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18세기 호락논쟁과 19세기 심설논쟁으로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한국공자학회 2015 공자학 Vol.28 No.-

        본 논문은 18세기 호락논쟁과 19세기 심설논쟁에 나타난 명덕설의 특징과 철학적 문제의식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호락논쟁은 인성물성에 대한 同論과 異論의 입장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지만, 명덕설은 다른 양상을 띄고 있었다. 낙학파에서는 明德無分數論을 주장하였지만, 호학파의 경우 대체로 明德有分數論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인물성이론을 주도하였던 한원진은 도리어 明德無分數論을 주장하였다. 이들 명덕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들의 철학적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심설논쟁에서의 명덕론은 主理와 主氣로 나뉘면서 호학파 계열의 홍직필과 낙학파 계열의 이항로가 대립하였다. 心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들의 명덕론을 검토하면서 18세기의 명덕론의 문제의식이 19세기에 어떻게 변화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명덕 논쟁의 무게중심을 살펴보면 18세기에는 인간과 동물의 차이, 그리고 聖人과 일반 백성의 심에 대한 현실적 차이 등을 정당화하는 데에 있었다. 이와 달리 심설논쟁에서는 명덕을 실체로서 이해하고 理로 규정할 것인지 아니면 氣로 규정할 것인지에 있었다. 명덕설을 입론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외형적 무게중심의 차이가 과연 어떠한 이론적 과정을 거치고 있었으며, 이것이 궁극적으로 어떠한 철학적 문제의식에 기인되었는지를 해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의식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16·17세기 전란을 거치면서 무너진 사회 질서를 회복하고자 하였던 18세기의 의식과, 조선의 정치적 형국과 사회적 양상이 내적 부패와 외적 충격으로 무너져가는 19세기의 의식 속에서 성리학자들이 사상적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었는지도 함께 추론해 볼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의 경우 서구라는 거대한 제국을 목도하면서 성리학자들이 심설논쟁을 통해 무엇을 고민하였고, 그것을 통해 조선에 대한 책임의식을 어떻게 감당하였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of the theory of illustrious virtue(明德論) in Ho-Nak argument(湖洛論爭) of 18th century and Xim-seol argument(心說論爭) of 19th century. I first examined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illustrious virtue, Lee Gan(李柬)’s point of view, Han Won-Zin(韓元震)’s, and Yoon Bong-Gu(尹鳳九)’, and why their theories on illustrious virtue were different and how these were different. I then examined the theory of illustrious virtue in 19th century, especially Hong JiK-Pil(洪直弼)’s theory, Lee Hang-Ro(李恒老)’s, Yu Jung-Gyo(柳重敎)’s. Addressing the question of the Bunsoo(分數) of illustrious virtue in the course of the 18th century, Neo-Confucianists argued that the virtue is the indigenous to human beings. Namely, the central place of the argument on the virtue was devoted to an philosophical account of human dignity. In the 19th century, the debate of Neo-Confucianists had centered on the question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Neo-Confucianists’ question was fairly associa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recovery of national pride in 18th century, establishment of national unity against Western powers in 19th.

      • KCI등재

        후창 김택술(金澤述)의 간재 성리설 계승과 그 의미

        김근호 ( Kim Goun Ho ) 한국공자학회 2022 孔子學 Vol.47 No.-

        이 논문은 간재학파의 후반기 고제라 할 수 있는 후창 김택술의 성리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는 전우가 성리설을 집중적으로 집필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제자가 되어서 전우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배웠던 제자였다. 또한 전우로부터 적도(適道)의 제자로 인정받았고, 그의 문집을 산정할 만큼 간재학파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성리설을 밝히는 일은 전우의 사상이 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시기에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우가 1906년 최익현(崔益鉉)의 의병운동에 동참하지 않았던 일과 1919년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일로 인한 세간의 비판들에 대해서 재론의 여지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일제강점기 주체적 근대화의 역행하는 사상으로 비판받아 왔고 더 심하게는 반시대적·반역사적 사상이라고 비판받는 근대의 성리학에 대해 재론의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일제강점기로 기울어져 가는 국운 앞에 거의(擧義)만을 올바른 해법이라고 하지 않고 수의(守義)의 처세를 택한 간재학파의 사상적 의미를 김택술의 성리설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간재학파뿐만 아니라 근대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삶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재조정하고자 한다. This thesis was intended to clarify the theory of the succession of Kim Taek-sul(金澤述, 1884~1954), who can be said to be Old age disciple of Jeon U. He was a disciple who systematically learned Jeon U's philosophy by becoming a disciple at the time when Jeon U began to intensively write Confucianism. Also, he was recognized by Jeon U as a disciple who has already matured enough to know the good and can go on the road together[適道], and he is an important figure in the Ganjae school, enough to count his collections of literature. The study that reveals his theory of Confucianism is a study that examines how Jeon U's philosophy was inherited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Kim Taek-sul's Confucianism, we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Ganjae school[艮齋學派], which did not call for anti-Japanese movement as the only correct solution in response to Japanese colonial rule, but chose to take the position of Living by keeping their own Neo-Confucian truth. Furthermore, I intend to readjust the critical perspective on the thoughts and lives of modern Neo-Confucian scholars as well as the Ganjae School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19세기에 한정하여 심성설에 나타난 ‘주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율곡학파의 심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재’의 문제는 19세기 율곡학파뿐만 아니라 퇴계학파에 속하는 한주학파와도 부각되었던 주요 논제들 중의 하나였는데, 이는 18세기 명덕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이 本心에 대한 리기론적 규정으로 전개되면서 19세기 심설 논쟁에서 부각되었던 논제였다. ‘주재’는 心性論에서 心의 機能을 가리키는 말로, ‘본성 실현의 현실적 주체’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19세기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실천의 정당화 과정으로 짐작된다. ‘주재’의 주체, 그리고 대상 등이 19세기 율곡학파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먼저 퇴계학파에 속한 李震相의 ‘心’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비판의 논점을 살펴보았다. 그의 비판에서 19세기 율곡학파의 心論이 가진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율곡학파 心論의 특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중심으로 19세기 율곡문인들 중 任憲晦, 淵齋學派의 종장인 宋秉璿, 蘆沙學派의 奇正鎭, 華西學派의 李恒老 등의 ‘주재’에 관한 논의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특히 율곡학파의 심설에 나타난 양상을 18세기와의 연관, 즉 율곡사상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에서 살피기보다 19세기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율곡학의 심론에 담긴 본지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ory on "ChuJae(主宰, presid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philosophical problem of "ChuJae" had been given a considerable attention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re was a marked contrast between Yulgok school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The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sisted that emotions and behaviour were amendable to the workngs of the human mind and the Mind contained principle and material[心合理氣]. Among them, Yi Jin-Sang(李震相)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In counterpoint to that of them, Neo-Confucianists of Yulgok school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Yulgok`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indifference to Mind theory was also met with in the Lichi(理氣) theoretical explanation problem of "ChuJae(主宰, preside)".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in recent research. By exploring some key singnifying aspects in their Mind theory, I hope to show them how to justify the Lichi theoretical explanation of "ChuJae(主宰, preside)". Basically, their arguments was coupled with their endeavor to overcome of national crisis. They laid much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and tried to mak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by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평가에 나타나는 통시대적 인식

        김근호 ( Kim Goun Ho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9 No.-

        이 논문은 최치원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유학, 문학, 서가의 측면에서 검토함으로써 최치원이 시대와 역사적 공간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있었으며, 그 평가들이 어떻게 역사적 흐름속에서 용인되고 공감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유학의 공헌에 따라 문묘종사가 결정된다는 점을 전제할 때 고려 이후 조선까지 이어지는 그의 문묘종사는 고려뿐만 아니라 이단(異端)을 엄격히 배척하는 조선 지식인들에게도 그는 여전히 유종(儒宗)으로서 평가받고 있었다. 문학의 비조로서 최치원에 대한 평가도 신라 당대부터 대체로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그의 문학들은 조선시대 정도전을 비롯하여 남곤, 허목, 이긍익, 정약용, 그리고 김윤식까지 한문 문학의 비조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통일신라 비문이 주로 구양순풍의 해서가 쓰였다가 왕희지의 서풍이 유행하면서 왕희지풍의 행서비가 건립되기 시작하였던 최치원 당대의 서풍을 고려해보면, 그의 서풍은 해서에 행서를 융합한 독창적인 서풍이라는 점에서 당대 서체를 충실히 익힌 후에 자신만의 독특한 서체를 완성한 것임을 확인되었다. 최치원에 대한 역사적으로 평가들을 고려해 볼 때 최치원을 바라보는 현대의 공안은 현재 우리가 최치원을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가?’를 묻기보다는 ‘우리가 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istorical reviews on Choi Chi-Won’s thoughts and life. He was considered one of the first Confucian scholar, and a major figure i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But there’s two sides of this controversy in a recent study. This controversy has relied on an his works remained, Gyewonpilgyeong(桂苑筆耕) and Gowoonjip(孤雲集). To analyze his works with Neo-Confucianism, however, has some limits of research, especially without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n his age and traditional times. The criticism is presented in a threefold. First of all, he was canonized into the Confucian Shrine, and secondarily he was a major figure in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lastly he was a important calligraphist with artistic creativity in Ssanggyesa-JingamseonsaDaegongtapbi(雙溪寺眞鑑禪師大空塔碑). A closer look at the historical reviews, included the secondary works on Choi Chi-Won’s, gives a different answer; how to put a our new construction on his thoughts and life is more important than how to describe a historical figure with a objective evaluation.

      • KCI등재후보

        화서학파 심설논쟁의 전개과정과 철학적 문제의식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19세기 화서학파 내에서 전개되었던 심설논쟁의 時系列에 따른 전개과정을 밝히고, 그 논쟁에 나타난 철학적 문제의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화서학파 내의 심설논쟁은 유중교의 ‘調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1886년 김평묵과 시작되었다. 이 논쟁은 김평묵이 임종하는 1891년까지 전개되었고, 이후 김평묵 계열의 문인들과 유중교 계열의 문인들간의 논쟁으로 확산되었지만 1893년 유중교의 임종으로 끝을 맺게 되었다. 이후에도 심설 논쟁은 1920년까지 유인석, 신익균 등을 중심으로 간재학파로까지 확대 전개되었다. 사실상 성리학자들 사이에서 근대까지 지속되었던 유학 논쟁의 하나였다. 유학의 주요 논쟁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는 19세기 심설논쟁에 대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 논쟁의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들이 제시된 적이 없었다. 이에 화서학파의 심설논쟁에 한하여 논쟁의 전개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왕복서들과 관련 글들을 시계열에 따라 규명하여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심설논쟁의 흐름에서 어떠한 논제들이 나타나고 있었는지, 그리고 논쟁의 전개에 따라 유중교와 김평묵의 논지가 어디에 있었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심설논쟁의 전모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왕복서와 관련 글들의 시계열적흐름을 밝히는 것이 향후 심설논쟁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논쟁 자료의 정리와 함께 논쟁을 통해 드러난 유중교와 김평묵의 심설이 가진 차이와 특징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차이와 특징에서 그들의 철학적 문제의식을 해명해 보고, 그들의 심설논쟁이 가진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19세기 성리학자들의 유학적 문제의식에 대한 규명이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 독립운동 등 근대 지식인들의 사회실천운동과의 연속성을 해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paper discussed what the debate among Hwaseo`s pupils have significance for. This dabte was raised among the disciples of Yi Hang-ro, especially between Kim Pyeong-muk(1819∼1891) and Yu Jung-gyo(1832∼1893). In 1886, Yu Jung-gyo suggested the supplementary explanation about Hwaseo`s theory of Sim[調補華西心說], and his condisciple put forth a logical argument against allowing his suggestion. The central subject of their debate was on the distinction between an ability of mind[神明] and a nature[性]. Basically, the primary cause of their dabate came from Yi Hang-ro`s theory on ``unity of mind and principle[心與理 一]``. So their debate finished by organizing Yi Hang-ro`s theory of Sim[華西心說]. However It have not established the sauce data on their debate by our research on Chosun`s history of ideas. I tried to establish the sauce data with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ir debate, and then research a significance for their debate. It was not only Neo-Confucian debate but their awareness of a social problem and political. Their consciousness of Chosun`s crisis was converted into their philosophical and critical mind. They had tried a neo-Confucianism reestablishment for practical morality, and mad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Their social behaviour of practical morality was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낙론(洛論)의 심설(心說)에 관한 화서 이항로의 비판적 검토

        김근호 ( Goun H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人物性同論을 주장하는 栗谷學派의 洛論 계열 학자들이 `性卽理`와 `心是氣`라는 명제를 전제하면서 心性의 경계를 엄격히 구별하고자 하는 의식은 湖論의 그것과 공통된다. 또한 그들의 정치적 기반이 비록 西人 老論이었지만 학문적으로는 栗谷學뿐만 아니라 退溪學에 대해서도 유사한 반성적 입장을 견지하기도 한다. 李恒老는 洛論 계열의 학자이면서도 金昌翕과 李縡를 비판하고 있다. 그의 비판은 湖論의 한원진에 대한 비판과는 다른 성격을 띤다. 한원진에 대한 비판이 四端七情과 人心道心의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고 마음을 `以理言之`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김창흡이나 이재에 대해서는 이항로 자신의 心論을 중심으로 구체적 비판을 가한다. 洛論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湖論에 대한 이항로의 비판적 검토와 함께 조선성리학에 대한 성찰이었고 동시에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에게 새로운 사상적 모색을 가능하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湖論과 洛論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湖論과 洛論의 학문적 `合`을 도모하였고, 그 결과로 `心의 主宰`를 중심으로 한 시대적 담론을 이끌어내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담론들은 당대의 衛正斥邪운동을 이끌었고, 그중에서도 華西學派의 현실적 실천은 寒洲學派나 蘆沙學派에 비해 강성한 것이었다. 대외적 위기상황에 맞선 인식과 그에 대응한 실천은 한 집단의 내적 결속의 정도에 따라 그 지속성과 강도가 결정된다. 이때의 내적 결속은 학문적 사유의 기반을 공유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華西學派의 衛正斥邪운동이 그 지속성과 강도를 가속화시킬 수 있었던 힘은 바로 湖論과 洛論의 성리학을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자신만의 학문기반을 세웠던 이항로에게서 찾을 수 있다. Lee Hangno is a master of Hwaseo school(華西學派). His scholarship grew from the academic traditions of Naknon(洛論), but his scholarship did not grow into Naknon school(洛學派). He rather criticized the Neo-Confucianism of the Naknon school. It is his introspection of the Neo-Confucianism, because his critique goes off to the Neo-Confucianism of the Holon school(湖學派) without his own political consciousness. His academic process of introspection of the Neo-Confucianism was for his own theory on the practical morality. The practical morality born of the political background. Chosun in which he lived was in a state of disorder, and it was in want of change. He met the social needs of the 19th century. His introspection of Neo-Confucianism for the sake of a radical change suggests that the science in Chosun got stiff without flexible attitude to begin with. His introspection throughout critique both of Naknon and Holon was at the head of concentration of practical morality and social practical morality, but his thoughts broke through Neo-Confucianism of Chosun.

      • KCI등재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의 성리설(性理說)

        김근호 ( Kim Goun-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1 한국 철학논집 Vol.- No.70

        이 논문은 대계(大溪) 이승희(李承熙, 1847~1916)의 성리설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승희는 국내외를 중심으로 항일운동과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던 인물로, 한국근대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아들이면서 문인으로, 정재학파(定齋學派)를 위시한 영남 퇴계학파의 계열의 한주 심즉리설(心卽理說) 비판에 대한 변론을 주도하였던 성리학자이기도 하다. 이승희의 실천적 도학자로서의 면모는 그의 항일운동과 독립운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규명되었지만, 그의 성리설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그나마 그의 성리설에 대한 연구에서도 한주 성리설의 계승 내지 부연 정도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승희의 성리설이 가진 특징들을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먼저 한주학파와 영남 퇴계학파 계열과의 심설논쟁을 주도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당시 심설논쟁에 대한 이승희의 변론을 살펴보았다. 한주 성리설 변론 과정에서 재구성해 간 이승희의 성리설의 특징을 밝혔다. 이어서 그의 공교회 운동의 토대가 되기도 하는 서학 비판을 살펴보면서 그의 성리설이 가진 시대적 특징을 밝혔다. 다시말해서 한주의 ‘심즉리설’에 대한 변론이 한주 심설의 부연일지 모르지만 그 부연의 이해 방식에 나타난 이승희 성리설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한주 심론의 확대 적용이라 할 수 있는 서학 비판에서 이승희가 한주 성리설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오정(五情)이나 인체심성론(人體心性論)과 같은 것은 이승희 성리설의 특징적 면모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of Lee Seung-hui (李承熙, 1847-1916). He was an active figure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ainly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 and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Korean modern history. He was also the son of Lee Jin-sang (李震相) and pupil, and a Neo-Confucian scholar who led the argument against the branch of the Toegye School in Yeongnam, including the Jeongjae School[定齋學派]. which criticized the Hanju ‘Mind is principle’(心卽理說). His aspect as a practical Neo-Confucianist can be confirmed in his anti-Japanese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re id also a lack of research on his doctrine of Neo-Confucianism. However, even in the research on his thoery of Neo-Confucian, it is evaluated as a succession or extension of Lee Jin-sang’s thoery of Neo-Confucian. Therefore, this thesis focused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n his thoery of Neo-Confucian First,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led the debate between the Hanju School and the Yeongnam Toegye School, we examined Lee Seung-hee's defense of the Sim-Seol controversy[心說論諍] at that time.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Seung-hee's Neo-Confucianism, which was reconstructed during the Sim-Seol controversy[心說論諍]. Then, by examining the criticism of Seohak[西學], which is the foundation of his Gong-Gyohoe[孔敎會] movement, h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f his Neo-Confucianism. In other words, although Han-ju's argument on 'Simjeonri theory' may be an extension of Han-ju's deep theory,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Lee Seung-hee's Confucianism that appeared in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paradox. We looked at how to reconstruct it. In particular, such things as the O-Jung[五情] and the Inche-Simseong-lon[人體心性論] can be said to be characteristic aspects of Lee Seung-hee's Neo-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