper. Lastly I proved that the design QR code has a great effect on marketing.

      • KCI등재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모바일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이재영(Lee Jaeyoung),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디지털 미디어 컨버전스(Digital Media Convergence) 환경에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제품 서비스 구조의 본원적인 변화는 소비자 관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현상들을 야기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전개되는 컨버전스 시대에는 소비자들이 융합된 기능 제품 서비스들로 소비자들의 제품소비 패턴이나 규모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paradigm)의 변화는 쇼핑경험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러한 미디어의 혁신과 소비패턴의 변화에 따라 이제 기업들은 전통적인 고객관계 즉 고객에 기반을 둔 다이렉트 마케팅(direct marketing)에서 소비자 중심의 쇼핑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하지만 국내 모바일 쇼핑시장은 시장규모에 비해 아직 미비한 실정이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폰 쇼핑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변화하는 소비자 심리의 이해와 그에 따른 구매행동 변화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1차적으로 문헌자료나 인터넷 서핑 관련서적을 통해 국내 모바일 쇼핑 시장을 분석하고 현재 이용 중인 쇼핑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서비스와 한계점에 대해 정리 분석하여 본 연구 목표달성을 위한 연구가설을 설정 하였다. 그리고 2차적으로 스마트 폰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50명의 표본크기로 설문 조사(survey)를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모바일 쇼핑에 갖고 있는 인식 심리 구매행태에 대한 구체적인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핵심적 조사대상인 스마트 폰을 이용한 쇼핑경험이 있는 대상자들로 소비자 심층인터뷰(depth interview)를 수행하여 모바일 쇼핑(mobile shopping)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니즈를 이해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이것을 활용하여 모바일 쇼핑의 콘텐츠와 정보 제공 방식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안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New changing market due to digital convergence circumstance is expected to be a new phenomenon which has never been undertaken before. It will bring a substantial change in customer's buying patterns and cognitions because consumers desires' are satisfied with those convergence products' function an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reason why mobile shopping should provide a shopping circumstance centered user or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through understanding consumer cognition. I have studied the limitation of mobile shopping and compared previous available applications by using reference book and internet. I'd like to carry out this study because I realized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e change of buying patterns and understanding of users' cognition in order to promote mobile shopping. Primari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hypothesis was formulated by analyzing shopping market and mobile applications. Secondarily I had conducted a survey on 50 smart phone users. Through this result I have verified concrete hypothesis on consumer's cognition psychology and buying patterns. Lastly I had extensively interviewed those who had mobile shopping experiences. It is significantly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stepping-stone that we can use to understand customers needs and therefore satisfy their needs.

      • KCI등재후보

        국내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 네이버지도와 다음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강보람(Gang Boram),김승인(Kim Seungin),이윤식(Lee Yoonshi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내 지도 서비스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네이버지도와 다음지도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국내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해 내고 이를 제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토대를 구축하고 2차로 실험집단을 구성한 뒤 지도 서비스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섯 가지 태스크를 설정하고 수행과정을 시간 기반 태스크 매트릭스(time-on-task metrics)와 에러 매트릭스(errorsmetrics)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Tobii사'의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선호도 조사와 씽크 얼라우드(think-aloud)를 병행하였다. 이 같은 복합적인 사용성 평가 및 분석을 통해 지도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개선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그것은 첫째 제공되는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용성을 높여줄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인터페이스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접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화 된 정보구조(IA: information architecture)의 설계와 더불어 서비스와 사용자 사이의 쉬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분석과 검색엔진의 개발을 통해 검색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정보검색 결과에 있어서 중요한 세부메뉴의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two prominent web sites Naver map and Daum map known for their Local Portal Site Map Services and then make suggestions to enhance their user experience(UX).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establis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after gathering the focus group we set up 5 different tasks to examine the usability of map service. We proceeded with the process of the implementing tasks by using time-on-task metrics and errors metrics. Also we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interface then we did preference research and think-aloud at the same time. We are suggested requirements for user experience improvements from the complicated usability analysis and evalu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inducing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users on the contents provided and develop a user-friendly UI to boost usability. Second to increase efficiency there will be an optimization of information architecture(IA) and there will be a need for intuitive interface design for easy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ervice. Third through variety of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earch engine the search convenience will be improved. And significant details of the menus are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n the search result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contents reflecting the user's needs.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내 공공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이용재(Lee Yongjae),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오늘날의 세계 경제는 서비스산업 중심으로 바뀌었으며 그 서비스는 경험해보지 않으면 그 가치를 느낄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경험 디자인과 서비스 디자인은 세계적 이슈가 되어가고 있다. 디자인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UX(User Experience)의 영역까지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서비스의 영역까지 뻗어가고 있다. 이미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과 미국은 이미 공공서비스의 성공적인 서비스 디자인 사례들이 있으며 국내 공공 서비스도 국민을 위한 유용한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구체적인 솔루션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서비스 디자인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이다. 디자이너는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겪게 되는 모든 경험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서비스를 손으로 만질 수 있고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만들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컨셉을 제시해야 된다. 공급자와 사용자 서로가 원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이 서비스 디자인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중심적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게 논의 되어야하고 유·무형의 요소를 총체적으로 배열하고 가시화하여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바탕으로 해외의 유수 성공사례를 참고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혁신적인 공공 서비스 디자인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The current global economy has changed to service-oriented industry. The value of the service itself cannot be evaluated without the real experience thus the experience design and the service design are now becoming one of the global issues raising higher attention than before. The design is not merely one of the processes for merchandise production but includes the UX (User Experience) that people are actually using and furthermore widens its area to the services well as the experience. There are quite a lot of successful service design references in Europe headed by UK and the United States by improving the public services or the public process. The domestic public service needs more specific solutions on how to provide the useful services to the people. In conclusion the service design offers the service and connects people. A designer is required to carefully observe all the experiences that customers have while using the service create the form of services that can be touched with hands and seen with eyes and then present this service concept generating the new values. Understanding which services both the service providers and the users nee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whole service design planning. In addition more importantly the in-depth discussion on how we can drive it as human being-oriented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should be made. For innovative designs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should be overall arranged and made feasible and then the innovative solutions should be devised. This thesis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ve public service design business models adopting the service design processes with references to the global case studie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by recognizing the concepts and needs of the service design.

      • KCI등재후보

        신도시 도로 교통정보 UX측정을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개발 : 인천 송도 신도시 보행 사용자 UX 측정을 중심으로

        최영현(Choi Younghyun),김승인(Kim Seungin),김원섭(Kim Wonsup),김효일(Kimm Hyoi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경제부의 2009년 디지털디자인기 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정책에 기여 하고자 연구하였다. 현재 "도로명 안내체계 도입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관점의 도로 교통정보 표지판 이용 행태에 대한 사용자 경험측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시 교통정보 사용자를 대상으로 경험측정 프로세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송도 신도시 중 인천자유경제무역청을 중심으로 송도테크노파크와 관련된 도로교통 정보 표지판 설치 구역 12개를 선정하였고 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신도시 도로 교통정보 UX측정을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 개발을 정보평가 인지평가 VR형 대안 실험 환경물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과 같이 실험에 필요한 가상환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신도시 도로 교통정보 UX측정은 가상환경 프로그램에 의한 실험과 현지 UX 측정을 통해 도출하였다. 정량적인 과학적 접근법에 있어서 시선 추적 장치와 인지실험(computer based)을 활용하여 프로세스를 개발 하였으며 실험 전 후 심층 인터뷰와 설문을 병행하여 정성 정량 데이터수집을 한 뒤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도로 교통정보 UX측정을 위한 프로세스 디자인는 "사전프로세스→현황 평가 프로세스 또는 대안평가 프로세스 → 사후 프로세스"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세스 디자인을 실재 보행자 중심으로 UX측정은 한 결과 현장 도로교통정보(도로명 안내체계 도입 시범사업이전) 이용행태 지표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지각지표 : 0.599 인지지표: 0.505 판단지표: 0.686으로 총지표: 1.791 가중치: 0.3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대안환경(VR) 도로교통정보(도로명 안내체계 도입 시범사업 가상적용) 이용행태 지표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지각지표 : 0.298 인지지표: 0.355 판단지표: 0.748으로 총지표: 1.401 가중치: 0.4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로명 안내체계 도입 시범사업 도입시도로교통정보 표지판의 지각성은 현행 정보 표지판 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도로교통정보 설치정보물의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설치 위치와 방향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해야지만 사용자의 이용행태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basis for our research can be found in wanting to decrease the consumerist society creating sunken costs by finding a measure to encourage society for efficient facility usages. We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can we rationalize the users to correctly use road transport information?" and we cognized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process design. Through researching the various ways in which different users perceive and use transport information we propose a system of process able to study the user perception on the experience of transportation. For practical uses the 2010 researches were aimed at demonstrating pedestrian-centered evaluations. Through these researches we were able to reappraise practical usage for the user experience of transportation user perception system process. Additionally we identified drawbacks and proposed new directions for improvements. We find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it is an attempt in a emprically measured practical research that centers around the real users of the road transport information.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주거환경 실태 분석

        신한나(Shin Hanna),김승인(Kim Seung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rom the elderly's needs after researching the complaints of their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 post-aged society of Korea. As the middle-aged population who promoted the economical development in Korea gets older and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is study was processed to make a foundation for their housing environment. It suggests the remedy for the present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by the analysis table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thier dissatisfaction of current residence from surveys and depth interviews of 50 old-people and estimated analysis of needs based on this result. Therefore it reconstructed elderly housing environment by structure product and system divisions kitchen bathroom bedroom living room. The result likes next First in case of kitchen may consider elderly body reaction and awareness of space and material of floor and furniture also needs to consider width and height for elderly disease. living product should construct with appropriate weight of grip lighting system also must be constructive with elderly sight and safety. Second bathroom have to be suggested by elderly safety because it is most dangerous place to elderly population because they have frequent dizzy. Third the living room which spends the most time does approach of space and space easily. Hearing and loses time and is made to throw away and the system equipment must be prepared. 본 연구는 현재 고령화 사회로 세대전환이 급변함에 따라 노년층 인구가 증가할 것에 따른 현 노인주거환경실태를 조사하여 초고령화 사회 노인주거환경을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1차적 초석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니즈를 추출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바탕으로 구성된 설문을 조사 하였다. 설문의 형태는 방문 1:1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통해 노인 주거환경 부엌 욕실 침실 및 거실의 구조·생활용품·시스템으로 각각 나누어 노인 주거환경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엌의 경우 노인의 신체적 반응을 고려한 바닥재와 공간인지가 가능한 구조 그리고 노인성 질환을 대비한 가구의 넓이 높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생활용품은 악력을 고려한 적절한 무게로 구성되어야 하며 노인의 기억력 저하 및 시력 저하를 고려한 안전구조와 조명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욕실은 노인에게 가장 위험한 공간이 될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안전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리고 특히 노인성 질환을 고려한 가구의 높이·넓이가 고려되어야한다. 노인은 잦은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바를 설치하여 노인의 편리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거실은 각방과의 접근이 용의해야하며 청각·시각저하를 고려한 안전시스템 설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내용조사는 1차적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로서 보다 발전된 실질 노인 인지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