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국내 전시회의 관람 동기 분석 연구

        김새록,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People can get enough information about exhibitions through various means without having to visit them anymore.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visit the exhibition hall and check the motivation of those attending the exhibition to see whether a new culture such as the sightseeing proof shot is being created. This study statistically apprehends and verifies the lively reactions of visitors based on text-mining analysis of social media, through which users voluntarily describe their opinions or uses, rather than through existing survey method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s of exhibiti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of visitors, big data, and text min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fter that, we analyzed the motivation of the exhibition through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and analyzed visualization and key keywords using Ucinet6 and NetDraw program. (Result) The total number of collected texts was 9512, and after eliminating the unnecessary words, it was ranked as 46, followed by "together",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free".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were the "experience", "together" and "weekend" texts, and in the centrality analysis, "together" showed an influence in all analyzes. In the 2-mode analysis, 7 texts were mentioned in common on weekends and weekdays, and 13 texts only for weekends and 2 texts for weekdays only. In CONCOR analysis, the number of texts per cluster in cluster 1 was 16, and the cluster classification appeared as a certain factor accompanied by detailed elements for purpose of viewing (cultural longing, break pursuit, bonding). (Conclusion) First, the factors of motivation for exhibi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as viewing purpose, accompanying person, and schedule, and the purpose of an exhibition tour was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knowledge seeking, cultural longing, Rest pursuit, and bonding.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hibitions, companions, and schedules were important attributes without any bias among any of the three attributes. Third, in the purpose of viewing purpose, the effect of cultural longing and rest seeking factors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e accompanying attributes, 'together' was high and in the schedule attribute, 'weekend' was the highest. Through this, I could see that the exhibition visitors are looking for exhibitions to take culture and rest together with specific people rather than the purpose of seeking knowledge, and it is the reason why a new exhibition culture such as viewing proof shot is created can see. Finally, the frequency of the keywords is low, but when you are worried about the keywords alone, you can guess that you will go to the exhibition alon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사람들은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더 이상 전시장을 찾지 않고서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시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으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럼에도 왜 전시장을 직접 방문하고 관람 인증샷(인증+shot)과 같은 새로운 문화가 생겨나는 것인지 전시 관람 동기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의 전시 관람 동기에 대해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이 아닌 개인의 의견이나 이용 후기를 자발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관람객의 생생한 반응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고 증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전시 관람 동기, 관람객의 만족 및 행동 의도,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텍스톰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시 관람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통해 전시 관람 동기를 분석하고 Ucinet6,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각화 및 핵심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집된 텍스트는 총 9512개로 불필요한 단어를 삭제 후 46개로 정리하여 빈도 분석한 결과 “함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여”, “체험”, “무료”순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체험”, “함께”, “주말”텍스트가 나타났으며 중심성 분석에서는 “함께”가 모든 분석에서 영향력을 보였다. 2-mode 분석 결과 7개의 텍스트가 주말, 평일에 공통으로 언급되었으며 주말에만 해당되는 텍스트는 13개, 평일에만 해당되는 텍스트는 2개로 나타났다. CONCOR분석에서 군집1의 군집별 텍스트 수는 16개로 나타났으며 군집 분류는 관람목적의 세부 요소(문화동경, 휴식추구, 유대결속)와 동반인, 일정 요소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전시 관람 동기에 대한 요인은 관람목적, 동반인, 일정으로 크게 3가지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관람목적은 지식추구, 문화동경, 휴식추구, 유대결속 4가지로 추가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분석결과 3가지 속성 중 어느 한 속성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시관람, 동반인, 일정 모두 중요한 속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람 목적 속성에서는 문화동경 및 휴식추구 요인의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며 동반인 속성에서는 ‘함께’가 높았으며 일정 속성에서는 ‘주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대의 사람들에게 전시 관람이 지식 추구의 목적보다는 특정인과 함께 문화 및 휴식을 취하기 위해 전시장을 찾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관람 인증샷(인증+Shot)과 같은 새로운 전시 문화가 생겨나는 이유일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키워드의 빈도는 낮지만 걱정, 혼자 키워드를 통해 걱정이 있을 때 혼자 전시 관람을 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전시 공간의 인터랙션 특성 연구- 상업·비상업 전시 공간 특성 비교 -

        김새록,이돈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현대인은 기존의 단순히 잘 만들어진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넘어 즐거움, 놀라움, 슬픔과 같은 감정의 경험을 극대화 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느끼기를 원한다. 이러한 바람은 공간의 패러다임도 변화시키게 되었다. 물리적인 공간에서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경험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매개체로 공간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와의 인터랙션을 경험할 수 있는 전시 공간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여 전시 공간디자인에서의 인터랙션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이론정리 및 사례분석으로 진행하며 이를 토대로 평가 모형을 만들어 인터랙션이 전시 공간에 적용될 때, 공간과 사람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적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의 핵심 특성인 사용자, 공간, 경험을 통해 비상업 전시공간과 상업 전시공간의 인터랙션 표현 특성에 있어 이용객의 경험창출 요소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평가항목에 따른 분석결과, 인터랙션이 적용되어진 전시 공간 모두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몰입을 통해 행위유발을 유도할 수 있었다. 비상업 전시의 경우 이용객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의미를 해석하고 연출해 보려 노력할 수 있지만, 상업전시의 경우 전달자의 의도된 경험이 확실히 나타나므로 개인의 경험과 생각에 있어 제한적이었다. 또한 비상업 전시에 비해 빠르고 강하게 이용객과의 상호작용을 꾀하려 하는 등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의 발전과 트렌드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감성욕구에 부합하는 인터랙션기반의 전시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활용방법들의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modern man wants a new experience which maximizes experience of emotion like happiness, surprise, and sadness exceeding the existing simply well-made functional and physical hardware. Such wish also changed the paradigm of space. Space began to be used as the medium of interaction in which communication with a user in a physical space can be felt.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duce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in exhibition space design through observing exhibition space design cases in which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can be experienced and analyze by dividing to noncommercial exhibition space and commercial exhibition space. For this, thi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through theory summarization and case studies, and based on this, makes an evaluation model hence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al expression between space and human when interaction is applied to exhibition space, and analys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r’s experience creation between noncommercial and commercial interact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r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which are user, space, and experience. As a result of research according to evaluation items, it was possible to induce behavior through active immersion utilizing visual elements in all exhibition spaces to which interaction was applied. In the case of noncommercial exhibition, each user can interpret and present the meaning in a variety of ways, commercial exhibition was restrictive in terms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and thought because the communicator’s intended experience certainly appears.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differences such as plann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quicker and stronger than noncommercial exhibition. Research of a variety of utilizing methods of interaction-based exhibition space design that coincides with the user’s emotional desir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end change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