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udies on Meiosis of PMC's in P . alba × glandulosa and Their Parents

        정현배(Hyon Pae Cheung),전상근(Sang Kun Chon),김말숙(Mal Sook Kim),김정석(Chung Suk Kim) 한국산림과학회 197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45 No.1

        N/A The chromosome behavior and it`s synapsis in the meiosis of pollen mother cell were studied on Populus alba L. as a female parent tree, Populus glandulosa Uyeki as a male parent tree and their hybrid, Populus alba x glandulosa. 1. At metaphase I, the number of nuclear plates with early separation chromosome were observed with the lowest proportion of 11.0% in Populus glandulosa and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13.0%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2. At metaphase II, early separation chromosomes appeared with the frequency of 11.0%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But the frequency was not different with those of the parental trees. 3. At anaphase I, lagging chromosomes appeared with some high rate of 11.6%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yet the number of chromosome bridges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almost were not different with the partental trees. 4. At anaphase II, lagging chromosomes appeared with some high frequency of 10.2%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the chromosome bridges in Populus glandulosa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all studied trees. 5. The frequency of abnormal pollen sporad was the highest value of 8.2%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among the studied trees. With the results, it might be assured that the chromosome segregation and it`s synapsis behaved normally in Populus alba, Populus glandulosa and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so all the studied trees could produced normal pollens.

      • 초등학교 영어 교재용 청각 자료 속에 나타난 탄설음 연구

        김말숙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2000 영어영문학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 교재용 청각 자료 속에 나타나는 영어 탄설음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우선, 영어 탄설음의 음운 분포 및 그 음운 영역을 살펴본 다음, 초등학교 영어 청각자료를 분한다. 영어 탄설음은 단어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단어 경계를 넘어서까지 발생하며, 영국 영어와는 달리 미국 영어에서는 아주 보편적인 음운현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탄설음이 초등학교 영어 청각 교재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특히, 단어 내에서와는 달리, 단어 경계를 넘어서는 그 음이 거의 실현되지 못하리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 말토막 단위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영어의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김말숙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American English /t/-flapping)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음운 영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음운 영역 및 그 이론들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은 운율구조 이론(prosodic structure theory)으로, 이 이론에 의하면 모든 음운 영역은 형태?통사 정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Kaisse, 1985: Nespor/Vogel. 1986: Selkirk. 1984. 1986: Selkirk/Shen. 1990). 이 운율구조 이론의 기본적인 입장은 두가지 양상으로 나뉘어지는데 그 하나는 음운 영역이 지접적으로 통사정보에 의해 통제를 받은다는 것(Kaisse. 1985)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음운 영역이 간접적으로 통사 정보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는 것(Nespor/Vogel. 1986:Selkirk. 1984. 1986: Selkirk/Shen/ 1990)이다. 본 연구의 기본 내용은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은 통사 정보만으로는 적절한 설명이 될 수 없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은 통사정보에 근거를 둔 운율층위 내에서의 음운구 (phonological pharse)나 Nespor/Vogel(1986)에서 제시하고 있는 발화(utterance)영역 보다는 음성 정보에 근거를 둔 억양층위 내에서의 말토막 단위(rhythm unit)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 보다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영어의 구개음화 현상 또한 말토막 단위로 보다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ON THE ROLE OF RHYTHM UNITS IN ENGLISH : 영어의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Kim, Mal-Suk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96 영어영문학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American English /t/-flapping)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음운 영역을 제시하는 것이다. 음운 영역 및 그 이론틀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은 운율구조 이론 (prosodic structure theory)으로, 이 이론에 의하면 모든 음운 영역은 형태·통사 정보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Kaisse, 1985: Nespol·/Vogel. 1986: Selkirk. 1984, 1986; Selkirk/Shen. 1990). 이 운율구조 이론의 기본적인 입장은 두가지 양상으로 나뉘어지는데 그 하나는 음운 영역이 직접적으로 통사정보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는 것 (Kaisse 1985)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음운 영역이 간접적으로 통사 정보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는 것 (Nespor/Vogel. 1986. Selkirk. 1984. 1986; Selkirk/Shen 1990)이다. 본 연구의 기본 내용은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은 통사 정보만으로는 적절한 설명이 될 수 없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영어의 탄설음화 현상은 통사정보에 근거를 둔 운율층위 내에서의 음운구 (Phonological phrase)나 Nespor/Vogel (1986) 에서 제시하고 있는 발화 (utterance) 영역 보다는 음성 정보에 근거를 둔 억양층위 내에서의 말토막 단위 (rhythm unit) 에 의해 기술되는 것이 보다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영어의 구개음화 현상 또한 말토막 단위로 보다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