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퍼지 신경망과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퍼지규칙의 추출

        김덕용(Deok-Yong Kim),임준식(JoonShik L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5 No.2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stions, NEWFM)을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로부터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을 판별하는 퍼지규칙을 추출하고 있다. NEWFM은 자기적응적(self adaptive) 가중 퍼지소속함수를 가지고 주어진 입력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퍼지규칙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상 파형과 PVC 파형을 구분한다. 분류 성능 평가를 위하여 MIT/BIH 부정맥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NEWFM의 입력은 심전도의 파형에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하여 추출된 웨이블릿 계수를 사용하였다. 여기에 비중복면적 분산 측정법을 적용하여 중요도가 낮은 계수를 제거하면서 최소의 m 개 특징입력만을 사용한 하이퍼박스로 단순화 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된 2개의 웨이블릿 계수를 사용한 퍼지규칙은 96%의 PVC 분류성능을 보여준다.

      • KCI등재

        프로야구 관중의 경기장 내 응원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김덕용(Kim, Deok-Yong),이현섭(Lee, Hyun-Seob),장재열(Jang, Jae-Yeol),강현민(Kang, Hyun-Min) 한국체육과학회 202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spectators toward cheering activities in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s. For data processing, a total of 32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The main result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there w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heering activ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factors of professional baseball cheering activities and the attitude factors of cheering activ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viewing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pectat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despit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rofessional baseball spectators. In this study, professional baseball cheering activ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pectator satisfaction, which is the result that cheering activity can play a negative role. and provides a different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과제간 명사와 동사의 산출 비교

        김수련(Soo Ryon Kim),박창일(Chang Il Park),김덕용(Deok Yong Kim),황민아(Min 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이름대기 과제와 이야기 산출 과제를 실시하여 명사와 동사의 산출을 두 과제 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로카 실어증 환자가 명사와 동사 중 어느 품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는지, 이러한 경향이 두 과제에서 비슷하게 유지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두 과제 모두에서 명사보다 동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동사 산출의 어려움은 이름대기 과제에서보다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정상 성인도 두 과제 모두에서 명사를 동사보다 잘 산출하였으나, 과제에 따른 명사와 동사의 산출 경향에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도 이름대기 과제에서보다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더 많은 오류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가 두 과제에서 보인 오류 유형의 종류는 비슷하였으나, 각 오류 유형의 비율은 과제간에 차이가 있었다. 실어증 환자가 가장 많이 산출한 오류는 두 과제 모두에서 무반응 오류였다. 그러나 이야기 산출 과제에 비하여 이름대기 과제는 반응의 강제성이 더 크므로 무반응 오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다양한 종류의 오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 성인은 두 과제 모두에서 목표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동사 산출의 어려움은 정상 성인에게서도 보여지는 정상적인 언어처리기제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이야기 산출 과제는 이름대기 과제에 비해 동사의 구문적, 문법형태론적 접근을 더 요구하므로 실문법적 특성을 가지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이야기 산출 과제에서 동사를 산출하는데 더 어려움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nouns and verbs in Korean-speaking adults with Broca’s aphasia. Ten adults with Broca’s aphasia and 10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a picture-naming task and in a narrative task where the target nouns and verbs were identical across the tasks. Although the aphasic adults produced more errors than the normal adults, both groups produced nouns more accurately than verbs in the two tasks. However,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nouns and verbs were greater in the aphasic adults than in the normal adults. Within the aphasic adults, the gap between noun-verb production was greater in the naming task than in the narrative task. Normal adults did not show such task difference in their production of nouns and verbs. The analysis of error types revealed that ‘no response’ was the most prevalent type of error for the aphasic adults, compared to ‘associated’ for the normal adults. The aphasic adults tended to make more ‘no responses’ in the narrative task than in the naming task. The results implied that Korean-speaking adults with Broca’s aphasia showed more deficits in verb production relative to noun production, which is in agreement with the findings of Broca’s aphasia in other languages. However, such dissociation appeared to be affected by task typ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oun-verb dissociation and the importance of error analysi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