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대학입시와 고교교육과의 연계에 관한 연구

        김상무(Kim Sang Mu)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1

        한국 대학의 학생 선발은 고등학교에서의 학업성적과 수학능력시험에 크게 영향을 받고있다. 따라서 한국 학교교육의 평가방식과 대학의 학생선발 방식이 교육적으로 적합한 방식인지에 대한 다양한 성찰이 필요하다. 그런 방법 중의 하나는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특별한 지하자원 없이 한국처럼 수출 중심의 국가경제 운영을 하면서도 전 세계 히든 챔피언의 절반가량을 보유하고 있는 독일 사례를 분석한다. 독일 아비투어(Abitur)의 평가방식을 정리하고, 고등학교 교육이 어떻게 대학의 학생선발과 연계되는지를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나지움의 학업성적은 필기시험, 실기시험, 언어표현능력과 발표력 등을 토대로 산출되고 있는데, 평가는 절대평가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대학입시의 평가방식은 고등학교의 학업성적과 아비투어를 합산하여 산출하는 평점(GPA)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아비투어는 4과목 혹은 5과목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에서의 수학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관심 있고 잘 할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여 아비투어를 치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줄여주고 있다. 평점은 김나지움 11, 12학년 성적과 아비투어 성적을 2대 1의 비율로 합산한 점수대 별로 부여된다. 이 때 김나지움에서의 내신성적의 비중이더 크다. 따라서 김나지움에서의 학교수업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 재정립, 시험문항의 내용과 방법, 시험과목 선택, 시험 출제 주체로서의 교사의 자율성과 권한에 대한 성찰, 대학입시와 고교교육과의 연계 강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student selection of university in South Korea is strongly influenced by school grades at highschool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hus we need to examine if highschool grades 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Korea are educationally proper.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ase of Germany which manages export-oriented structure of state economy and has the half of hidden champions without noticeable natural resources. It aims to summarize evaluation method of abitur and analyse how highschool education is linked with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school grades are measured by written examinations, exercises, language expressions and presentations. The universities select students in the basis of GPA(grade point average) which is calculated by the combination of school grades at a Gymnasium and Abitur grade. Abitur is the qualification test for university study. It consists of 4 or 5 subjects. Students can select subjects which they are interseted in and are good at. GPA is calculated by the highschool grades of 11 and 12 grades at Gymnasium and Abitur grade. Their estimation rate is 2 vs 1.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centrate on regular school classes. From this analysis, we can suggest reestablishment of character of CSAT, reexamination of contents, method and subjects of CSAT, reflection on autonomy and authority of teachers as test contributors and the enlargement of linkage between high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ntrancs examin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평화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김상무(Kim, Sang Mu)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술을 중심으로 학교 평화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 5권, 사회 교과서 9권이다. 현대 평화연구의 평화와 갈등 개념, 평화교육의 목표, 접근방식, 교수-학습방법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교과서 분석준거를 설정했다. 분석준거는 학습목표, 주제로의 접근방식, 폭력, 갈등의 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평화로운 삶의 가능성의 4가지이다. 연구결과 학습목표는 인지적 목표가 압도적이며, 주제에 대한 접근방법은 개인적 평화로서의 평화교육과 갈등의 중재와 해소로서의 평화교육 방식만 읽을 수 있다. 교과서들은 폭력은 다루지 않으며, 다양한 갈등을 소개하고 극복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갈등의 역사적・구조적 원인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관심을 자극하고 자기활동을 이끌어 낼만한 내용과 방법은 부족하다. 이런 분석에 따라 폭력개념이 평화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흥미를 유발하며, 자기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그리고 학생들의 자기 성찰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서술되어야 한다는 제언 을 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peace education at highschool in South Korea. Reseach objects are 5 moral and 9 social studies textbooks. At first, Violence and conflict of modern peace research, and goal, way of approach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ace education are summarized. According to this, analysis categories of textbooks are presented. They are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ossibity of peaceful lif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learning objectives are cognitive. The approach to peace education of textbooks is on the basis of peace education as a personal peace and as media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 The textbooks don t describe violence and explain various conflicts and methods of conflict resolution. But they don t tell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causes of conflicts. There are few contents and methods from which the interests of students are derived and that thus can lead to the studen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author sugeests that the central concept of peace education has to be violence and textbooks contents have to derive the interests and activities of students. In additional, they have to stimulate self-reflection of students.

      • KCI등재

        독일통일 과정과 이후 구동독 대학의 변화 -구조와 인적 변화를 중심으로-

        김상무 ( Sang Mu Kim ) 한국교육사학회 2009 한국교육사학 Vol.31 No.2

        This study analyses 1) the characteristics of East German universities before the unification and what requirements were made for the reformation of East German universities, 2) what efforts were made for the reformation of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3) how universities in East German had restructured their organizations and human resources since the unific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restructuring of East German universities has followed the consultation from the Academy of Sciences, the provision of the unification treaty and the university law of new state(Land). In terms of organization restructure, there were 1) disorganizing Marx-Leninism research centres, 2) restructuring of law, economy, social science, education faculty, 3) expanding universities and the equivalent institutions, 4) setting up professional colleges, 5) renewal from ramification of disciplines, 5) integrating education colleges and specialized colleges into Universities. In terms of human resources, while the process of the restructure were varied, there were 1) dismissing faculty members specialized in Marx-Leninism, 2) replacing a great number of the faculty members in law, economy, social science, 3) trimming a good deal number of successors in academia such as teaching assistants, 4) hiring new academia from West German for one third and those from East German for the rest. Over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tructuring were the process of implanting West German institutions 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East German universities into West German systems.

      • KCI등재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정책이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

        김상무(Kim, Sang-M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한국사회는 1990년대 이후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증가로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화해가고 있다. 많이 개선되긴 했지만, 한국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여전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한국과 유사하게 동질적 문화전통의 민족주의가 강한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정책을 살펴보고,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우선 독일의 이주민정책과 그에 따른 상호문화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을 개괄했다. 다음으로 KMK 결정 “학교에서의 상호문화교육(1996)”과 “이주보고서(2002, 2006)”와 BLK의 모델프로그램(FörMig), 연방정부 차원의이주민통합과정, 국가통합계획과 통합지표등 상호문화교육정책을 정리했다. 이어서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했다. 연구 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표 정립, 다문화교육 관련 통계 체계화, 유치원과 초등 언어교육연계 체계화, 학교와 지역사회단체나 기관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 조직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프로그램 실행여부의 학교평가에 포함,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 강화. Since 1990s South Korea is gradual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lthough the situation is much better than before,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South Korean against foreigners still rema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in which the nationalism is strong like Korea and draw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First, the development of foreigner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was summarized. After that the author analysed a resolution and reports of KMK(“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1996)” and “immigration report 2002, 2006”) and a modellprogram and intercultural policies of federal government(support for children and youth with the background of immigration(FörMig), integration-course, integration-plan and integration-index). Next, the sit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was examined, and then th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m were drawn from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Germany .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object and aims of mun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systematization of statistics related to munticultural education, closer connection of languag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reorganization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regional social organization related to munticultural education, inclusion of execu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 into school evaluation, intensific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1978년 서독 통일교육지침 결정 이후 중등 역사교과서의 동․서독 서술 비교 연구

        김상무(Kim Sang Mu)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1978년 서독의 통일교육지침이 발표된 후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동독과 서독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한국의 통일교육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1980년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15권으로, 동․서독 서술 분량, 주제영역, 강조주제, 동․서독 서술 관점, 동․서독 비교, 역사적 쟁점 서술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우선 서독사의 비율이 대체로 두 배 이상 높았고, 정치, 외교, 경제영역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었다. 둘째, 서독에 대해서는 객관적 사실위주의 서술을, 동독에 대해서는 뚜렷한 가치판단을 하거나 부정적 인상을 갖게 하는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셋째, 양 국의 비교는 경제와 정치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서독의 우월감을 심어줄 가능성이 컸다. 넷째, 역사적 쟁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역사적 자료와 사실 제시, 그에 대한 해석은 유보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북한 관련 서술 분량의 증대 필요, 북한의 사회구조적 특징과 그 속에서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내용 구조화, 객관적 사실뿐만 아니라 그 배경까지 성찰하는 비교방식, 역사적 쟁점 서술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 필요, 정권변화에도 지속되는 통일교육지침 필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독자적 안목을 고양시키는 방향으로의 통일교육 추진 등이다.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fter publication of th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German reunification in 1978. It also draws some suggestions for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Korea from this anlaysis. Research objects are 15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n 1980 s. The analysis categories are the quantity, field and emphasizing themes of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perspective of description, comparison of East- and West Germany and description of historical issue in disput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quantity of description of West Germany is more than twice as much as East Germany s and the description focuses on politics, foreign affairs and economy. 2. The textbooks describe West Germany laying stress on historical facts and East Germany with relatively distinct value judgement. 3. The comparison of two Germanies focus on politics and economy and its results may lead to feel students in West Germany their superiorty to East Germany. 4. The textbooks carry historical materials on historical issue in dispute, but authors avoid historical evaluation on it. From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e enlargement of description on North Korea in history textbook, restructuring of description contents,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 reflecting objective facts and their background, social consent on describing methode on historical issue in disput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which is valid in spite of government changes, and redirectioning of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 KCI등재

        독일통일 이후 신연방주 교육체제 전환에 관한 연구

        김상무(Kim, Sang-M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enactment of educational laws and changes of educational system in five new federal states after unification of Germany. It is focused o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proceeded in different tempo among five new federal states and the support and influences of old federal states were great; While some new federal states have discussed about the school types in enactment of educational laws fiercely, another new federal states rarely. They neglected to discuss about the inner structure of school and education contents; The changes of educational system are characterized by closure of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introduction of new system, introduction of new school types, maintenance of some system in East Germany, and the changes in new federal states have also influenced on the old federal states. From these results, we can draw some sugges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need of agreement on educational competenc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revitaliza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minicip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education for details about the process of educational integration in Germany. 이 연구는 초ㆍ중등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통일 이후 신연방주 교육체제 전환과정의 핵심적인 영역이라 할 교육행정조직 개편, 교육법 제정, 교육제도 변화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교육행정구조 개편은 각 주마다 다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서독이 큰 도움을 주었으며, 그에 따른 영향력도 컸다. 교육법 제정 과정에서 학교 유형를 두고 격렬한 토론이 진행되었던 주도 있고 별다른 논쟁이 없었던 주도 있었다. 학교 내부구조와 교육내용과 방법에 관한 논의는 소홀했다. 교육제도 변화는 동독 교육기관 해체, 서독 식 제도의 도입, 새로운 학교제도 도입, 동독제도의 지속으로 특징지을 수 있고, 신연방주 변화가 서독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런 연구결과로부터 한국통일교육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중앙정부와 지방 교육자치단체 교육감의 교육권한에 대한 명확한 제도적 합의,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자치단체의 북한과의 교류와 협력 활성화, 통일교육에서의 독일 교육통합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소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독일 상호문화교육학 논의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김상무(Kim, Sang Mu)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에는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등의 증가로 외국인 수가 급증하게 된다. 이에 따른 외국인 학생 수의 증가로 2006년부터 교육부는 다문화교육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다른 정부부처와 지자체들도 여러 다문화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글은 한국보다 앞서 다문화교육문제에 직면하고 여러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는 독일의 상호문화교육학 논의의 전개과정을 분석하고, 한국의 다문화교육 논의에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고 있다. 독일의 상호문화교육학의 이론적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외국인 아동을 결핍과 지원과 보상의 존재로 보는 외국인교육학 단계, 이어서 그들을 문화적 차이를 지닌 다른 능력의 존재이자 문화적 풍요를 가져올 수 있는 존재로 이해하는 상호문화교육학단계로 전개되었다. 이제는 외국인으로 인한 언어적·문화적·인종적 다양성에서 독일 사회내부의 계층적·성적·세대, 장애 등의 다양한 차이에 주목하는 다양성의 교육학 단계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로부터 한국 다문화교육학계는 차이의 다양성과 차별구조에 대한 논의를 심화시켜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middle of 1990' in South Korea foreigner worker and female wedding immigrants have increased rapidly. As the number of foreigner students also have increased,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carried out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since 2006, and other ministries have practiced many multicultural policies, too.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s on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where various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executed before Korea. From this some suggestions for academical discuss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re drawed. We can divide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s on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into 3 stages. In the beginning stage. they described the foreigner children as deficit beings. We can say it as foreigner education stage. The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stage followed. Here foreigner children have only different culture and been accepted as beings with another capabilities. Thus they were expected to bring the cultural enrichment in German society. Now the interesse of educational research has been expanded into the diverse differences in class, gender, generation, the disabled etc. The academic socie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ve to intensify the discussions on diversity of differences and structure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독일통일 이후 신연방주의 교육내용 변화에 대한 연구

        김상무(Kim, Sang M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3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nges of history curriculum in the new federal states after unification of Germany and their characteristics. At first, I describe the features of changes of curriculum in general. Then, I compare the history curriculums of middle school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and 5 new federal states. The categories of comparison are goals and tasks of history education, principles of didactics and categories of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this, I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educational contents after unification of Germany. The results are following: It is the critical difference of history education between German democratic republic and 5 new federal states that history education of two sides is on the basis of very different view of history. In 5 new federal states, history is understood as something which can be described continously newly. On the contrary, they believed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that history according to the Marxist-Leninist view of history advances to communism society. Therefor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goals and tasks of history education, principles of didactics and categories of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betwee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and 5 new federal states. But there are also some common features. These results suggest the joint research of scholars and teachers in South- and North Korea to enlarge mutual understanding and extension of comparison research on educational contents of two Koreas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독일이 통일되면서 교육내용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고, 그 변화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전기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 변화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통일 이후 교육과정 변화의 특징을 서술하고, 이어서 전기 중등학교의 역사과목을 대상으로 동독과 신연방주 5개주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있다. 역사교육의 목표와 과제, 교수법적 원칙과 내용선정 기준, 수업방법의 세 가지 범주를 준거로 비교하여, 통일이 가져다 준 교육내용상 변화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결과 동독과 신연방주 역사교육의 결정적인 차이는 서로 다른 역사관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이다. 신연방주에서 역사는 새로운 인식관심과 경험을 통해 끊임없이 새롭게 쓰일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비해 동독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역사관에 따라, 사회가 법칙적으로 공산주의를 향해 전진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믿는다. 이로 인해 동독과 신연방주역사교육의 목표와 과제, 교수법, 내용선정 기준, 수업방법 등에서 많은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각 연구영역에서 여러 공통점도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한국사회를 위해서는 학자와 교사들의 교류를 통한 이해의 확대와 공동연구의 필요성, 남한 사회 내부의 남북한 교육내용에 대한 비교연구 확대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독일의 이주민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통합 담론에 관한 연구

        김상무(Kim, Sang-M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3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tegration discourse of integration education policies for immigrants children and adolescent in Germany. The focus of analysis lies in national actionplan of integration(2011) with other publications of federal state government. At first, I arrange definition and character of integration, goals and level of integration,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gration.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social sciences. They are the theoretical basis. Then, integration discourse is analysed which we extract from integration education policies. How is integration defined in integration education policies and what character do they have? What are their goals and which level of integration is pursued? For successful integration, which conditions should be fulfilled and which role play education in the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Integration is defined as sharing process of opportunity guarantee in every fields of life. German language,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job and participation in social life are key conditions for successful integration. Here plays education the key role of personal development and social sharing. Therefore, the goals of integration education policies are to give equal opportunity to every students with and without immigration background and to bring changes of structure in which the immigrants are situated. 본 연구는 독일의 이주민자녀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통합 담론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대상은 ‘국가통합실행계획(2011)’을 중심으로 한 연방정부의 교육정책문헌들이다. 우선 사회과학계의 통합의 정의와 성격, 목표와 수준,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조건 등을 정리하여 이론적 기초로 삼았다. 이어서 ‘국가통합실행계획(2011)’에 나타나 있는 통합 담론을 분석했다. 이 계획에서는 통합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고 그 특징은 무엇이며, 무엇을 목표로 어떤 수준의 통합을 추구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또한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어떤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이 때 교육의 역할은 무엇으로 설명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독일의 이주민 자녀 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에서는 언어, 교육, 직업교육, 노동시장, 사회적 삶에의 참여가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전제조건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의 참여기회 보장을 통한 공유(共有, Teilhabe)의 과정 혹은 창출을 통합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때 교육은 개인적 공유와 발달가능성의 문을 여는 열쇠이다. 따라서 이주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구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다.

      • KCI등재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김상무(Kim Sang Mu)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의 전개과정과 현재의 주요정책을 설명하고, 그 이론적 기초를 분석하고자 한다. 독일 사회통합실행계획 상의 상호문화교육정책은 사회통합을 목표로 한다. 통합은 평등한 교육기회의 제공을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자신들의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차별 없는 학교문화와 구조를 창출하며, 교육관련 인력의 상호문화능력이 제고되어야 한다. 또 기회균등을 방해하는 제도와 구조가 개선되어야 한다. 상호문화교육은 모든 학생들의 상호문화역량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는 차이를 존중하고, 다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역량을 말한다. 이런 역량을 갖춘 이들은 상호존중의 기초 위에서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은 사회통합과 국가발전에 필요한 인적자원개발 담론의 토대 위에 실행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development and present situ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Germany and to analyse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The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national action plan for integration aim to integrate German society. Integration can be achieved by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For this, foreign students should be allowed to develop their own potentials, school culture and structure without discrimination should be constructed, and the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educational personals should be enhanced. It shuould be also improved that the institutions and structures disturb equal opportunity. We can find that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Germany have been conducted on the foundation of discourse of social integration and training of human resources which are needed for states development. Intercultural education aims at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s of all students. They are competences which enable us to respect differences and reflect our own perspective of differences critically. Anyone who has these competences can solve conflicts peacefully on the basis of mutual re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