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요나의 기도(욘 1:17-2:10)에 묘사된 요나의 성격 이해

        김상래 한국구약학회 2014 구약논단 Vol.20 No.3

        This study analyzes Jonah's prayer in 1:17-2:10 in the literary context of final-form of the text as a prayer of someone who just escaped a close death call, and looks closely at the personality of Jonah described in the given text. Through such exegesis, following new understandings were deducted. Firstly, the reason why Jonah asked the sailors to throw in down the sea is not because it was a voluntary human sacrifice, but a challenge and rebel against YHWH's authority. Secondly, the reason why described his actions as done according to God in chapter 2 is because he recognized the absolute authority of YHWH who saved his life. Thirdly, the prayer given in such background is certainly not a boastful prayer, but a prayer of repentance and thankfulness. Fourthly, his criticism against the gentile is not about idol worship, but about their ungratefulness towards God's grace. I believe such understanding of Jonah's description in chapter 2 illuminates a new light in understanding the Book of Jonah, and will contribute in expanding the horizon. Jonah`s Prayer portrays Jonah as devout and truthful. Nonetheless, this image of Jonah accentuates his caprice remarkably, as observed throughout the context of the book of Jonah. 본 연구는 요나의 기도(욘 1:17-2:10)를 이제 막 죽음의 위기에서 벗어난 사람이 드리는 기도라는 최종본의 문학적 정황에서 분석하며 거기에 묘사된 요나의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그런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이해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1장에서 요나가 바다에 자신을 던지라고 한 것은 자원하여 인신 희생제물이 된 것이 아니라 야훼의 주권에 몸을 던져 도전하고 저항한 것이다. 둘째, 이런 그가 2장에서 자기 행동이 하나님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표현한 것은 그를 구원한 야훼의 절대 주권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이런 배경에서 드린 기도는 결코 바리새인적 교만의 기도가 아니라 회개와 감사의 기도이다. 넷째, 이방인에 대한 그의 비난은 우상숭배에 대한 것이라기보다 야훼의 은혜를 저버린 그들의 배은망덕에 대한 것이다. 이 기도에 나타난 요나의 모습은 경건하고 정직하다. 그러나 2장에 나타난 요나의 이런 모습은 결국 요나서 전체에서 보면 그의 변덕스러움을 더욱 드러내는 것이 된다.

      • KCI등재후보

        야훼의 '땅' 약속에 대한 아브라함의 믿음의 의미 재해석 - 히 11장 8-10절의 해석에 대한 메타 주석 -

        김상래 한국구약학회 2008 구약논단 Vol.14 No.4

        This paper explores a reinterpretation, i.e. metacommentary of Hebrews 11:8-10 which is already an interpretation of the faith of Abraham in Yahweh's promise of the land. To do this, the Abraham narrative in Genesis will be analyzed on the grounds of the given textual interpreta- tion, then conversely the interpretation of Hebrews 11:8-10 will also be re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Abraham story in the book of Genesis as if Hebrews 11:8-10 did not exist. Through this inquir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ly, the text "By faith Abraham, when called to go to a place he would later receive as his inheritance, obeyed and went, even though he did not know where he was going" (NIV, Heb 11:8) must be interpreted as “Abraham went to the land of Canaan by faith without knowing what kind of place it was, even though he hesitated and was worried about his father and nephew whom he would abandon when he was called to leave his country, kindred and his father's house". This case shows the need to reinterpret the interpretation in the book of Hebrews based on the original textual information of the book of Genesis. Secondly, the text "By faith he made his home in the promised land like a stranger in a foreign country; he lived in tents, as did Isaac and Jacob, who were heirs with him of the same promise" (NIV, Heb 11:9)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asily-overlooked 'the life dwelling in the tent' in the book of Genesis. This instance of applying a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in the Old Testament may become an interpretational guide. Thirdly, the text "For he was looking forward to the city with founda- tions, whose architect and builder is God (NIV Heb 11:10)" is a creative vertical-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in Hebrews, which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book of Gene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이 성 정복 실패가 진정 아간 때문 만인가? -여호수아 7장 2-5절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상래 한국구약학회 2012 구약논단 Vol.18 No.4

        Joshua 7 describes why and how the Israelites failed to conquer the city of Ai when they first tried. It appears that the chapter clearly depicts the reason as the fault of Achan. But if the sin of Acahn is the only reason, the second attempt, after punishing Achan to death, must be the same with the first. But the aspect of second attempt portrayed in chapter 8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in 7:2-5. It means that Achan's case is not the only reason. Comparing the text of Joshua 7:2-5 with that of surrounded chapters, it is clear that the portrayal of Joshua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in other battle accounts. In other words, this particular text shows no sign of Joshua being a dedicated, sharp warrior. The followings are the images of Joshua we have discovered. First, he did not order any commands to move out or withdraw. He merely kept silent or approved hesitantly. Second, he did not rise early in the morning unlike the other days. This conveys an impression that the mind of the commander in chief was indolent in the time when he should have been sensitive in the field. Third, he was not with the people as in the other battles, nor did he lead out. Fourth, he did not set up any strategy for the battle. Fifth, he did not ask for YHWH's guidance for this battle. Combining all these facts,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failing this battle is on Joshua. However, the text of Joshua 7 is deliberately masking Joshua's mistakes in this campaign. First of all, Joshua 7:1 makes the reader focus on Achan's sin. There is no doubt that Achan's sin was a serious problem among the Israelites, YHWH's covenantal community. Yet the way Joshua 7 is written shows how it is trying to hide Joshua's mistake in relation to Achan's problem. In the following text, 7:2-5, Joshua is completely left out. However, even this literary strategy could not wholly cover Joshua. Critical analysis of the text helps u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account more clearly beyond the intention of the text. 이 논문은 여호수아 7장 1-5의 비평적 분석을 통하여 아이성 전투의 실패의 원인을 밝힌다. 필자는 연구의 결과로 본문이 아이 성 정복을 실패한 지휘관 여호수아의 실수를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오직 아간의 범죄에 주목하도록 독자들을 유도하고 있음을 설득력있게 제시한다.

      • 미토콘드리아 16S rDNA 서열을 통한 부산 지역 반딧불이의 분자분류 연구 방법

        김상래,문태영,이병욱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6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3 No.-

        최근 분류학은 형태형질 분석을 중시하는 전통분류기법과 함께 염기서열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는 분자분류학이 발달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적 변이를 측정하기 위해 주로 종과 속의 분화에 따른 다양성을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 16S rDNA 서열을 이용한다. 이 실험은 부산에서 채집된 애반딧불이와 파파리반딧불이의 미토콘드리아 16S rDNA의 서열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으로 증폭한 후에 클로닝하고 서열을 분석하여 GeneBank에 보고된 유사종의 서열들과 비교하여 계통도를 도출하는 기준방법을 개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Contemporary taxonomy has been led to molecular taxonomy anyzing genetic variation of gene sequences with traditional taxonomy emphasizing morphological characters. Recently to measure genetic variation, it has been investigated the mitochondrial 16S rDNA sequences implying divergence of species and genera. This is the result obtained by comparing mt 16S rDNA of Lucidia lateralis Motschulsky and Hotaria papariensis Doi sampl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with the other firefly species registered in GeneBank.

      • KCI등재

        노자의 해체주의적 사유와 윤리설의 특징

        金相來.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2 No.-

        고대 중국과 문화적 연계를 이루는 사회의 지식인들 중에는 2천년 이상의 오랜 세월 동안 공식적 영역에서는 유교사상에 입각하여 삶을 영위하여 왔지만 사적인 영역에서는 노장사상에 경도되어 삶을 유지한 사람들이 많았다. 비록 대부분의 사상가들에게 사적인 영역을 담보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본다면 노장사상 내지 도가사상을 대표하는 노자는 결코 세상을 회피하는 은둔자의 허무주의만을 지향하는 사유체계가 아니었음을 과거의 역사와 사상가들이 알려주고 있다. 중국고대 사회라는 토양에서 생겨난 노자는 치열했던 춘추전국시대를 살아가는 처세의 지혜이며, 특수한 통치이론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국적 특수성을 강하게 피력하는 특징을 보인다. 나아가 세계와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오래 기간 동안 유교와 함께 동양인의 정신세계에 영양분을 공급해 왔으며, 오늘날까지 세계인의 교과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겠다. 고대 중국의 지적 유산 중 오랜 기간 중국을 지배해 온 이데올로기의 근원과 시작으로 작용한 이 두 사유체계의 본질을 담고 있는 것이 바로 논어와 노자일 것이다. 이 두 텍스트는 오늘날 까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을 독자로 확보하고 있다. 세계의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해석되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 두 중국고전에 대한 번역과 해설, 전문적 논저들은 셀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런데 이 두 고전은 기본적인 성격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논어에 보이는 사상에는 중국사회의 정치적이며 인륜적인 질서를 보호하려는 의비가 강한 반면, 노자에는 세계 속에서부터 한걸음 물러나 개인의 내면적 충실을 추구하며, 자연적 세계에 대해서 통찰하는 면이 많은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논어와 노자의 이러한 특징은 시대와 지역의 제약을 넘어서 사람들의 마음을 직접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전자를 낮의 교과서 후자를 밤의 교과서로 비유하면서 구별하는 것도 일리가 있다. 산업이 급속도로 발달하며 물질적이며 과학적이 문명이 최고조에 도달한 오늘날의 사회에도 이런 경향성은 엄존하여 현대에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노자를 삶의 지남으로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 주요 이름난 산 속에서 소위 “도를 닦는다”는 사람들이 여기에 속하는데, 이들은 불교 아니면 도교적 전통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노자는 그 체계와 구성이 단편적인 언어의 조합이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 논문은 현대 철학의 주요 이론 중 하나인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노자를 검토한 것이다. 1973년 帛書 노자, 1993년 楚簡 노자의 발견으로 그간의 노자 연구는 연구사의 획을 긋는다. 이 두 노자의 발견을 계기로 그 이전에 주로 시도되었던 노자의 원형을 복원하기를 시도하거나 재구성하는 연구는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러나 각 부분의 언어적, 해석학적 연구는 이 두 판본의 발견과 관계없이 꾸준하게 시도되고 있다. 여기서는 문헌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관점이 아닌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해체주의적 관점에 근거하여 노자의 사유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동양학의 연구방법 측면에서의 새로운 시도들이 많아지기를 기대한다. Tao (道) has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t means a way, a method, or a truth. Moreover, it means ‘to speak’. Usually Tao in the system of Lao Tzu's thinking is metaphysically regarded as a principle of being, as a moral principle of human life, as Absolute Truth, as Ultimate Reality, and as Eternal Ground of Being,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re are textual similarities what between Lao Tzu(老子)' Tao and Derrida says about ‘differance’, ‘trace’, and ‘play’, etc. With this understanding, It is helpful to correct the notion that Tao is the Eternal Ground of Being. get a new insight into Taoist philosophy by way of Derridian deconstructive theory. Lao Tzu like Derrida deconstruct all kinds of traditional and metaphisical thoughts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We can get a new philosophical insight into Taoist philosophy by way of Derridian deconstructive theroy. With our discussion of the aspects of Tao from Lao Tzu and Derrida's ‘differance’, ‘trace’ and ‘play’, we will establish a philosophy affinity between Taoist and Derridian deconstructive thinking. As pointed at this study, Derrida and Lao Tzu present a challenge against traditional or conventional thought, the common denominator of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Under this dualistic thinking, all terms like ‘True’ and ‘False’, ‘Being’ and ‘Nothing’, ‘Beauty’ and ‘Ugliness’ designate the state of self-presence, plentitude, and interiority. And they inevitably generate their logical opposites as the marginal and insubstantial. This kind of thought shows its sturdiness while dividing the world of meanings into true and false,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In this dichotomy, the first considers the latter as the object of violence. Derrida defines this dominant tradition to ‘the metaphysics of presence’ and the thinking of Taoist philosophy like Lao Tzu attacks and seeks to overthrow the tyranny of metaphysical-dualistic concepts. In this perspective, we find ourselves in a paradoxical situation of theorizing a non-theory and conceptualizing a non-conception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ance’, ‘trace’, ‘play’ as well as ‘Tao’ with Derrida and Lao Tzu. The doubleness or paradox of differance as well as Tao can be discussed in two ways. On the one hand, it indicates the disruption or the transgression of any metaphysical dualistic concep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e interplay or the complicity between two apparent stabilities. They propose that a thinking that deconstructs all centrisms like westerncentrism, malecentrism, phonocentrism, and moralcentrism is to create an enjoyable play-space for human beings in this world. Their suggestions provide us in the transition towards the 21st century with a fresh perspective to look differently at human beings and this world we live in.

      • KCI등재

        J. Derrida 의 해체주의와 노장사유의 독법(2)

        김상래 한국동서철학회 2000 동서철학연구 Vol.20 No.1

        이 논문은 자크 데리다(Jaques Derrida)가 제기하고 있는 다양한 철학해독의 방법론, 특히 차연(diffe´rance)으로 대표되는 그의 해체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장자의 도(道)와 『장자』「齊物論」의 논리를 분석한 것이다. 오늘날은 물론이고 과거의 많은 노장 연구자들은 노장철학의 도(道)를 만물의 존재 원리를 지시하는 형이상학적 진리를 말해주는 것으로만 해독하려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러나 최근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노장과의 철학적 연계성을 밝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결과를 통해 노장철학의 사유논리를 탐구하는데 데리다의 해체주의이론이 새롭고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데리다의 철학방법론을 통해 우리는 동양의 노장철학이 형이상학적, 자연적, 윤리적 진리를 말해주는 사유가 아니라고 새롭게 주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이 논문은 데리다의 해체주의의 방법론에 근거하여 노자와 장자의 철학을 새롭게 해독하는 목표를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얻어진 조그만 수확이다. 철학이 다양한 방법론과 논리의 모험을 중시하는 학문임을 인정한다면, 동양문화 내지 동양철학에 대한 연구자세도 과거의 철학연구방법론에 대한 지나친 집착의 태도를 벗어나 다양한 지성의 탐험을 시도해야 한다. 이 논문은 이런 모험의 길을 탐험했다. 그 탐험의 결과가 바로 데리다의 해체이론에 의한 장자철학의 새로운 읽기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 이 논문에서는 데리다(J. Derrida)의 철학을 원용하고 『장자』의 다양한 주석가들의 학설에 보이는 해체주의적 경향을 통해서 기존의 장자철학 이해와 다른 새로운 해독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道의 문자학적 의미의 하나인 '길(way)'에 주목하여 장자가 말하는 道가 시대를 뛰어넘어 현대 데리다 철학에서의 차연이 '길을 열다(開路)'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점을 밝힘으로써 두 철학자의 사유의 유사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을 통해서 노장철학 특히 장자가 말하는 '無'도 無중심주의의 차원에서 이해할 것이 아니라, 有와 無는 서로의 차이를 지시하는 기호임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장자가 그의 저술에서 無를 有보다 강조하는 것처럼 표현한 문장이 많은 것은 無가 有의 형이상학적 근거라는 의미가 아니라, 有無의 이분법적 사고를 전복시키고자 하는 수사법상의 방법임을 설명하였다. 셋째, 흔히 만물의 평등을 설명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齊物論'의 내용도 한자의 문자학적 접근과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을 원용하여 분석하면, 齊物論은 평등의 논리가 아니라 사물들의 차이를 인정하고 이 세계는 본래 차이나는 것들이 동거하는 공간임을 알려주는 동거의 논리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荀子 性惡說의 윤리교육적 함의

        김상래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유가사상은 오늘날 학문분야로 볼 때 윤리학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들은 인간이 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하면서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가 하는 고민을 해 왔다. 맹자와 순자는 인간의 윤리행위의 출발점에 대한 깊이 있고 세밀한 논의를 준비해 주고 있다. 오래 동안 인간의 본성이 착하다는 맹자의 선언적 주장은 유가사상의 인간 이해의 기본적 시각으로 인정되어 왔다. 이 문제에 대해 최초로 학문적 비판을 시도한 사상가가 바로 순자이다. 맹자와 순자는 모두 공자의 학문적 정통성을 이어받았다고 자임하는 철학자들이다. 논어에서 공자가 “性相近習相遠”이라는 언표를 제시한 이래, 유학의 학문은 ‘性相近’의 계열과 ‘習相遠’의 계열로 분리되어 발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순자의 비판에서 촉발된 인간이해의 기본입장의 상이성은 유학사상의 내포를 깊이 있게 만들고, 외면을 확대하는 데 적지 않은 공헌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순자의 성악설이 지닌 인간이해의 문제와 윤리학설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맹자와 순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방식에서의 차이를 시작으로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정도로 나름의 특색 있는 학설을 개진하였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신뢰의 입장에서 유학사상체계에 ‘性善’의 논리를 등록시킴으로써 공자이후의 유학을 인간중심의 사유로 파악하는 길을 연 인물인데 비해 순자는 현실사회에서 삶을 영위하는 인간들의 모습을 직시하고 인간의 진면목을 냉엄한 논리로 파헤친다. 인간이란 개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의미가 있으며, 인간의 윤리는 이런 관점에서 파악할 때 올바르고 제대로 된 인간에 대한 해명이 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이다. 그의 ‘性惡說’은 인간을 이익과 욕망의 존재로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사회의 윤리실현을 위한 제도의 제정과 교육의 차원으로 전개된다. Xunzi adopts a deflationary strategy by saying that birth is in itself a process of moving away from any original, simple organic state. In other words, there is no such state. He also reminds us of certain ugly aspects of human nature such as self-interested tendencies and feelings of envy and hatred. Second, Xunzi goes on to expand on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the necessary regulation of people's desires so as to bring about social order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In a passage from the "Li lun pian" (Discourse on ritual principles) Xunzi argues that both the original raw material of nature (xing) and human artifice (wei ) are mutually necessary to bring about morality. As we shall see, this passage fits very nicely into a certain section of the "Xing e pian," where Xunzi goes on to argue that ritual is required to curb certain desires. At the same time, however, such ritual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of, say, acts of deference. In the "Li lun pian" and the "Yue lun pian" (Discourse on music) Xunzi describes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constitutive processes that give rise to ritual behavior. In spelling out these processes, Xunzi in effect denies that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s an organic process of nurturing certain original sprouts, even though he may admit that people have feelings of love and righteousness. Constitutive processes are not just regulatory; they transform raw capacities into refined sensibilities, feelings, and emotions. Mencius' underlying belief in a simple organic state is therefo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nature of morality,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stitutive rationale of the r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