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정 갈등이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석영(Kim, Seckyoung Loretta),이수진(Lee, Soojin),박은경(Park, Eun Kyung),손승연(Son, Seung Yeon),윤석화(Yun, Seokhwa),박희태(Park, Heeta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3

        Work and family issue becomes more salient issue in a competitive working environment that many organizations face in recent years. Organizations have been pushed for rapid changes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and this trend is likely to increase employees’work family conflict and their stres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Knowing the negative impa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individual as well as their job related performances, more research is needed to find the moderator that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ask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suggest stress coping strategies classified as control and escape strategy could be an effective moderator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relationship. This study has two major research purposes, drawing on insights from conservation of resource (COR) theory. First, we examine the mechanism between WFC and task performance via emotional exhaustion. Second, we investigate the important rol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by testing their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We propose that different stress coping strategies (control and escape strategies)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in an opposite way, depending on its strategies. Therefore we hypothesize: Hypothesis 1: Work family conflict (WFC)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Hypothesis 2: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Hypothesis 3: Emotional exhaust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task performance. Hypothesis 4a: Control strategy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such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will be reduced when control strategy is high than when it is low. Hypothesis 4b: Escape strategy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such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will be strengthened when escape strategy is high than when it is low. Analyzing from 159 data us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and their direct supervisors from thirteen companies located in South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WFC was nega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fully mediated by emotional exhaustion. Contrary to hypothesi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was strengthened when control strategy is high than when it is low. In sum, Hypotheses 1, 2, and 3 were supported. Despite of its limitations such as cross-sectional design,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and limited variables, this study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WFC on task performance through emotional exhaustion based on COR theory. Furthermore, the important rol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s investigated by testing its moder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task performance.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employees with the high level of WFC feel emotional exhaustion and these emotionally exhausted employees tend to show low task performance which is harmful for organization's effectiveness. Moreover control strategy could be an effective tool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task performance when th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is low. Therefore, manager should provide training to use control strategy rather than escape strategy when employees face emotional exhaustion.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글로벌화로 인하여 조직은 구성원들에게 더 높은 성과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구성원들에게 스트레스와 더불어 일-가정 갈등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일-가정 갈등(work family conflict)은 최근 치열해진 기업의 경쟁구도, 회사보다 개인 생활을 중요시 하는 가치관의 변화와 맞벌이 가정 증가로 인해 더욱 악화될 전망이며 선행연구 결과 이는 구성원 개인 뿐 만 아니라 기업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많은 구성원들이 이러한 기업환경에서 정서적 고갈을 경험하고 있으나 이를 줄이거나 그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는 한정적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일-가정 갈등과 정서적 고갈, 정서적 고갈과 과업 성과와의 관계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과업성과와의 사이에서 정서적 고갈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통제전략과 회피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일-가정 갈등은 정서적 고갈과 정의 관계를 가지고 정서적 고갈은 과업성과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그리고 이 관계에서 정서적 고갈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와의 관계에서 통제전략이 높은 경우,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의 부정적인 관계가 강화되어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하지만 정서적 고갈이 낮은 상태에서는 통제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과업성과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을 통해 일-가정 갈등이 정서적 고갈을 통해 과업성과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일-가정 갈등 연구에 전반적인 이해를 높였다. 또한 정서적 고갈이 낮은 수준에서 통제전략의 효과적인 기능을 밝혀 정서적 고갈 연구에도 의의가 있다. 본 논문결과, 기업은 일-가정 갈등이 깊어져 정서적 고갈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미 정서적 고갈이 발생한 경우 그 수준이 높지 않다면 과업성과를 방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 : 선행요인으로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

        손승연(Seung Yeon Son),김석영(Seckyoung Loretta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4

        리더의 자기희생이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중 하나라는 것에는 학자나 일반인들이나 모두 공감하는 듯하다. 이런 사회적 통념 및 학문적 공감이 토대가 되어 1990대 후반부터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들이 등장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다양한 인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연구들은 선제적 관점에서 무엇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지 못했다. 그에 따라 연구관점의 불균형이라는 약점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발굴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이 지각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제조업체 기업 종사자 상사-구성원 255쌍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만성이 높은 상사일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가 자신의 조직이 정치적이라고 지각할수록 구성원들은 자신의 상사가 덜 희생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조직정치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을 때 원만성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밝힘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연구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결과에만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 불균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상사의 성격특성 특히 원만성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시 여전히 성격특성에 대한 고려가 유용하다는 것과 특히 원만성이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주로 구성원 수준에서 다루어온 조직정치지각의 부정적 효과가 상사수준의 리더십에도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에 유익한 상사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이끌어 내려면 조직이 어떤 업무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 이론을 이용하여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보다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와 그런 행동을 유도하도록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Prior empirical research in self-sacrificial leadership has examined the effec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Scholars have demonstrate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Recognizing this issue, this study selected a leader s trait of agreeableness and his or 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s predictor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In particular, the study hypothesiz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More importantly,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trait-activation theor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firms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ics (age, gender, position and tenure)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55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ou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testing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 leader’s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strengthened when the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an when it is low.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 leader s agreeableness and his/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his or her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our results applied a trait-activation theory and demonstrated when leader exhibited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results exhibited that fair and low political work environments may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low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ou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