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뒤르케임 경구의 재해석

        김광기(Kwang Ki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4

        본 논문은 그 간 뒤르케임에게 매겨졌던 칭호와 낙인들 중에서 그가 물질론자요 실재론자이며, 전체론자이고 결정론자이며, 그리고 동시에 실증주의자라고 하는 명칭에 초점을 맞추어 뒤르케임에게 부여되었던 그러한 호칭들이 그의 사상을 철저하게 곡해한데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을 규명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뒤르케임의 “사회적 사실을 사물처럼 취급하라”란 유명한 경구를 재조명하면서, 그가 이 경구와 함께 개진했던 “사물”, “힘(압력)”, “외재(존)성”의 개념을 통해 그의 경구를 재해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뒤르케임의 논평가들이 이러한 제 개념들을 액면가 그대로 해석함으로써 결국 엄청난 오해를 가져왔다는 것과, 그 오해의 근원은 바로 논평가들이 뒤르케임을 세심하게 독해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는 것을 뒤르케임의 저작 분석을 통해 신랄하게 지적하고 있다. Durkheim has been falsely identified with a sociologist who has no theory of consciousness, agency and subject`s autonomy by the critics. Thus the widespread belief that Durkheim`s social theory is fundamentally undermined by false articulation is devastatingly fuelled by accusations of his materialism, determinism, holism, realism, or positivism, which is clearly failed to grasp the subject`s mind, meaning and interaction which are crucial elements of social phenomenon. However, in criticizing the critics in this regard, Durkheim himself makes it clear that individual consciousness plays a pivotal role as a conduit for constructing social reality. Therefore, such accusations on him are definitely misleading and false. It is due to a lack of serious appraisal of Durkheim`s original works. To eliminate the misunderstandings of Durkheim`s idea, his works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as arguments are in their own right.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et rid of misunderstandings of Durkheim and reconfirm his original ideas on social facts, through focusing on his famous aphorism; “Social facts should be considered as things”

      • KCI우수등재

        고프만(Erving Goffman), 가핑켈(Harold Garfinkel), 그리고 근대성

        김광기(Kim Kwang-Ki)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SM

        본 논문은 근대성과 현대사회학이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의 질문제기로부터 시작했다: ‘어떤 점에서 현대사회학이론은 현대적(근대적)인가?’ 특히, 본 논문은 이를 밝히기 위해 두 명의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과 해롤드 가핑켈에 주목하면서, 그들 저작의 어떤 측면들이 근대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사회학자의 전 저작을 다 다룰 수는 없었고 그들의 연구 생애 중 비교적 초기에 행해졌던-주로 1950년대-저작들 중에서 현저히 근대성과 관련지을 수 있는 구체적인 예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의 목적은 이들의 저작 속에 반영된 근대성의 모습 또는 이해를 비교하는 데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바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결실 중 하나는, 비록 두 사회학자가 ‘근대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그들의 연구과제로 삼고 그 문제와 씨름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그래서, 전혀 두 사람의 저작이 근대성의 주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할지라도-그들 저작 속에는 의도하지 않았던 근대성의 모습이 녹아 있으며, 우리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그들의 저작을 살펴보고 읽어 본다면 그러한 사실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begins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is modem about modem sociological theory? To examine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writings (mainly from the 1950’s) of two modem sociological theorists: Erving Goffman and Harold Garfinkel. However,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not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wo theorists’ understanding of modernity, but to simply examine modem aspects of the two leading twentieth-century theories of the social world. By arguing that there is a quite strong substan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ociologists’ early writings and modernity, I note the reflection of modernity in their works.

      • KCI등재
      • KCI등재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알칼리회복제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광기(Kim Kwang Ki),박선길(Park Sun-Gil),우재(Kim Woo Jae),송병창(Song Byung Chang),정재욱(Chong Jae uk),정상진(Jung Sang Jin) 대한건축학회 200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19 No.2

        Carbonation is a representative mechanism of performance deterioration with the lapse of time occurring in ordinary environments. It gradually approaches to reinforcing bars inside and causes the corrosion of reinforcing bars, and finally damages the structural appearance by stripping covering concrete off or incurring sectional loss and influences the internal force of concrete members. As an effort to prevent damages due to the carbonation of concrete structures 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teriorated concrete structures, alkalinity Recovery Agent, which has the capacity to restore and reinforce concrete structure, is recently being utilized.The outer walls of concrete structures are usually finished with mortar. Thus, mortar finish is directly exposed to carbonation and various deteriorating phenomena, and is more vulnerable to external influences for the long run than concrete inside the mortar. Thus, it was believed that a test on mortar finish, which reacts on carbon dioxide first, would provide a base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lkalinity Recovery Agent in restoring concrete, so this study examined the performance of alkalinity Recovery Agent by digesting a mortar test piece in alkalinity Recovery Agent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and then leaving it in the open air.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불평등 심화의 배경과 함의

        김광기(Kwang Ki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49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점증하고 있는 소득 및 부의 불평등 심화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의 배경을 추적하는 것이다. 미국에서의 소득 및 부의 불평등 심화는 곧 미국 중산층의 몰락을 의미하는 바,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중산층 몰락의 기제, 즉 그 역동적 과정을 규명하는 것과 동일하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 불평등 심화(중산층 몰락)의 배경으로 소득 상위 1%, 특히 대기업CEO들의 가파른 소득 약진, 신자유주의의 파고, 친대기업적 규제완화를 우선 거론했다. 덧붙여 부자감세 및 불공정한 세법, 월가의 규제 철폐로 인한 금융부분의 비대(금융화), 제조업의 붕괴, 금융위기 발발 후 정부가 취한 일련의 경기부양책인 구제금융 및 양적완화, 노조의 퇴조 등을 미국 중산층 몰락의 배경으로 지목했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제껏 상향이동의 전통적 수단으로 간주되던 교육이 오히려 계층 대물림의 수단으로 변질되어 중산층 몰락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rapid increase of income and wealth inequalities in the U.S. in recent times and to seek the reasons why such inequalities have evolved. Since the deepening of inequalities of income and wealth in the U.S. imply directly to the collapse of the middle class, put differently, the aim of the paper can be represented as examining the mechanism of the fall of the middle class. This paper points out the backgrounds of such inequalities on the upper one percent of the income, especially CEO of large enterprises and their rapid income growth, the great wave of Neo-liberalism, and corporate-friendly deregulation of policies. In addition, the paper also indicates that the backgrounds for the collapse of the middles class are on the tax break for the rich and unfair tax laws, de regulations of the Wall Street which lead to the financialization along with the bail out and Q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collapse of the manufacturing, and the weakening of the unions. Lastly, the paper addresses that the traditional key role of education as the ladder for social mobility has been deteriorated, rather it plays the conduit for passing on the parental social and economic classes directly to next generations.

      • KCI등재

        코로나19와 이방인: 현상학적 조망에서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1 사회이론 Vol.- No.59

        이 논문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사회적 현상을 현상학적 시각을 통해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별히 코로나19 속 세상이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유비를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코로나19로 빚어진 세상이 단지 이방인의 세상과 비슷하다는 점뿐만 아니라 그것을 탐구하는데 동원될 현상학과도 그 맥을 크게 같이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코로나의 재앙과 비극 속에서 현상학과 이방인의 사회학의 중요성과 가치가 부각되는 부수적 결과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 증명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고려될 것은 후설과 슈츠, 그리고 버거와 내이튼슨, 러크만 등에 의해 개진된 현상학적 태도이다. 이것은 일상인들이 그들의 생활세계에서 견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자연적 태도와 뚜렷이 대조된다. 이 논문에서는 현상학적 환원, 괄호침, 에포케, 판단중지 등으로 대변되는 현상학적 태도가 자연적 태도의 본질과 함께 비교되면서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그리고 현상학적 환원과 태도를 통해 도출되는, 즉 이화(異化)의 결과 간파되는 현상(실재)의 구성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현상학적 환원이 짐멜이 현대사회의 주된 특징으로 거론한 거리두기와도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코로나19의 세상을 짐멜의 거리두기와도 연결 지을 것이다. 또한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하면서 슈츠의 현상학에 지대한 영향을 받은 민간방법론의 창시자 가핑켈이 보는 사회의 상이 코로나19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상호 조응하며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이 규명할 것은 코로나19 속 일상인들이 결국은 필자가 이방인의 사회학에서 개진한 바 있는 이방인의 상과 매우 잘 조응된다는 사실이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 재차 강조되는 것은 행동 없이 사회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19가 가져 온 일상의 멈춤이 그것을 새삼 확인시켜주었다고 주장하면서, 그 주된 대상은 현상학자와 사회학자들이 아니라 일상인이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물론 현상학자와 사회학자 같은 전문가들도 코로나19를 통해 그것을 재차 확인하게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결국 코로나19라는 전 인류적 그리고 전 지구적 재앙은 전혀 의도하지 않게 현상학의 힘과 사회학의 굴기의 계기를 제공하였다고 주장될 수 있다. 또한 일상인들 모두 스스로를 이방인으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이방인의 사회학의 타당성과 효용을 입증하는 예상치 못한 결과도 낳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끝으로 이 논문을 구성함에 있어 채택된 방법은 문헌연구이다. 위에서 언급했던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의 저작 분석을 통해 소기의 목적 달성을 시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sociological phenomena caused by COVID-19 pandemic through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o achieve such purpose, the paper specifically shows the analogy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world of strangers. Besides, one thing to notice in this paper is that not only the world of COVID-19 pandemic and the world of the Strangers are alike but also, it has absolutely something in common with phenomenology utilized in the inquiry of this study. Thus, through this paper, it demonstrates the incidental outcome of high-lighting the value of the sociology of strangers and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the midst of tragedy and calamity of the COVID-19. In this paper,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articulated by those who are Husserl, Schutz, and Berger, Natanston, Luckman and the natural attitude which ordinary men stick to in their life world are taken into account. Also, the paper discusses mainly on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which is represented by phenomenological reduction, bracketing, epoché, suspension of judgement in comparison with the essence of natural attitude. Also, it examines the constitution of the social phenomena which are deduced from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attitude, i.e., estrangement. In addition, the paper emphasizes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which goes along the lines of the main feature of modern world, i.e., the process of distancing, and is trying to connect the world of COVID-19 and Simmel’s the process of distancing. The paper also looks into the manner in which Garfinkel’s view of image of society, the founder of ethnomethodology does correspond with the world of COVID-19. Finally,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corelation between ordinary man’s life in the world of COVID-19 and the image of strangers which I have elaborated in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The paper repeatedly stresses that the society can not exist without the actions of ordinary people. The suspension of everyday life due to the COVID-19 assures this argument and allows those who are lay men as well as phenomenologists and sociologists to recognize such. COVID-19, one of the greatest global ruin and misfortune of the humanity unintentionally provokes the power of phenomenology and the rise of sociology, which also makes all lay men to experience themselves as strangers. Thus, the paper argues that COVID-19 has unexpected outcome of confirming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sociology of the stranger. Lastly, it necessary to mention that the method of literature review has been manipulated to construct this paper. The paper attempts to accomplish the goal, by analyzing the original works of many philosophers and sociologists mentioned the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