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이 과체중 중년남성의 비만,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상훈(SangHoon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을 통해 신체활동을 증가시켜 과체중 중년남성의 비만, 건강관련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총 34명의 대상자를 두 집단(비교집단: 자가용 출퇴근자 17명, 처치집단: 대중교통 출퇴근자 17명)으로 배정하여 연구를 완료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자가용 출퇴근을 시도한 비교집단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한 처치집단은 보행수가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만 감소, 심폐지구력과 유연성 향상, 혈압감소, 혈중지질 개선 및 혈당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중년남성에게 대중교통이용을 통한 출퇴근 시 걷기는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commute with public transportation on obesity,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iddle-aged overweight men for 12 weeks. For this reasons, Thirty four middle-aged overweight men(control group: n=17; treatment group: n=17)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nd completed the study.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ly increased steps per day in treat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est in following the 12 weeks of interventions in body weight, BMI and % body fat. 3)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ment group. 3) Regarding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est in waist circumference, HDL, and glucose following the 12 weeks of interventions. Also, all variables significantly improved in treatment group. It was concluded that commute with public transportation has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levels in middle-aged overweight men.

      • KCI등재

        국가대표 핸드볼 선수의 상해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김상훈(SangHoonKim)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대표 남, 여 핸드볼 선수를 대상으로 상해원인, 유형 및 치료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핸드볼 종목의 체계적인 상해예방 및 관리대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남자 15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최근 1년 간 발생한 상해경험과 유형,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해발생빈도는 대상자 전원이 최근 1년간 상해경험을 갖고 있었으며, 상해발생부위는 하지, 상지, 체간 그리고 두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하지의 상해 중 무릎과 발목의 상해빈도가 가장 높았고, 상지는 손가락과 어깨부상이 많았다. 상해발생 시기는 연습경기나 실제경기 등 경기를 통한 경우가 많았으며, 오전에 비해 오후의 상해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해원인으로는 충돌과 낙상으로 인한 상해가 많았으며, 염좌 상해가 가장 빈발했다. 치료방법으로는 남자는 양방병원 이용, 냉찜질 요법, 테이핑을 이용한 치료방법이, 여자는 냉찜질과 테이핑을 이용한 치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해 치료 후 완쾌되지 못한 상태에서 경기나 훈련에 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예방법으로는 남자는 휴식과 수면이, 여자는 보호장구 착용을 통한 상해예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핸드볼 선수의 상해예방과 재발방지를 위한 적절한 훈련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하며 선수간의 페어플레이, 신속하고 정확한 판정은 보다 안전하게 핸드볼을 참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ports injury incidence, characteristics, treatment,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national handball players. Questionnaires regarding to sports injury were collected from 29 play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ports injuries incidence of every players did injuries during the last 1 year. In the most parts of knee, ankle, finger and shoulder. The type of injuries was a contusion in both(male and female players) and the cause of it was collision/falling. The therapeutic treatment in male players was mainly to go to the hospital and in female players, to put ice on their injured parts. As the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male players took their enough rest and sleep and female players wearing protectors. In conclusion, Korean handball players must properly wear their protects and guards on their bodies and need the sufficient rest and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training and education in terms of injury preven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Preventive program proven effective should be implemented. Fair Play is an essential aspect of injury prevention. Also, close cooperation with the referees is also necessary to make handball a safer sport.

      • KCI등재

        여자 우수 탁구선수의 체력평가를 통한 경기력 관련요인 분석

        김용연(YongYeonKim),김상훈(SangHoonK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6

        이 연구는 국내 랭킹 30위권내에 속하는 26명의 여자 우수 탁구선수를 대상으로 체력측정을 하고 국내랭킹과의 관계 검증을 통해 과학적인 훈련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신체조성, 심폐지구력, 순발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균형성,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한 후 경기력과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하바드스텝, 좌전굴, 십자테스트, 반응시간, 좌측 발목의 저측굴곡근력, 그리고 좌측 무릎의 신전근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중다회귀분석결과 좌측 발목의 저측굴곡근력과 배근력이 설명력 높은 체력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여자 탁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 심폐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좌측 하지의 근력과 배근력향상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이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탁구선수의 개인적인 특성과 종목에서 요구되는 동작이 충분히 고려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and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in female elite table tennis players. 26 female athlet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factors for physical fitness were body composition, cardiovascular endurance, power,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ioskinetic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Pearson r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performance had association with harvard step test(p=.005), sit and reach test(p=.038), cross test(p=.024) reaction time(p=.012), isokinetic strength of left ankle plantar flexion(p=.006) and isokinetic strength of left knee extensor(p=.025). Also, back muscle strength turned out to be an effective factor o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programs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and strength of the left leg and back strength will help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female elite tennis players. For this, scientific program i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수온에 따른 규칙적인 수영 훈련이 혈관성형술 후 재협착에 미치는 효과

        윤진호(JinHoYoon),김상훈(SangHoonKim),이정필(JeongPilLee),김영주(YoungJooKim),오재근(JaeKeunOh)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는 수온에 따른 규칙적인 수영훈련이 혈관성형술 후 재협착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여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PTCA) 후 발생하는 재협착의 예방 및 재활프로그램에 실험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SD-rat 42마리를 재협착(혈관성형술)집단과 Sham으로 나누어 저온수영군(n=14), 상온수영군(n=14), 대조군(n=14)으로 구분한 후 중 막면적, 내막면적, 내강면적 그리고 내막/중막 비율의 차이를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막면적의 변화는 재협착 유발여부 및 수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내막면적의 변화는 재협착 집단에서 수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p<.001), 저온 및 상온수영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p<.001과 p<.01 수준에서 신내막 이상증식이 낮게 나타났다. 3) 내강면적의 변화는 재협착 유발여부 및 수온에 따라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p<.05), 재협착 집단에서 저온 및 상온수영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 각 p<.05, p<.01 수준에서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Sham 집단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4) 내막/중막 비율의 변화는 재협착 집단에서 수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p<.001), 저온 및 상온수영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p<.001 수준에서 작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흰쥐의 풍선손상 모델에서 저온수영의 신내막 형성억제 효과는 혈관협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재활처치의 방법일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gular swimming training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on restenosis after balloon angioplasty and provide the experimental data for prevention of restenosis and rehabilitation. 42 SD(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surgical treatment; ⅰ) Balloon angioplasty induction, ⅱ) Sham and then all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ⅰ) CS; cold swimming group (n=14), ⅱ) NS; the normal temperature swimming group (n=14), ⅲ) CON; control group (n=14). Also, the difference of medial area, intimal area, luminal area and intima/ media ratio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medial area. 2. The intimal areas were decreased in both RNS(p<.001), RCS(p<.01) comparing to RCON. 3. The luminal areas were increased in both RCS(p<.05), RNS(p<.01) comparing to RC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groups after sham induction on luminal area. 4. The I/M ratio were decreased in both RNS(p<.001), RCS(p<.001) comparing to RC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ld swimming training may be effective on rehabilitation method to prevent restenosis after PTCA.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인슐리 비외존형 집단에서 운동중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섭취량 감소요인과의 상관관계

        김영일(YoungIlKIm),김남익(NamIKKim),김상훈(SangHoonKim),유재현(JaeHyunYoo) 한국체육학회 2000 한국체육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40-57세 사이의 중년의 인슐린비의존형 환자 기명을 대상으로 남성집단(n=46)과 여성집단(n=25)으로 구분하고 트레드밀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심폐기능(ResHR, RestBP, Peak VO2, Peak M VO2)및 혈청지질 (TCH, HDL, LDL, TG, Glucose)을 측정하였다. 현재까지 인슐린비의존형에 대한 연구를 보면 운동능력 즉, 운동중 최대산소섭취량을 독립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위험인자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따라서, 본 연구는 인슐린비의존형 집단에서 운동능력 즉, 최대산소섭취량(Peak VO2)과 최대산소섭취량 감소 요인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통계적 수치로 나타내, 운동처방시 기초자료로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두 집단 간의 %BF는 유의한(p<0.01) 차이를 나타냈으나, BMI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인슐린비의존형집단(N=71)의 혈청지질 중 TCH와 TG가 임상적 위험수치(TCH: 100-220mg/㎗, TG: 44-166mg/㎗)보다 높음을 나타냈고, 두 집단 비교시 TCH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유의하게(p<0.01) 높음을 나타냈다.3. 두 집단 간의 심폐기능에서는 여자집단에 비하여 남자집단에서 Peak M VO2와 Peak VO2, Exercise time 유의하게(p0.05, p<0.01) 높음을 나타냈다.4. 두 집단의 당뇨기간, 고혈압 기간 흡연기간은 유의한 차를 나타내지 못했다.5. 인슐린비의존형집단(N=71) 에서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산소섭취량 감소요인의 상관관계에서는 운동시간 (r=0.828), 흡연습관(r=-0.652), 체지방률, -0.535), 나이(r=-0.375), 당뇨기간(r=-0.333), 이완기혈압(r=-0.317)이 유의하게(p0.01) 나타났으며, TCH(r=―0.280) 와 LDL (r= -0.239)도 유의한(p<0.05) 값을 나타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슐린비의존형에서 최대산소소비량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는 상관관계를 통해 알 수 있으며, 특히 흡연기간과 당뇨기간은 인슐린비의존형 집단에서 운동처방시 최대산소섭취량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eakVO2 and peakVO2 decrease factors during exercise in NIDDM groupThe subjects consisted 71 non-insulin dependent subjects who was aged 40-57 years were cheaked by medical process and exercise stress testing.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male group(fasting glucose level>110[mg /㎗, n=46) and female group(fasting glucose level>110[mg/㎗], n=2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alysis of independent t-test.Per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NIDDM group have a reduced exercise capacity compared with age-matched normal subject, the factors for this decrease in exercise capacity are still unclear, thus, this study examined potential correlates of exercise capacity such as age, diabetes duration, metabolic control and duration of hypertension, smoking habits.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BF and BMI were showed significantly(p<0.05, p<0.01) difference, but weight was not.2. TCH and peakRPP, peak VO2, Exercise Time were showed significantly(p0.05, p<0.01) difference, but Glucose and TG, HDL, LDL, RestSBP, RestDB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3. Duration of NIDDM was significantly(p<0.05/ p0.01) higher in male than female group, but duration of hypertension,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4.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peakVO2 have significant(p<0.01), (p<0.05): Exercise time(r=0.828), Age(r= - 0.375), %Body Fat(r= - 0.535), Duration of NIDDM(r= - 0.333), Duration of smoking(r=- 0.652), TCH(r= - 0.280), LDL(r=-0.239).Conclusionally, It appears that Age, %Body Fat, duration of smoking, duration of NIDDM, particularly in NIDDM group, may be important in improving exercise capacity (peak VO2) and potentially improving the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associated with an impaired exercise capacity.

      • KCI등재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의 8주간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프로그램의 병행이 통증, 근력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김원문(WonMoonKim),윤진호(JinHoYoon),김상훈(SangHoonKim),오재근(JaeKeunOh)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6

        본 연구는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를 대상으로 최근 시술이 증가하고 있는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대상자들의 통증, 근력 및 고유수용성 감각을 분석하고 그 치료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관절 외측상과염으로 서울 K병원에 내원한 30~50대 남성 31명의 환자를 체외충격파와 운동 프로그램 병행집단(10명), 체외충격파 집단(11명) 및 운동 프로그램 집단(10명)의 세 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여 8주간의 처치를 거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외충격파치료와 운동 프로그램을 병행 실시한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증감소, 악력 증가, 수관절 신전/굴곡근력, 주관절 신전/굴곡근력 및 고유수용성감각에서 더 높은 향상율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주관절 외측상과염환자에게 체외충격파치료 또는 운동 프로그램을 단독적으로 실시하는 치료방법에 비해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체외충격파치료법을 적용하고 있는 다른 근골격계질환 중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가능한 기타 질환을 대상으로 본 연구와 같은 병행요법의 치료효과를 검증할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pain,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ation of lateral epicondylitis patient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exercise program. We choose 31 male subjects and divided them randomly into 3 groups,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exercise program group(n=10), exercise program group(n=10),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group(n=11). We tested them for 8 week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group, they showed pain reduction, grip strength improvement and more improvement of wrist joint extensor/flexor strength, elbow joint extensor/flexor strength and propriocepation comparing to other two groups. These results show that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combin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r exercise program alone.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for more musculoskeletal diseases.

      • KCI등재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축구선수들의 고유수용성 강화운동 효과

        천성용(SungYongChun),김호성(HoSungKim),이정필(JeongPilLee),김상훈(SangHoonKim),박정배(JeongBaePark),김태형(TaeHyungKim),오재근(JaeKeunOh)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이 연구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축구선수들에 있어서 고유수용성 강화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축구선수(n=20)와 안정성 발목 축구선수(n=20), 총 40명을 각각 대조군(n=10)과 고유수용성 강화운동 집단(n=10)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고유수용성 강화를 위해 워블보드 운동, 서로 다른 노면걷기, 기능적 운동을 8주간 주 6회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를 이용하였다. 모든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등속성 발목관절 근력은 운동 후 기능적발목불안정성 축구선수에 있어서 발목 근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동과 능동적 관절위치감각 집단에서 운동 전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운동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Side jump test에서 운동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01). 따라서 이 연구 결과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축구선수들에 있어서 고유수용성 운동은 발목관절에 있는 고유수용감각기의 관절위치 조절능력을 통한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on exercise of male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orty male soccer players divided into two groups: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group(FAIG, n=20) and stable ankle group(SAG, n=20). Then again, the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Con, n=10) and proprioception exercise group(Ex, n=10). The training group participated in a 8-week proprioception exercise program(wobbleboard exercise, walking on difference surface, dynamic function exercise) 6days a week.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prioception exercise program. All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f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sokinetic strength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Passive & active joint position sens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AIG and SAG at pre exercise(p<.001),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post exercise. Function test side jum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AIG and SAG in post exercise(p<.001).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rioceptive exercise improved the sensory ability of ankle strength, joint position sense and function of lower limb.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수영선수(水泳選手)의 폐환기기능(肺換氣機能) 및 집중훈련(集中訓練)이 이에 미치는 영향(影響)

        최동욱(DongWookChoi),박희명(HiMyungPark),김유문(YuMoonKim),김종석(JongSukKim),김상훈(SangHoonKim),최정윤(JungYoonChoi),정태훈(TaeHoonJung) 한국체육학회 1991 한국체육학회지 Vol.30 No.1

        수영선수와 비선수의 환기 기능의 차이와 선수에서 7-9주 동안의 집중훈련이 환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선수경력이 5.7년인 여자 중 · 고등학교 선수 22명과 비선수(대조군) 22명에서 VC와 FEV 및 MEFV곡선에서 계측한 여러 지표의 성적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선수에서는 VC를 비롯하여, 용량 또는 기류속도를 반영하는 노력의존성지표(FEV_(1&2), FEF_(200-1200), MVV, PEF, FEF25%)의 성적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노력비의존성지표(FEF25-75%, FEF50%, FEF75%)의 성적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노력의존성지표의 성적도 FVC로 용량교정하면 양군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되었다. 한편 선수군에서 집중훈련 전후의 환기 기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런 사실로 보아 수영선수에서 보는 VC의 증가와 환기 기능의 향상은 주로 호흡근력의 증가로써 초래되고 이는 장기간에 걸친 훈련으로 이루어지며 단기간의 집중훈련으로 더욱 향상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studying the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in competitive swimmers with a mean age of 15.2 years, differences were determined between swimmers and controls. In addition the effects of short-term(7-9 weeks) intensive training on the swimmers were observed. The study groups consisted of 22 female swimmers with a mean career of 5.7 years and 22 matched controls. The ventilatory parameters studied were those obtained by the analyses of simultaneously recorded forced expiratory volume and maximal expiratory flow-volume curves, as well as spirometric measurements of VC and MVV. In the swimmers, VC and observed values of effort-dependent ventilatory parameters, such as MVV, FEV<sub>1&2</sub>, FEF200-1200, PEF and FEF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s. However, when these values were volume-adjusted to FVC, the differences became insignificant. Moreover, the observed values of effort-independent flow parameters, such as FEF25-75%, FEF50% and FEF25%,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facts suggest that the enhanced ventilatory function and increased VC in competitive swimmers are primarily due to an increase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btained by a long period of training, and short-term intensive training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ventilatory function.

      • Positioning of Hebrews 2:1-4, from a Paifing Point of View

        Sang-Hoon Kim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19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24 No.-

        Many Hebrews interpreters have long regarded 2:1-4 as a sort of deviation, which i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parenesis, out of literary context, following Vanhoye. Also 1:1-4 has been treated as the preamble of Hebrews. Scholars have divided 1:1-4 from the following verses, considering 1:5-2:18 as the first section after the prologue, 1:1-4. However, problems lie in some issues as follows: (1) Why does 1:1-2a produce an architectural parallelism, which is not extended to the following verses, probably causing demarcation from them? (2) Why does 2:1-4 seem to deviate out of literary context? (3) Why does 2:1-4 repeat ideas and expressions appearing in 1:1-2a? (4) Why do repeated ideas recurrently appear in 1:4-14? For solutions to them, the paper is demarcating each unit, one by one, observing paired constructions not only from each unit (intra-relatedness) but also among the units (inter-relatedness). As a result, we have concluded that there are six units (1:1-2a; 1:2b-3; 1:4-7; 1:8-12; 1:13-14; 2:1-4) and, overall, they are composed of a complex chiasm in structure: A (1:1-2a)-B1 (1:2b-3)-B2 (1:4-7)-B'1 (1:8-12)-B'2 (1:13-14)-A' (2:1-4). It means that A and A', B1 and B'1, and B2 and B'2 are three sets in paired pairs. It induces that 1:1-2a plays a role of introduction, matching 2:1-4 which plays a role of conclusive part of the preamble in Hebrews. 2:1-4 as a conclusion of the preamble contains the theme of exhortation. The interconnected ways of writing such as in Hebrews require interpreters to regard this type of text as its own logic-network system that creates lots of pairing parts, causing chiasms, parallelisms, or complex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