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 경제 · 에너지 · 환경 통합정책 개발

        김수이,유승직,오인하,조경엽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연구보고서 Vol.2008 No.12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기후변화협상과 교토의정서를 통해 전세계는 당면한 지구 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선진국의 의무부담에 대한 협상이 UNFCCC(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차원의 특별작업반(Ad hoc Working Group)을 통하여 진행 되고 있으며, 2012년 이후 기후변화 대응 체제 구축을 위한 선진국과 개도국 등 모든 당사국들이 참여하는 '기후변화협약 이행 증진을 위한 기후변화에 대응한 장기협력 대화 채널'(Dialogue on long-term cooperative action to address climate change by enhancing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이 가동 중에 있다. 지금까지의 기후변화협상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non-Annex Ⅰ 국가로서 현재 온실가스배출량 감축의 의무부담국(Annex Ⅰ 국가)에 속해 있지 않지만, 향후 협상 여하에 따라 의무부담국에 편입되거나 자발적 감축량을 설정하는 등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세계 10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경제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유럽 수출자동차, 항공운항 등에서는 직접적인 규제가 가시화되고, 국제회의 등에서는 자축 수출제품의 국제경쟁력을 고려하여 비 온실가스 감축의무부담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에 대한 규제의 펼요성 및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고, 에너지 비용을 낮춤으로써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경제-사회-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중장기적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에 관한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며 이행해야 한다. 저탄소형 경제시스템으로의 이행에 따른 기회비용 최소화를 위해서는 선진국들의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목표, 추진전략, 기술개발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실에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대안을 발굴해야 한다. 또한 저탄소형 경제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따른 소득, 고용, 물가, 국제수지의 변화 등과 같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대안도 발굴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제시스템을 반영한 상향식, 하향식 경제모형에 적용 가능한 우리나라의 저탄소 경제시스템 전환목표, 이행정책 등에 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이를 반영한 에너지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특성, 에너지의 높은 해외의존도, 국내 에너지자원 개발계획, 국내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환경규제정책, 에너지자원기술개발 및 투자 정책 그리고 이러한 산업 구조, 정책의 변화에 대한 예측치를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저탄소경제시스템에 대한 실체를 규명한다. 한편 해외 선진국들의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목표설정, 추진전략 등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목표 및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비용효과적인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에너지효율 개선기술, 온실가스와 오염물질 감축기술 등의 개발, 보급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향후 예상되는 기술개발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효율 개선 등의 기술개발에 대한 국제 동향 및 전망자료 둥을 활용하여 기술개발의 방향 및 이로 인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비용 저감효과 등을 추론한다. 저탄소 경제시스템의 목표,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대안에 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상향식-하향식 경제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관련 기술의 개발 동학을 설정하고 이를 하향식 및 상향식 모형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저탄소 시나리오를 산출한다. 내생적 경제성장모형에서의 1. Research Purpose Through a series of climate change negotiations and the Kyoto protocol, great efforts have been made worldwide to address the issue of global warming. In particular, The negotiations on post 2012 further commitments for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continued through the Ad Hoc Working Group on Further Commitments for Annex Ⅰ Parties under the Kyoto Protocol(AWG-KP). In addition, Ad Hoc Working Group on Long-term Cooperative Action under the Convention(AWG-LCA) by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attended by all the nations concerned including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to establish the scheme for addressing climate change by 2012 is now in operation. Based on the climate change negotiations to date, Korea is currently exempted from the oblig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GHG) emission as a non-Annex Ⅰ party. Sooner or later, Korea is expected to promote a substantial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y since it is likely to be classified as an Annex Ⅰ nation depending on the negotiations in the future or obliged to take a preparatory step toward cutting down its emission volume voluntarily. On the other hand, as the 10th largest producer of greenhouse gas, Korea needs to adopt an appropriate economic system that can reduce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 In this situation, for the automobiles exported to Europe, air transportation, etc., direct control is visualized. Furthermore,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etc., the necessity and method of regulation of goods imported from non-Annex Ⅰ parties are discussed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ir own exported produ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intain continued economic growth through the low-carbon economic system and establish an economy-society-environment system that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by lowering the energy cost.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domestic economy as well as maximize the effect of raising the quality of life, establishing the objective and strategy related to the shift to the mid-/long-term low-carbon economy and assessing/ implementing it successively are inevitable. Minimizing the opportunity cost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to the low-carbon economic system requires exploring an alternative policy that is appropriate and reasonable for the reality of Korea by analyzing the status of advanced nations in terms of their policy objective, strategy promoted, technical strategy, etc., vis-a-vis the low-carbon economy. Furthermore, exploring an alternative policy that can minimize the economic cost by analyz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such as changes in income, employment, price, international balance of payments, etc.,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 scenario concerning the objective and implementation policy of Korea to shift to the low-carbon economic system applicable to the Bottom-up & Top-down Economic Models reflecting the economic system of Korea as well as the basic direction of the energy policy reflecting such. Furthermore, it aimed at exploring the substance of the low-carbon economic system that can adapt itself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by reflecting the nature of the nation's industrial structure, high energy dependence on foreign sources, nation's plan to develop energy resources, policy of environment control to reduce domestic pollutants, policy for development and investment related to energy resource technology, and prediction of changes in these industrial structures and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related to the objective and policy applicable to Korea through an exemplary analysis of the objective setting, strategy promotion, etc., of advanced nations vis-a-vis their low-carbon economy and analyze further the effect on the expected technical development in the future through an actual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 KCI등재
      • 국내 제조업부문의 에너지소비, 생산, 수출간의 상관관계 분석

        김수이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6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하계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에너지소비, 생산, 수출의 상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제조업을 9개 산업으로 나누어 1991년부터 2013년까지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VECM 방법론과 더불어 Demitrescu and Hurlin (2012)에 의해서 개발된 패널 Granger causality test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생산에서 에너지소비로, 수출에서 에너지소비로의 Granger Causality가 존재하였다. 하지만 그 역으로는 Granger Causality가 성립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조업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은 생산이나 수출에 역효과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추진될수 있다는 Qzturk(2010)의 보존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생산, 에너지소비, 수출, 노동, 자본간에 장기 공적 분관계가 존재하며, 장기균형관계에서 에너지소비가 생산의 증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듣기–쓰기’ 글쓰기 모형의 이론적 근거— ‘ 공동체 지향 글쓰기’ 의 방법론 1

        김수이 한국문예창작학회 2017 한국문예창작 Vol.16 No.3

        Writing Education has used ‘Speaking-Writing’ Model just accessorily while mainly focusing on ‘Reading-Writing’ Model until now. A ‘Reading- Writing’ Model is always placed in the secondary position regarding to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as the basic and ultimate subjects of writing as the model develops reading (accepting) and writing (producing) targeting some written texts. The reason is because ‘Reading-Writing’ Model cannot help but being developed in a way that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are learned by the medium of a piece of writing rather than facing human beings and their lives directly. In addition, it is in a strong trend that writing a writer’s own experiences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valuable parameter in writing is also being developed in a way of being reorganized or recreated creatively by referring to the exiting pieces of writings and texts.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self-reflection that writing education could not have considered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more aggressively since it has been immersed in ‘the enhancement of ways of thinking and expression of a subject body and its self realization’ until now. One of the causes having generated such kinds of problems is originat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existing writing education methodology having focused on ‘Reading-Writing’ Model until now. It is assumed that the ‘Speaking-Writing’ Model is exposed to the same kinds of problems from the aspect that the model is also a subject bodyoriented activity for expressing the ideas and thoughts of a subject bod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re is suggested a ‘Listening-Writing’ Model for listening directly to others’ words and for listening directly to or while imagining the voices of a community which cannot write by itself or has no voice of itself. The ‘Listening-Writing’ Model is not conflicted against the ‘Reading-Writing’ and ‘Speaking-Writing’ Models, but a mutually supplementing model for supplementing the weaknesses. The ‘Listening-Writing’ Model is closed directly to the primary texts mentioning human beings and lives and targets the sounds of all things existing over the world while overcoming the limits of ‘written writings’ and focuses on feeling as a community with other people and thinking ethically while approaching to other people by putting his ego out of his subject body. An aggressive reason for the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which the ‘Listening-Writing’ Model pursues has the double-effects from the aspect tha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death of self ’ and ‘self-ego as another person’ for realizing a real self.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Listening- Writing’ Model might be useful as a specific methodology with which the writing education can run parallel with some humanistic education through the thoughts of the other people and a community under the reality of the present days when the crises of mankind is accelerated due to the loss of humanity and the collapse of each community. 그동안 글쓰기교육은 ‘읽기-쓰기’ 모형을 중심으로 ‘말하기-쓰기’ 모형을 보조적으로 활용해 왔다. 읽기-쓰기 글쓰기 모형은 글로 쓰인 텍스트를중심으로 읽기(수용)와 쓰기(생산)를 전개함에 따라, 글쓰기의 원초적이며 궁극적인 재료인 ‘인간과 삶’에 대해 2차적인 위치에 있게 된다. 인간과 삶 자체와 직접 만나기보다는 ‘글’을 매개로 하여 인간과 삶을 학습하는 양상으로 전개되는 까닭이다. 또한 글쓰기에서 가장 가치 있게 여겨지는, 글 쓰는사람 자신의 경험을 쓰는 일에서도 기존의 글-텍스트를 참조하여 창의적으로 재구성하거나 재창조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본고는 지금까지 글쓰기교육이 ‘주체의 사고・표현 능력 향상 및 자기실현’에 몰두함으로써 타자와 공동체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유하지 못했다는반성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낳은 원인의 하나가 그동안 글쓰기교육의 방법론이 읽기-쓰기 모형 위주로 전개된 점에 있다고 본다. 말하기-쓰기 모형 역시 주체의 생각과 표현을 위한 주체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에서동일한 문제점을 노출한다고 본다. 이에 본고는 타자의 말을 직접 듣고, 글로 쓰이지 못하고 목소리를 갖지못한 공동체의 목소리를 직접 혹은 상상하여 듣고 쓰는 ‘듣기-쓰기’ 모형을 제안한다. 듣기-쓰기 모형은 읽기-쓰기 및 말하기-쓰기 모형에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약점을 보강하는 상호보완적인 모형이다. 듣기-쓰기 모형은 인간과 삶(이라는 1차 텍스트)에 직접 밀착하고, ‘기록된 글’을 넘어세계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소리를 대상으로 하며, 주체 자신의 경계를흔들어 타자에게 다가가 타자와 공동체로서 느끼고 사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듣기-쓰기 글쓰기 모형이 지향하는 타자와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인 사유는, 진정한 자기의 실현을 위해서도 ‘타자로서 자기 자신’을 만나고 타자와 ‘공동의 현재’를 수립하는 일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이중의 효력을 갖는다. 듣기-쓰기 모형은 인간성의 상실과 공동체의 와해가 인류의 위기를가속화하는 오늘의 현실에서 타자와 공동체에 대한 사유를 통해 글쓰기교육이 인성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도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한 한국의 CO<sub>2</sub> 배출량에 대한 EKC 가설 검증: 지역별 CO<sub>2</sub> 배출량과 GRDP를 중심으로

        김수이,정경화,Kim, Suyi,Jung, Kyung Hwa 한국자원경제학회 2014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3 No.4

        This research tested the EKC (Environment Kuznets Curve) Hypothesis using the $CO_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We built the panel data set on the 15 local government region from 1990 to 2010 for this analysis. GRDP, population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as consider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regional $CO_2$ Emissions. Analysis method in this research is panel GLS model as Lantz and Feng (2006). The results show that the EKC hypothesis did not hold in Korea but there is inverted U relationship between the $CO_2$ Emissions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A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s, the $CO_2$ increased but decreased after a certain level.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CO_2$ 배출량과 지역별 GRDP데이터를 사용하여 EKC(Environment Kuznets Curve)를 검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서 1990년부터 2010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15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지역별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인당 GRDP, 인구, 총요소생산성 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CO_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Lantz and Feng(2006)에서와 마찬가지로 패널 GLS 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EKC 가설이 성립하지 않았지만 총요소생산성의 경우에는 $CO_2$ 배출량과 역 U자형 관계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특히 기술 진보를 대변하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할수록 $CO_2$ 배출량이 증가하지만 일정수준 이후에는 $CO_2$ 배출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요인 분해 분석

        김수이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8 에너지경제연구 Vol.17 No.1

        This paper analyzes a factor decomposition of GHG emissions in domestic electricity generations sector using LMDI(Log Mean Divisia Index) method. These factors are divided into six factors: population effect, electricity intensity effect, electricity generation mix effect Ⅰ(generation mix effect by total fossil fuel generation ratio), power generation mix effect Ⅱ(generation mix effect among fossil fuels), electricity generation efficiency effect, and emission factor effect. The analysis period covers the last 6 years from 2010 to 2015. The results show that the power intensity effect is the biggest factor in the increase of GHG emissions of domestic electricity generation sector, followed by the population effect. The other factors influenced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order of power generation efficiency effect, power generation mix effect Ⅱ, and power generation mix effect Ⅰ. These differences mainly result from the combination of emission trading system, RPS,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emporary suspension of nuclear power plants was a major factor in the change in 2013. 본 논문은 LMDI(Log Mean Divisia Index)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요인분해분석을 하였다. 국내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요인분해는 인구효과, 전력집약도 효과, 발전믹스 효과Ⅰ(총 전력생산에서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비율에 의한 발전믹스효과), 발전믹스 효과 Ⅱ(화석연료간의 믹스에 의한 발전믹스효과), 발전효율효과, 배출계수효과 등 여섯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기간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6년간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2010∼201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변화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국내 발전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은 전력집약도 효과이며, 그 다음으로 인구효과이다. 그 외 요인으로는 발전효율효과, 발전믹스 효과 Ⅱ, 발전믹스 효과Ⅰ순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영향을 미쳤다. 배출권거래제, RPS,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연도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3년에는 원자력발전소 일시중단에 따른 효과가 큰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