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악보 명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

        김성혜 ( Kim Seonghye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이 글은 국립국악원에서 간행한 『한국음악학자료총서』에 수록된 고악보 중에서 악보의 명칭에 관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시도한 글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고악보 명칭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음악학자료총서』에 수록된 고악보 서명이 악보 표지명에 의거한 경우를 검토한 결과 서명이 중복되는 사례가 6건 발견되었는데, 다른 악보의 명칭과 변별력이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금보』라는 서명으로 중복되는 것이 4건, 『양금보』라는 서명으로 중복되는 것이 2건이다. 이처럼 고악보 명칭이 중복되는 것은 특이사항을 고려하여 별칭을 부여해야 한다. 둘째, 고악보 서명이 중복되어 별칭을 지을 때 편자 혹은 편찬 기관 및 내용에 의거하여 지어진 경우를 검토한 결과, 악보를 해제한 연구자마다 주안점으로 삼은 요인이 편자의 호, 편자의 거주지와 성씨, 낙관, 이름, 편찬기관명, 내용 등 매우 다양하여 일관성이 부족한 것이 문제였다. 이것은 별칭을 지을 때 주안점을 두는 기준을 수립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문제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은 주요 요인에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일정한 규칙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고악보 표지명이 중복되어 별칭을 지을 때 악보 소장자의 이름이나 호(號)에 의거하여 작명한 사례를 검토한 결과 어떤 경우에는 이름을 부여하였고, 또 어떤 경우에는 호를 부여하여 이 역시 일관성이 없는 점이 문제였다. 이에 대한 개선책은 현대 사회는 주로 실명을 거명하므로 별칭에 소장자의 호를 사용하기 보다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런 경우 편자 이름과 혼동되지 않도록 소장자 이름 다음에 ‘소장(所藏)’이란 용어를 병기(倂記)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넷째, 고악보 표지명이 중복되어 별칭에 악보 소장처를 부여한 경우를 검토한 결과, 고악보를 소장한 기관이 대부분 대학교 도서관이었는데 어떤 경우는 학교 이름을 부여하지 않고, 대학교 도서관 내 특별 문고 이름을 부여한 사례가 있어 일관성이 결여된 것이 문제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소장처가 대학 도서관일 경우 그 학교 이름을 우선으로 부여한다는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기존에는 주로 대학명의 첫 글자만 부여했는데, 이것보다는 분명한 명칭을 부여하여 변별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국립국악원에서 정기간행물로 출판하고 있는 『한국음악학자료총서』에 수록된 고악보의 명칭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드러내고, 명칭을 지을 때 필요한 몇 가지 규칙을 제안하였다. 여기에 필자의 식견이 부족하여 잘못 판단한 부분도 있을 것이나, 이런 부분은 향후 식견이 넓은 자의 질정을 바란다. This research is to address a few problems of the titles of the ancient musical scores found in the Collection of Korean Musicology Materials publish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First, among the cases where the titles of the ancient musical scores follow the book titles, there were found six cases of the same titles. The problem is that they can’t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ir titles. There are 4 cases entitled Geumbo, and 2 cases Yanggeumbo. The problem can be corrected if alternative titles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scores are provided. Second, the alternative titles, which were given based upon the compilers, the compilation institutes and the contents, have no consistency. The researchers used different standards for entitling them ranging from the compiler’s name to the name of the compilation institute. The problem comes from the lack of common standard. Therefore, it’s important to sort out priorities in naming them and to establish a standard. Third, as for the cases where the name or the pen name of the owner of the musical score is used for the alternative title, some were named after the owners’ names, while others after their pen names. Since in the modern world, we tend to prefer our own name in most transactions, it will be better to follow the name of its owner than their pen name. In addition, it would be wise to place the word ‘owner’ next to the name of the owner to prevent the confusion with that of the compiler. Lastly, in case where the alternative titles were given following the name of the institution where the musical scores are kept, the institutions were mostly college libraries. In those cases, naming wasn’t consistent, either. Then,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such a standard as that the college name should be used as the title. In addition, only the first letter of the college name used to be offered in the title, but it will be better to use two letters out of the college name to make it more discernable. So far, the titles of the ancient musical scores in the Collection of Korean Musicology Materials have been examined and a few suggestions made to make some improvements. When the titles of the ancient music scores are repeated, it is inevitable to make an alternative title. However, as it turned out through this research, there has been no specific standard to name them. Just like the names of ancient artifacts, the titles of ancient music scores are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studied and examined by many different peopl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have a standard in naming them.

      • KCI등재

        신라 고취대 재현을 위한 악기 편성 연구

        김성혜 ( Seonghye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4 No.-

        이 논문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列傳) 김유신(金庾信) 조에 기록된 내용 가운데 “673년 7월 1일 김유신이 죽자 문무왕(文武王)이 군악고취(軍樂鼓吹) 100명을 보내어 장례에 사용하게 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오늘날 신라고취대(新羅鼓吹隊) 재현을 위한 악기편성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역사적 근거를 찾기 위해 고취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고취대 편성구조와 편성악기의 종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을 검토한 결과, 신라고취대는 병부(兵部) 산하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고 편성 인원은 적게는 38명, 많게는 100명 이상의 규모를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고취대 수행자는 군영(軍營) 소속 군인이었고, 인솔자는 병부 산하 제감(弟監) 정도의 직급으로 추정하였다. 고취대의 용도는 군영에서 신호의 역할 또는 군사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데 쓰였으며, 국왕을 비롯한 일부 왕족과 귀족의 장례를 비롯한 의례에 이용되었다. 삼국시대 신라(新羅)와 병존한 고구려(高句麗) 및 통일신라(統一新羅)와 병존한 당(唐)의 고취대 구조를 검토하고, 신라문화의 전통을 계승한 고려(高麗) 고취의 구조를 파악하여 서로 공통된 요소로서 신라고취대(新羅鼓吹隊)의 편성 구조에 대한 윤곽을 파악하였다. 편성 악기의 종류에 대해서는 현재 편성된 악기 가운데 신라에서 사용한 악기를 검토하고 기록과 음악고고학(音樂考古學) 자료에 드러난 악기 중 고취대 편성에 사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고구려와 당 그리고 고려 각 나라 왕조의 고취대 편성 구조는 신분에 따라 차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신라 역시 국왕의 거둥 때는 국왕의 수레를 중심으로 앞과 뒤에 고취대가 각각 편성된 구조로 보았다. 신라시대 사용된 악기 가운데 고취대에 편성이 가능한 것은 각(角: 喇叭) · 라(螺: 螺角) · 피리(필률) · 생(笙: 笙簧), 이상 관악기(管樂器) 4종과 징(大金) · 바라(발라: 자발라) · 북(鼓: 中鼓) · 박판(拍板) · 강고(강鼓) · 도고(도鼓), 이상 타악기(打樂器) 6종으로 모두 10종이다. 이외 편성의 규모에 따라 삼죽(三竹)인 대금(大금) · 중금(中금) · 소금(小금)과 요고(腰鼓)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신라고취대의 최소 편성 인원인 38명과 최대 편성 인원인 100명 이상 즉 108명을 기준으로 고취대 편성구조를 제안하였다. 38명을 편성 인원으로 한 경우는 음량이 풍부한 각 · 라 · 피리 · 생 · 징 · 바라 · 북 · 박판 · 강고 · 도고, 이상 10종의 신라악기로 편성했다. 그리고 108명의 대형 편성을 기준으로 한 경우는 의례 또는 행사의 규모가 클 경우에 맞춘 것으로서 음량이 풍부한 10종의 악기 외에 삼죽(三竹)과 요고(腰鼓)를 더하였다. 이는 신라시대에 사용된 악기를 빠뜨리지 않고 시연함은 물론이고 행사 전체를 장엄하게하기 위함이다. 악기 중에서 음량이 적은 악기는 음향기기의 도움을 받아서 그 특징을 잘 살리면 신라고취대가 현대에 부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nstrumentation for the marching band of Silla, the Silla Koch`widae 新羅鼓吹隊, based on the record found in the biography of Kim Yu-sin 金庾信 in Samguk sagi 『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It writes, “When Kim Yu-sin died on July 1st in the year of 673, the King Munmu 文武王 sent a military marching band (koch`wi) of 100 soldiers to his funeral.” The Koch`widae 鼓吹隊 related literature was referenced to establish the historical found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marching band and the kinds of its instruments were also studied. The Silla Koch`widae was very likely to belong to Pyongbu 兵部 (Ministry of Military Affairs). The number of personnel may have ranged from 38 to as many as 100. The koch`widae players were soldiers that belonged to a military camp (kunyong 軍營), and the rank of its director was assumed to be as high as the chegam 弟監 of Pyongbu. The functions of koch`widae were to signal the army in a battle field for various military tactics, to raise the morale of the soldiers and to perform at the funerals of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and for a variety of ceremonies. The counterparts of Tang 唐 China, Koguryo 高句麗, and Koryo 高麗, which inherited the cultural tradition of Silla, were cross-referenced to figure out the structure of the Silla Koch`widae. The original instrumen- tation for the marching band was assumed through comparing between the current instrumentation and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Silla Kingdom and examining other available instruments found in the musico-archaeological remains. The arrangement of the koch`widae was different according to social status in the Tang China, Koguryo and Koryo Kingdoms. In the Silla Kingdom, when the King went somewhere in royal palanquin, the marching band was arrang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royal palanquin. The instruments that could be used in the koch`widae among those also used in the Silla Kingdom, are 10 instruments, which are 4 pipe instruments including kak 角 (horn trumpet known as nabal 喇叭), na 螺 (conch shell, nagak 螺角), p`iri 필률 (cylincrical oboe), and saeng 笙 (笙簧: mouth organ) as well as 6 percussions, i.e. ching 징 (大金: large gong), para 발라 (자발라: large cymbal), puk 북 (鼓: drum), pakp`an 拍板 (拍: wooden clapper), kanggo 강鼓 (carrying drum), and togo 도鼓 (swinging hand drum).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and, samjuk 三竹 (three bamboo flute) ―taegum 大금 (large transverse flute), chunggum 中금 (medium transverse flute), sogum 小금 (small transverse flute)― and yogo 腰鼓 (waist drum) could be added. The least number of the performers of the koch`widae is 38, which could be extended to as many as over 100 to 108. In the case of a 38 member band, the ten Silla instruments are employed owing to their ample sound quality. The 108 member band is organized for grand ceremonies, which not only employed the ten Silla instruments but also samjuk (three bamboo flute) and yogo (waist drum), so that not any of the Silla instruments is left out in demonst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dditional instruments contribute to create a solemn atmosphere for the ceremony.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ound of the Silla Koch`widae would not be far-fetched if some suitable sound system is employed to amplify those instruments whose sound quality are not ample enough.

      • KCI등재

        산업단지 외부 지식산업센터의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성혜(Kim SeongHye),고현림(Ko HyunRim) 한국주거환경학회 2016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4 No.2

        Until now,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generally had been purchased directly by the small and mid-sized firms. Due to the lowering interests, however, investments on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are becoming more active. Therefore, an economic feasibility research is needed to find current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moving factors, as well as on the rate of return, price making factors, and determinants on rent. This study analyzed 336 lease cases of Seongsu-dong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actual data.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ivided the factors largely into three parts-locational factor, building factor, and individual factor-and noted how each factor influences the rent. The study’s conclusion showed that locational factor and building factor strongly impacted the rent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and in particular, the area of exclusive-use space, option to install free-standing wall, and option to convert building usage to office had significant impacts on natural log of the rent per area.

      • KCI등재

        장월중선이 전승한 열사가의 의미

        김성혜 ( Kim Seonghye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3 No.-

        열사가는 일제에 항거했던 여러 열사들의 삶을 소리로 엮은 창작판소리다. 박동실은 해방 이후 열사가 4곡을 작곡하였고, 박동실의 제자 장월중선은 13세 때부터 3~4년 간 스승에게 판소리 심청가와 춘향가를 배웠다. 그리고 박동실의 창작 판소리인 열사가 역시 전승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지만, 장월중선이 전승한 열사가에 대한 조명은 그동안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 장월중선이 박동실에게 열사가를 배운 배경과 장월중선이 소리한 열사가의 음원을 조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월중선은 어린 시절부터 소리를 민첩하게 배웠고 배운 소리를 오랫동안 기억하는 천재적인 능력자였다. 그래서 박동실이 열사가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장월중선은 소리를 저장하는 녹음기 역할을 하였다. 특히 장월중선은 박동실이 <유관순 열사가>를 작곡하는 과정에서 소리를 배운 제자였다. 그러므로 장월중선의 <유관순 열사가>는 원천적인 성격을 지닌 음원으로서 그 가치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유관순 열사가>는 완창의 소요 시간이 약 70분으로 열사가 중 가장 긴 소리다. 이처럼 긴 소리의 <유관순 열사가>를 박동실이 작곡할 수 있었던 그 배경에는 바로 장월중선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박동실의 이러한 창작 과정은 장월중선에게 향후 창작의 세계로 접어들게 한 동기 부여가 된 데 의미가 있다. 둘째, 장월중선이 소리한 열사가의 음원을 조사한 결과, 장월중선이 30대시절에 가장 선호한 열사가는 <안중근 열사가>였으며, 1950년대 후반~1960년대 초반에 이 소리를 녹음한 사례가 있었으나, 음원은 소실되었다. 셋째, 장월중선이 소리한 현존 유일의 열사가 음원은 그녀가 타계하기 두달 전에 녹음한 <유관순 열사가>이며, 『국악 명가의 후손들』 CD1에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1996~1997년 기간에 제자 김수미와 이선숙에게 <유관순 열사가>를 가르칠 때 녹음한 테이프가 현존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전자의 경우 <유관순 열사가> 19개 대목의 소리가 모두 수록된 데 가치가 있으나, 아니리 부분이 다소 결락된 것이 아쉽다. 결국 장월중선이 소리한 열사가 음원은 <유관순 열사가>뿐이다. 장월중선이 창한 <유관순 열사가>를 담고 있는 『국악 명문가의 후손들』 음원은 발행된 지 17년이 지났고 비매품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구할 수 없다. 그리고 장월중선의 제자인 김수미와 이선숙이 소장하고 있는 장월중선 창 <유관순 열사가> 음원도 모두 개인소장이며, 미공개 자료이기 때문에 대중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Yolsaga” 烈士歌 composed by Pak Tong-sil 朴東實 in 1945 right after the Liberation, is a ch’angjak p’ansori 創作판소리 about various patriots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ism. Chang Woljung-son 張月中仙, a student of Pak Tong-sil, had learned “Simch’ongga” 沈淸歌 and “Ch’unhyangga” 春香歌 from him for about 4 years since when she was 13 years old. Although Pak Tong-sil’s “Yolsaga” is well known up until now, the version of “Yolsaga” that Chang Woljung-son inherited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background in which Chang Woljung-son learned “Yolsaga” and the recorded “Yolsaga” by Chang Woljung-son. Chang Woljung-son was a prodigy from her childhood. She was quick at learning and could remember so well what she learned that she played a role of recorder while Pak Tong-sil was composing. When Chang Woljung-son was learning from him, Pak Tong-sil was composing “Yu Kwan-sun Yolsaga” 柳寬順 烈士歌. It is not difficult to guess that Chang Woljung-son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ak Tong-sil making the song. Therefore, Chang Woljung-son’s “Yu Kwan-sun Yolsaga” has its significance as an original. “Yu Kwan-sun Yolsaga” is the longest p’ansori among the others. If its length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s, it is as 3.5 times long as “Yi Chun Yolsaga,” 이준 烈士歌, as 5.8 times long as “An Chung-gŭn Yolsaga” 安重根 烈士歌 and as 4.3 times long as “Yun Pong-gil Yolsaga.” 尹奉吉 烈士歌 It is presumed that Pak Tong-sil was able to compose such a long p’ansori as “Yu Kwan-sun Yolsaga” thanks to the presence of Chang Woljung-son. Pak Tong-sil’s compos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must also have influenced and motivated Chang Woljung-son to compose her own works in her later life. The recorded songs by Chang Woljung-son were examined. It turned out that Chang Woljung-son’s favorite in her 30’s was “An Chung-gŭn Yolsaga.” It is said that she recorded the p’ansori either in the late 1950s or the early 1960s, but none of the copies have survived. The only existing recorded “Yolsaga” by Chang Woljung-son is “Yu Kwan-sun Yolsaga” which she recorded 2 months before she died. It is found on the CD 1 of Descendents of the Prestigious Family for Kugak 『국악 명문가의 후손들』. It is verified that Chang Woljung-son recorded it as she taught “Yu Kwan-sun Yolsaga” to her students, Kim Su-mi and Yi Son-suk, in the years of 1994 and that the record still exists. While it is valuable because it has the 19 parts of “Yu Kwan-sun Yolsaga,” it’s a bit disappointing that the aniri 아니리 part is missing. It has been 17 years since the Descendents of the Prestigious Family for Kugak was released. It wasn’t intended for sale. Therefore, it’s rarely available to the public. “Yu Kwan-sun Yolsaga” records owned by the students of Chang Woljung-son, Kim Su-mi and Yi Son-suk, are also personal collection. It is hard for the public to have an access to such materials. Given that,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for the public to share those materials.

      • KCI등재

        『학포 현금보』의 구성에 관한 연구

        김성혜 ( Kim Seonghye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2

        『학포 현금보(學圃玄琴譜)』는 191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거문고 악보다. 영산회상, 가곡, 여민락 등의 악보가 수록되어 있어 악곡의 변천사 연구에 널리 활용되는 고악보다. 하지만 이 악보에는 표지가 이중으로 되어 있고, 내용 역시 중복되는 등 몇 가지 문제가 있기에 필자는 『학포 현금보』의 구성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이 악보는 ‘현학금보략(玄鶴琴譜略)’ ‘현금보(玄琴譜)’ ‘현학금보략(玄鶴琴譜略)’으로 구획되어 있다. 중간에 있는 ‘현금보’는 악보 표지가 별도로 있고, ‘학포(學圃)’라는 낙관도 여기에만 나타나며, 분량도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하나의 독립된 악보로 간주하였다. 한편, 앞에 있는 ‘현학금보략’은 뒤에 있는 ‘현금보’와 ‘현학금보략’의 내용 일부를 베껴서 이루어진 것이며, 중간에 ‘한 장’ 분량의 내용이 누락되었고, 끝부분 역시 미완성 상태이므로 사료적 가치가 적다고 판단하였다. 그런 반면 마지막에 있는 ‘현학금보략’은 앞의 ‘현학금보략’에 비해 내용이 충실하여 사료적 가치가 있지만, 중간에 악보 순서가 뒤바뀐 부분이 있기 때문에 향후 영인본을 다시 출판할 것을 제안하였다. Hakpo hyeongeumbo(學圃玄琴譜) is an old music note that is assumed to have been published in 1910s. Since the music notes, such as those of yoengsanhoesang(靈山會上), gagok(歌曲) and yoeminlak(與民樂), are compiled here,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historical record for the chronological study of musical pieces. However, there are a few things that make it less reliable as a historical source, such as double covers and repetition of some contents. This study on its composition aims to clarify those issues. Hakpo hyeongeumbo is divided into hyeonhakgeumboryak(玄鶴琴譜略), hyeongeumbo(玄琴譜) and hyeonhakgeumboryak(玄鶴琴譜略). Hyeongeumbo that is found in the middle has a separate cover and the only signature that reads ‘hakpo.’ It takes up more than 70% of the music note and,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ndependent music note. However, the hyeonhakgeumboryak placed before hyeongeumbo in the music note isconsidered less desirable as a historical record than the other two because some of its contents seems to have been copied from hyeongeumbo that comes after it and the last hyeonhakgeumboryak. In addition, it misses a page-length of content in the middle and the ending is incomplete. In contrast, the last hyeonhakgeumboryak has a better historical value than the previous one in terms of its credible contents, except for the inverted order of the musical notes, for which a publication of its facsimile edition is recommended.

      • KCI등재

        삼현육각이란 용어의 생성과 왜곡

        김성혜 ( Kim Seonghye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이 글은 현재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삼현육각(三絃六角)’이란 용어의 어의에 문제를 제기하여 이 용어의 생성 배경과 왜곡 과정을 조명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삼현육각이란 용어는 조선시대 ‘삼현(三絃)’ 혹은 ‘육잽이’란 용어에서 비롯된 낱말이다. 삼현은 신라 때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이상 3종의 현악기를 지칭한 데서 비롯되었으나,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악기로 연주하는 악곡을 지칭하기도 하였다. 특히 민간에서 연주하는 음악을 ‘삼현’이라 지칭했으며, 이 음악을 연주하는 대금 1, 피리 2, 해금 1, 장고 1, 북 1 이상 6명의 연주자를 지칭하기도 하였다. 한편, 민간인들은 6명이 연주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이를 ‘육잽이’라고 지칭했다. 그런데 20세기초기 유성기 음반에 육잽이를 한자로 ‘六樂’이라 표기하고, 한글로 ‘륙각’이라 표기하는 변화가 일어났다. 여기서 ‘륙각(六樂)’은 두음법칙과 연음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된 표기다. 그후 1917년과 1918년에 ‘육악(六樂)’을 ‘육각(六角)’으로 왜곡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육각(六角)’은 삼현을 의미하는 ‘육악(六樂)’을 잘못 표기한 왜곡이요, 명백한 오류다. 이렇게 표기한 장본인은 ‘풍류생(風流生)’이란 필명을 사용하는 인물과 이름을 밝히지 않은 또 한 명의 인물이다. 이 두 사람은 우리음악이나 악기에 대한 기본식견이 부족한 사람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6인이 연주하는 5종의 악기중에 ‘향피리 2’를 ‘당피리 2’ 혹은 ‘당피리 1’ ‘향피리 1’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927년으로 접어들면 ‘육각’이 다시 ‘삼현육각’으로 2차 왜곡이 발생한다. 이때 바로 ‘삼현육각’이란 용어가 새롭게 생성되었다. 이 용어는 1927년 김동환에 의해 비롯되었다. 이렇게 생성된 ‘삼현육각’이란 용어는 1930년대에 판소리 명창 송만갑에 의해, 1940년대에는이왕직아악부와 문인이자 사학자인 최남선에 의해 그리고 1950년대에는 제1세대 음악학자인 이혜구 등에 의해 정착되어 오늘에 이른 것이다. 결국 민간 6인조 악단 혹은 그 편성을 기존에는 ‘삼현’ 혹은 ‘육잽이’라 지칭했으나, 이 용어가 일제 강점기에 1차로 ‘육각(六角)’, 2차로 ‘삼현육각(三絃六角)’이란 용어로 왜곡되어 지금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왜곡과 오류가 발생한 원인은 우리의 전통음악 문화를 기록하는 주체가 1890~1940년사이에 단절되거나 바뀌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왜곡된 용어를 사용한 지가 어느새100년이란세월이흘렀지만, 지금부터라도 바로 잡아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필자는 ‘삼현육각’를 ‘삼현’ 혹은 ‘육잽이’라 칭할 것을 제안한다. This thesis raises a question about the most well-known meaning of samhyeonyukgak. To find the correct definition of the term,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word and the process of its distortion had to be studied. The term, ‘samhyeonyukgak’, derives from the Joseon-era word ‘samhyeon’ or ‘yukjaebi’. ‘Samhyeon’ used to refer to the three stringed-instruments of the Silla dynasty, geomungo, gayageum and hyangbipa. However,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ieces of music performed by these instruments were also called the same. Especially the music the civilian performed was called ‘samhyeon’. Not only that, the term also referred to those 6 performers who played this music. It required 6 instrument players, one each for daegeum, haegeum, janggo, buk and two for piri. Because there were 6 members, people also called it ’yukjaebi.‘ In the early 20th century, ‘yukjaebi’ was introduced as ‘六樂’ in Chinese and ‘ryukgak’ in Korean on the cover of a gramophone record. It seems to have been transcribed as ‘ryukgak’ owing to the Korean word initial rule and the prolonged sound phenomenon. Later in 1917 and 1918, it happened that ‘六樂’ was wrongly spelled as ‘yukgak(六角).’ Yukgak(六角) is a mistranscription of yukak that represents samhyeon. Those who committed this error were the one whose pseudonym was ‘Pungryusaeng’ and the other that hasn’t yet been identified. These two don’t seem to have had enough expertise in Korean music and instruments. Because, of the 5 instruments performed by six players, they looked upon hyangpiri 2 as either dangpiri 1 or dangpiri 2 or hyangpiri 1. In 1927, another distortion of the term took place: ‘samhyeon’ was added to ‘yukgak’, forming ‘samhyeonyukgak’. This new term was first introduced by Kim donghwan in 1927; Since then it had been reinforced by Song Mingap, the pansori master singer in the 1920s; Choe Namseon, a writer and historian in the 1940s; and finally settled down as an official term by Yi Hyegu, the first generation music scholar in the 1950s. In short, ‘samhyeon’ or ‘jukjaebi’ originally meant and referred to six-member music and its arrangement, b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fist mistranscribed as yukgak and then to samhyeonyukgak. Since then, it has been established as an official music term without a challenge up until today. The reason for the distortion and mistranscription could be ascribed to the absence of an authority for recording our traditional music from 1890 to 1940. It has almost been 100 years since the wrong term started to be used, and it should be corrected: the original ‘samhyeon’ or ‘yukjaebi’ should replace ‘samhyeonyukgak.’

      • 카누 선수들의 패들링에 대한 운동학적 주요 차이 분석

        김성혜 ( Kim Seonghye ),김규완 ( Kim Kewwan ),전경규 ( Jeon Kyoungkyu )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7 스포츠科學硏究誌 Vol.30 No.0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inematic factor of upper limbs to difference of excellent female high school canoe athlete and non-excellent athlete in conducting paddling mo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8 Canoe female high school athletes from I city who were classified as excellent and non-excellent athlete by their prize-winning. They conducted paddling movement using kayak ergometer. The duration, angle, speed, and acceleration of paddling movement of starting section (0~10 secon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duration by section at starting point, the paddling of excellent athletes were faster than non-excellent ones, and the introversion angle of elbow joint of excellent athlete was larger. As for the speed, introversion, curve, rotation speed of upper arm and elbow joint of excellent athlete was faster, introversion; curve speed of whole arm of excellent athlete was faster while the rotation speed of whole arm of excellent athlete was slower. As for the shoulder pint, there were events with faster speed of introversion and events with slower speed. As for the acceleration, excellent athletes had slower introversion acceleration compared to non-excellent athlete. However, the excellent athlete showed faster acceleration in curve and rotation, and the wrist joint showed faster curve accel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