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양시설의 HNS 배출규제 강화의 필요성과 규제법규 개정 방안 연구

        김계원(Kyewon Kim),류권홍(KwonHong Ryu),이문진(Moonjin Lee),강원수(Wonsoo Kang)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8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5

        최근, 한국은 해양시설로부터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을 규제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해양시설은 해양과 인접한 입지특성으로 인한 해양환경오염의 대표적 유발 원인자로 인식되어, 이들 시설의 공정과정에서 배출되는 위험유해물질을 규제하는 법규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2017년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해양시설은 모두 1,064개소로 위험유해물질 배출량(또는 이동량)과 물질의 종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양환경관리법은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고, 법이 정하고 있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법은 법규정의 미비로 인해, 증대되고 있는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의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해양시설에 의한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과 이에 따른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양환경관리법을 개정해야만 한다. 첫째, 해양환경관리법에 해양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 규제규정을 직접 규정해야 한다. 둘째, 배출규제 대상 물질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예외적으로 배출이 허용되는 물질에 대해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셋째, 위험유해물질배출허가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온배수에 대한 규제규정을 신설해야 한다. 다섯째, 간접 해양유입 오염원에 대한 연계 규제체계를 정비해야 한다. Recently, Korea has been continuing its efforts to regulate the discharges of HNS from offshore facilities. Offshore facilities are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cause of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due to location characteristics close to the ocean. Therefore, it is strengthening the regulation system that regulates HNS emitted from the process of these facilities. As of 2017, there are 1,064 offshore facilities subject to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and the amount of hazardous substances emitted (or transferred) and the types of substances are steadily increasing. At present,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prohibits marine emissions of HNS in principle, and only allows exceptional cases prescribed by law. However, current legislation does not effectively regulate the risk of marine emissions of HNS,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lack of legal defin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gulate the release of HNS by marine facilities,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Law should be amended as follows. First, the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must directly regulate the emission regulation of HNS in offshore fac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ange of substances subject to emission control, and set emission standards for substances that are exceptionally allowed to be emitted. Third, a HNS emission permit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urth, regulatory provisions for warm water should be established. Fifth, a linkage regulatory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indirect ocean inflow pollution sources.

      •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해양배출 규제의 미래 추진전략 및 모델 연구

        김계원(Kyewon Kim),이문진(Moonjin Lee),강원수(Won-Soo Kang),류권홍(Kwonhong R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1970년대 이후 전 세계적인 화물질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석유화학산업 등 화학물질을 원료로 하는 관련 산업규모가 확대되었다. 이는 필연적으로 대규모의 유독성 화학물질의 환경배출을 유발하여, 해양생태계의 파괴, 사람의 연안해역 이용의 제한 등 역기능적인 요소를 동시에 증대시켰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해양산업시설에 의한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을 규제하는 노력을 꾸준히 추진하여왔다. 그러나 현행 해양산업시설에 의한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 규제체계는 그 동안의 변화된 산업환경과 기술발전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고,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 규제의 중장기적인 비전과 추진전략, 그리고 세부적인 이행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향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위험유해물질의 해양배출 규제의 비전과 추진전략, 그리고 이행체계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부적으로는 규제의 이행과 관련한 국내외적인 환경을 SWOT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3개의 추진전략과 4개의 이행방안을 도출하였다. 3개의 추진전략으로는 규제법규의 완결성 확보, 규제집행체계의 효율성 확보, 해양배출 HNS의 연구역량 확보를 설정하였고, 4개의 이행방안으로는 해양환경관리법 정비, HNS 해양배출 정보활용체계 구축, 해양배출 위험평가체계 구축, HNS 해양배출 연구기반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세부적인 추진전략이나 이행방안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해양환경관리법의 규제방식을 현행의 Positive Regulation방식에서 Negative Regulation방식으로 전환할 것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1970s, as the global demand for cargo has increased rapidly, the scale of related industries using chemicals such as the petrochemical industry has expanded. This inevitably caused the environmental emission of large-scale toxic chemicals, simultaneously increasing dysfunctional factors such as destruction of the marine ecosystem and restriction of human use of coastal waters. Accordingly, Korea has been steadily promoting efforts to regulate marine emissions of hazardous substances by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However, the current marine emission regulation system for hazardous substances by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has been criticized for failing to accommodate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for its lack of mid-to long-term vision, implementation strategy, and detailed implementation system.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vision, implementatio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marine emission regul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to be promoted in the mid to long term in the future. In detail,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was analyzed through SWOT analysis, and based on this, three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four implementation plans were derived. The three implementation strategies included securing the completeness of regulatory laws, securing the efficiency of the regulatory enforcement system, and securing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marine emission HN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ese detailed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it was suggested to change the regulatory method of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from the current Positive Regulation method to the Negative Regulation method in the mid to long term.

      • KCI등재

        구글맵을 이용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6LoWPAN 테스트베드 구현

        김계원 ( Kyewon Kim ),서재완 ( Jaewan Seo ),황대준 ( Dae-joon Hwang ),추현승 ( Hyunseung Cho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5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u-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무선센서네트워크는 대규모망에서 관리가 어렵고 안정성 및 이동성이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센서네트워크와 IP망과의 연동을 위한 6LoWPA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LTSGM(Location Tracking Service Based on Google Map)을 제안한다. LTSGM 시스템은 IP 인프라 서비스인 구글맵과 연동하여 센서노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센서네트워크에서의 유지, 보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모바일노드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향후 각종 재난, 범죄 등의 응용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LTSGM 시스템은 향후 6LoWPAN연구를 위한 시험적인 플랫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that make it possible to provide u-service in a ubiquitous society, however, it has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of managing sensor nodes and weaknesses of stability or mobility in large-scale WSN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6LoWPAN that integrates with WSNs and IP networks has been studied wid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cation Tracking Service Based on Google Map (LTSGM) system using 6LoWPAN. Since LTSGM system provides visual location information of sensor nodes through Google Map, it is possible to makes it easier than ever to manage sensor nodes in large-scale WSNs. Moreover, LTSGM can be used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applications for disaster or crime because it can trace the location of mobile nodes. Implementation of LTSGM system will be a test platform for 6LoWPAN.

      • KCI등재후보

        사이버범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계원(KyeWon Kim),서진완(Jin-Wan Seo) 한국공공관리학회 200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3 No.4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이버범죄에 대한 정책적 대응은 사이버범죄의 성격과 유형에 따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위한 우선적인 과제로 사이버범죄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이를 통한 유형화 작업에 두고 사이버범죄의 분류기준과 유형화 모형 탐색, 그리고 이에 대한 적용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사이버범죄 215개를 6개의 대분류, 12개의 중분류, 38개의 세부범죄종류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침해수단, 침해성격, 침해가치 등을 중심으로 한 삼차원적 분류모형에 따라 38개의 세부범죄종류를 8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Cybercrime is one of the unexpected dysfunctional phenomena which our society faces, its policy measures should be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provided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typology. This research tries to identify the definitions and concepts of cybercrime, to explore the classifcation of cybercirme according to its typolog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215 cybercrimes a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the different levels. The study suggests the applicable three-dimensional typology for its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means of vio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violation, and values of violation. These typology can be useful for classification of each cybercrime and its policy countermeasures.

      • KCI등재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해양배출 규제체계 개선의 필요성과 규제방향에 대한 연구

        이문진,김계원,강원수,Lee, Moonjin,Kim, Kyewon,Kang, Won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2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7 No.6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regulatory legal systems, and emission status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in these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regulatory system was presented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about 1,100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re subject to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of 2007. It is estimated that 190 kinds of hazardous substances are discharged from these marine industrial facilities and are highly likely to flow into the ocean, of which 20 are estimated to be discharged into the water system. However, due to the lack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whether the discharged material corresponds to an exceptional discharged material, making it difficult to effectively enforce regulations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effective regulatory enforcement is difficult in the regulatory field.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law should clearly stipulate the exceptional emission standards and types of substances, and clarify the selection system, risk assessment system, and emiss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related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본 논문에서는 해양산업시설 현황과 규제법규 체계, 그리고 이들 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실태 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규제체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2020년말 현재, 해양환경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해양산업시설은 약 1천1백여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해양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어 해양유입 가능성이 높은 위험유해물질은 190여종으로 추정되며, 이중 해양유입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물질은 수계로 배출되는 것으로 파악된 20여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관련 법규정의 미비로 인하여, 배출되는 물질이 예외적 배출물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규제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환경관리법의 예외적 배출기준과 해당 물질의 종류에 대해 명확히 규정해야 하며, 예외적 배출물질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할 선정체계와 물질의 위해성 평가체계, 그리고 관련 위험유해물질의 배출정보수집 및 모니터링체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

      • SCOPUS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Aureobasidium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

        조혜미(Hye-Mi Jo),예진(Ye-Jin Kim),유상호(Sang-Ho Yoo),창무(Chang-Mu Kim),김계원(KyeWon Kim),박천석(Cheon-Seok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에서는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배양 조건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시간과 온도에 따른 건조된 균체량과 풀루란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AYS배지내 탄소원과 혼합질소원 변화에 따른 풀루란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ucrose와 ammonium sulfate, soy peptone을 본 실험의 최적 탄소원과 혼합질소원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후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탄소원인 sucrose와 질소원인 soy pepetone의 최적 농도와 최적 초기 pH를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교하였을 때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세가지 변수 중 특히 초기 pH가 풀루란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A. pullulans MR을 26℃에서 5일간 배양할 경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은 최적 배양 조건은 sucrose 15%, soy peptone 0.4%, 초기 pH 7이였으며, 위의 배양 조건에서 예측할 수 있는 풀루란의 최대생산량은 47.6 g/L이었다. 이후 확인 실험을 위해 A. pullulans MR을 동일 조건으로 배양한 뒤 풀루란의 생산량을 관찰한 결과 48.9±3.4 g/L로 예측된 값과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ucrose의 경우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도 A. pullulans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보고가 되었지만,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5%를 초과하게 될 경우 오히려 풀루란의 생성을 저해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다(Shin 등, 1987b). 이는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높아 질수록 sucrose의 농도에 의한 삼투압 현상과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해 발생하며(Singh 등, 2009b), sucrose뿐만 아니라 glucose와 maltose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내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Shin 등, 1987a). 하지만 이러한 보고들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sucrose의 함량을 5%에서 15%까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풀루란의 생산이 오히려 증가하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초기 배지의 pH의 경우 A. pullulans 균주에 따라 최적 pH가 pH 3.8부터 pH 7.5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Singh 등, 2018a; Wang 등, 2013; Shin 등, 1991) A. pullulans MR의 경우 비교적 중성인 pH 7에서 가장 많은 양의 풀루란이 생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A. pullulans MR의 풀루란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식품, 화장품, 제약 등 여러 광범위한 분야에서 미생물 유래 다당류인 풀루란의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Aureobasidium pullulans, a black yeast, produces pullulan, a linear α-glucan composed of maltotriose repeating units linked by α(1→6)-glycosidic linkages. Pullulan can be widely used in food, cosmetic, and biotechnology industries. In this study, we isolated eight strains of A. pullulans from Forsythia koreana, Magnolia kobus DC.,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Cornus officinalis, Cerasus, and Hippophae rhamnoides. Among them, A. pullulans MR was selected as the best pullulan producer. The effects of a carbon source, a nitrogen source, and pH on pullulan production were examined.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pullulan production by A. pullulans MR were determin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s 15% sucrose, 0.4% soy peptone, and an initial pH of 7 at 26℃.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edicted pullulan production was 47.6 g/L, which was very close to the experimental data (48.9 g/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