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폴리스티렌의 열분해 및 연소반응특성

        김사중 ( Kim Sa Jung ),이찬기 ( Lee Chan Gi ),송평섭 ( Song Pyeong Seob ),윤종성 ( Yun Jong Seong ),강용 ( Kang Yong ),준식 ( Kim Jun Sig ),최명재 ( Choe Myeong Jae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5

        폐폴리스티렌 및 범용 폴리스티렌을 각각 시료로 하여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열분해와 연소 반응을 수행하여 폐폴리스티렌과 범용 폴리스티렌의 열분해 및 연소반응 특성을 검토하였다. TGA의 승온속도는 10 K/min, 20 K/min, 30 K/min, 40 K/min 및 50 K/min로 변화 시켰으며, 질소와 산소 분위기에서 가열온도는 323 K~1073 K 범위에서 수행하였다. 반응 특성 검토에서 중요한 요소인 반응차수 및 활성화 에너지들은 Kissinger, Freeman-Carroll, Chatterjee-Conrad, Friedman 및 Coats-Redfern 방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고, 각각의 방법에 따른 열분해와 연소반응의 활성화에너지 값을 구하여 비교, 해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해석 방법과 실험조건에 따라 결과값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소 분위기의 겉보기 활성화에너지 값은 140~225 kJ/mol으로 열분해 분위기의 155~260 kJ/mol 값보다 작게 나타났다. Thermal characteristics and kinetic parameters of polystyrene waste and polystyrene were determined by means of thermogravimetry (TGA) at non-isothermal heating conditions(10 K/min, 20 Wmi, 30 K/min, 40 Wmin and 50 K/min) both for pyrolysis and combustion processes. Activation energies and reaction order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different methods such as Kissinger, Freeman-Carroll, Chattejee-Conrad, Friedman and Coats-Redfem methods. These method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accuracy and the ease of interpretation of the kinetics of thermal de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ies of the thermal processes were different with variation of analytical methods and experimental conditions.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combustion at the atmosphere of 80∼130 KJ/mol was lower than that of pyrolysis at the atmosphere of 90∼150 KJ/mol.

      • SCOPUSKCI등재

        유동충에서 폐유 연소시 열전달 특성

        준식(Jun Sik Kim),김사중(Sa Jung Kim),윤종성(Jong Sung Yun),강용(Yong Kang),최명재(Myoung Jae Choi)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5

        폐유와 같은 산업 폐기물의 처리는 환경 보호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모아지고 있다. 토양 등에 2차 오염의 문제가 있는 매립에 의한 처리 대신에 폐유의 연소는 적절한 처리 방법으로 특히, 폐유의 높은 발열량을 고려하면 보다 타당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유동층 연소로(0.1 m ID×2.5 m in height)에서 폐유 연소시 열전달 특성에 대한 운전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과잉공기율과 폐유의 공급속도는 각각 0∼60% 그리고 10∼40 g/min으로 하였다. 유동층의 층 영역에서 폐유 연소시 열전달계수는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과잉공기율의 증가에 따라 열전달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폐유 공급속도의 증가에 따라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프리보드영역에서의 열전달계수는 과잉공기율과 폐유 공급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폐유의 연소를 위한 유동층 연소로의 적정한 조업조건의 결정과 이의 설계 및 scale-up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isposals of industrial wastes such as waste oil have been one of the important public concerns in view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ecause of the secondary pollution of soil, combustion of waste oil has been one of the appropriate methods instead of landfill, especially, considering the heating value of waste oil. In this study, therefore,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waste oil combus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a fluidized-bed combustor (0.1 m ID×2.5 m in height). The excess air ratio and feed rate of waste oil are ranged from 0 to 60% and from 10 to 40 g/min, respectively.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bed temperature, but i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cess air ratio. And it had a maximum in the range of the feed rate in the bed region of the fluidized bed. In the freeboard region of the fluidized bed, however,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excess air ratio and feed rate of waste oi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fluidized-bed combustor for combustion of waste oil and design as well as scale-up of i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유동층 반응기에서 폐 Polystyrene 의 열분해 특성

        준식,강용,최명재,김사중,윤종성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4

        유동층 열분해 반응기에서 일반용 폴리스티렌(GPPS)과 폐 발포 폴리스티렌(EPSW)을 원료로 하여 열분해를 수행하였다. 질소와 모래를 각각 유동화 가스와 층물질로 이용하였다. 열분해 온도(400-650℃)와 가스 유속(0.3-0.6 m/s)이 열분해 결과 생성되는 생성오일과 스티렌 단량체의 수율에 대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오일과 스티렌 단량체의 수율은 온도와 가스 유속의 증가에 따라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최대 오일 수율과 최대 스티렌 단량체 수율은 시료가 GPPS인 경우 각각 93 wt%(600℃) 와 65wt%(500℃)로 나타났으며 원료 물질이 EPSW인 경우 각각 95 wt%(600℃)와 60 wt%(550℃)로 나타났다. 유동층 열분해 반응기에서 PS 열분해시 열분해 반응온도는 생성물의 조성에 큰 영향을 보여주었고 유동화 가스유속은 생성물의 수율 결정에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Pyrolysis of polystyrene wastes was investigated in a fluidized bed reactor. The feed materials were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 and EPSW(expanded polystyrene waste). Nitrogen and silica sand were used as a fluidizing gas and a bed material, respectively. Effects of temperature(400-650℃) and gas velocity(0.3-0.6 m/s) on the yields of oil and styrene monomer were determin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yields of oil and styrene monomer exhibited maximum values with increasing pyrolysis temperature or gas velocity in the reactor. The maximum yields of oil and styrene monomer were 93 wt% (600℃) and 65 wt%(500℃), respectively in the beds of GPPS and 95 wt%(600℃) and 60 wt%(550℃), respectively in the beds of EPSW. The pyrolysis temperature affected the composition of products for the pyrolysis of PS and the velocity of fluidization gas affected the determination of product yield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 SCOPUSKCI등재

        삼상 순환유동층에서 기체 - 액체 물질전달 특성

        박성희,상돈,강용,조용준,김사중 한국화학공학회 200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9 No.5

        삼상 순환유동층의 상승관(내경이 0.102 m이고 높이가 3.5 m)에서 기체-액체 부피물질전달 계수(k_La)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기체(0.01-0.09 m/s) 및 액체유속(0.12-0.43 m/s), 고체순환속도(2-8 ㎏/㎡s) 그리고 고체 유동입자의 크기(1.0-3.0 ㎜)가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 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체-액체 물질전달 계수는 용존산소의 축방향 농도 분포로부터 축방향 분산 모델에 의해 구하였다. 물과 여과된 압축공기 그리고 밀도가 2,500 ㎏/㎥인 유리구슬을 액체상, 기체상 그리고 유동 고체입자로 각각 사용하였다. 상승관에서 기체의 유속이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 계수의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즉, 부피 물질전달 계수는 기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액체 유속의 변화에 따라서는 유동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큰 1.7-3.0 ㎜의 유동층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다만, 유동입자의 크기가 1 ㎜인 경우에는 액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k_La 값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체-액체 부피 물질전달 계수는 고체순환속도와 유동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체-액체 물질전달 계수는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서 운전변수와 무차원군의 함수로 각각 나타낼 수 있었다. Characteristics of gas-liquid volumetric mass transfer has been investigated in a riser of three-phase circulating fluidized bed(0.102 m ID and 3.5 m in height). Effects of gas(0.01-0.09 m/s) and liquid(0.12-0.43 m/s) velocities, solid circulation rate(2-8 ㎏/㎡s) and fluidized particle size(1.0-3.0 ㎜) on the volumetric gas-liquid mass transfer coefficient have been examined.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has been recovered from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dissolved oxyge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iser by means of axial dispersion model. Tap water, filtered and compressed air and glass bead whose density is 2,500 ㎏/㎥ were employed as a liquid, gas and solid phase, respective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gas velocity is a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mass transfer coefficient;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s with increasing gas velocity but it dose not change considerably with the variation of liquid velocity in the beds of relatively large particle(d_p: 1.7-3.0 ㎜), although the k_La value increases slightly with increasing U_L in the beds of 1 ㎜ glass bead. The value of mass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s with increasing solid circulation rate as well as particle size. The mass transfer coefficient has been correlated as a function of operation variables as well as dimensionless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