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百濟人의 食生活 試論-재료와 조리를 중심으로-

        金 起 燮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3 百濟硏究 Vol.37 No.-

        백제가 성장한 한반도 중서부지역은 山川이 험하지 않은 데다 비교적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서식한다. 청동기시대 이래의 유적을 검토한 결과, 자연환경은 古今에 큰 차이가 없으며 지역별 차이도 크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인이 재배한 식물은 각종 곡물·나물·채소·과일 등 다양하다. 자연 여건상 쌀·보리를 많이 경작하고 섭취한 듯하다. 백제의 영토 안에는 山地·평야·하천·바다가 모두 포함되었기 때문에 동물도 다양하였다. 포유류·조류·어류·貝類에 속하는 동물유체가 다수 수습되었거나 문헌 기록을 통해 확인되었다. 다만, 중국 기록에는 백제에 거위·오리가 없다고 하였으나 착오로 보이며, 대륙붕이 발달한 서해안 때문인지 생활유적에서는 물고기와 조개류가 특히 많이 수습되었다.백제가 본격적으로 정복전쟁에 나서면서 쌀·콩 등의 곡물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졌다. 곡물을 가공·조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찜·죽·밥이 많았다. 찜은 시루를 이용한 조리법인데, 대략 3∼4세기경부터 늘어난다. 시루와 짝을 이룬 백제토기는 圓底長卵形土器이다. 찜 요리가 늘어난 것은 농업생산력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이는 동시에 정치·사회 구조의 변화도 시사한다. 그러나 찜은 음식의 분량이 덜 불어나는 단점이 있어서 지배층 이외에는 사용하기 어려웠을 것이다.평민은 주로 죽과 밥을 지어먹었다. 생산량의 한계 등으로 인해 밥보다는 죽이 많았을 터인데, 곡물만 끓이는 죽이 아니라 아욱 등의 채소와 나물을 넣어 양을 불린 죽이었다. 죽을 끓일 때 아욱 등의 채소는 향신료의 역할도 하였을 것이다. 백제토기는 대체로 軟質이기 때문에 흙 냄새가 배어나 별도의 향신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을 것이다. 제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4세기에는 쇠솥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직은 재료·기술 등의 여건에 제약이 따르고, 武器·農工具 제작이 더욱 시급하였던 탓에 쇠솥을 사용하는 民家는 많지 않았을 것이다.전쟁이 잦았던 탓에 백제에서도 육식을 장려하였다. 『三國史記』 「百濟本紀」의 田獵기사는 일단 육식과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불교의 영향이 커진 6세기 중엽부터는 식생활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살생금지령이 선포되는 등 육식을 금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菜食을 널리 장려하였고, 백제 사람들은 콩·깨 등을 더욱 많이 섭취하게 되었다.

      • KCI등재

        4세기무렵 백제의 지방지배

        金起燮(Kim, Ki-seob) 백산학회 2002 白山學報 Vol.- No.63

        Recently, a historical theory has been in circulation, and has gained some acceptance. The theory states that the Paekche central government began, in the fourth century, building cities which they called “Tamro(?魯)”. The Tamros were given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city and its surrounding countryside. This theory is based on two historical assumptions. One is that an article in Nihonshyoki(日本書紀) stated that “everything produced in a local district should be recorded there”. The other assumption is that the territory held by the Paekche was extensively expanded during the reign of King Kunchogo(近肖古). The theory remains groundless, however, since both assumptions are inaccurate. The article in Nihonshyoki wasn't written until the latter half of the fif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under King Kunchogo, is generally regarded to be unrelated to the Tamro system. Furthermore,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Tamro system probably didn't occur until the late fifth- or sixth-century. Paekche in the fourth century was actually under the "Pu(部)" system, considered an earlier phase of the Tamro system. The Pu is generally believed to be similar to the five-Pu system in Puyo(夫餘) and Koguryo(高句麗), which was centered around clan units. This article challenges the general agreement about the Pu system, in that it argues that the system in Paekche was modeled on the Pu system in china. The Chinese Pu system was established mostly on the Kingdom's frontiers with the intent of pacifying any resistance from the indigenous people, and absorbing them into a China-centered order. It appears Paekche had the same motives. The Pu system in Paekche undertook to draw the local gentry under the umbrella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us, stabilize the regime. Supporting evidence for this argument can be found in fourth-century burial sites in Hwaseong-city(華城市), Kyonggi-do(京畿道). While the burial facilities and the manner of the inter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ombs of the ruling aristocracies, historical relics such as pottery appear quite similar. This demonstrates that the local leaders in Hwaseong were of a different clan than the ruling class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y were not independent socially, politically or economically. They were, however, structured under a central government system. By and large, Hwaseong in the fourth century was an outgrowth of the Pu system in Paekche.

      • ISO 26262 기반 EPS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

        금기섭(Gi seop Geum),김종관(Jong kwan Kim),양만영(Man young Yang),문형태(Hyung tae Moon) 한국신뢰성학회 2014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The increasing applications of electric/electronic system(E/E system) in passenger cars have resulted in a staggering complexity that is increasing risks from systematic failures and random hardware failures. ISO 26262 is a standard for functional safety development processes to provide evidence that all reasonable functional safety objectives of E/E system in road vehicles are satisfied. ISO 26262 is comprised of system development phase(part 4) and each hardware(part 5), software development(part 6) sub-phase separately. In this paper, we introduce our software design and verification practices compliant with requirements of ISO 26262-part 6 for Electric Power Steering(EPS) application.

      • MBSE 프로세스 기반 기능안전 분석 방법론

        금기섭(Kiseop Geum),김종관(Jongkwan Kim),김성주(Sungju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개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모델링 기반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인 MBSE 개발방법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MBSE 개발방법론은 툴 기반의 모델링 방식을 적용하여 시각화에 의한 영향성 분석, 요구사항과 설계내용간 추적성 관리, 이해관계자들 간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전적 방식의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SO26262에서도 기능안전 활동을 Top-down 기반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틀 안에서 수행하도록 가이드하고는 있지만,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MBSE 프로세스와 기능안전 활동 프로세스간에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MBSE 기반의 시스템 설계 프로세스와 기능안전 활동간의 워크 플로우를 정의하고 설계 모델에 대한 기능 안전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자율주행 게이트웨이 제어기에서 HSM 기반 Secure Onboard Communication (SecOC) 적용 및 성능 최적화

        손상준(Sangjun Son),금기섭(Kiseop Geum),김태욱(Taewook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3 No.11

        In gateway controllers where real-time is important, the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driving are added, security is important, and the number of messages processed is higher than before. Due tothis effect, it was decided to change the SecOC applied as Sync to Async to reduce the core load while complying with the real-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secured message could affect Latency when applied as Asyn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ured message should be adjusted to the extent that it did not affect real-time.

      • ISO 26262 기준의 EPS System Dependent Failure 분석

        문성주(Seongjoo Moon),금기섭(Kisub Keum),김현정(Hyunjung Kim),문형태(Hyungtae Moon),배홍용(Hongyong Bha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6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6 No.5

        오늘날의 차량 시스템은 전자부품의 비중이 커지고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에 따라, ISO26262 안전규격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안전 규격 준수를 위해서 redundant system 요구사항이 늘어나기 때문에 시스템의 failure 양상은 더욱 더 복잡해 지고, 분석하기가 힘들어 진다. 본 논문은 safety analysis 중 dependent failure analysis의 실질적 적용에 대한 것으로, 전자식 조향 보조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그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시스템상의 dependent failure를 유발하는 element들을 정의하고, FTA를 통해 dependent failure 도출 및 root cause를 상세화 하고, 마지막으로 dependent failure를 막을 수 있는 safety measure를 도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방법론을 차량 전장품 설계에 적용한다면, 앞으로의 safety 적용 아이템에 safety analysis를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 ISO26262 기준의 전장 하드웨어 PMHF 분석

        장현섭(Hyun seop Jang),금기섭(Gi sup Geum),권도욱(Do wook Kwon),김종관(Jong kwan Kim),이영훈(Young hoon Lee),박선홍(Sun hong Park),김성규(Seong kyu Kim),배홍용(Hong yong Bhae) 한국신뢰성학회 2014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5

        오늘날의 차량 시스템은 전자부품의 비중이 커지고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에 따라, 완성차 업체들의 ISO26262 안전규격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규격 충족을 위해서는 제품 설계는 물론 검증과 평가 등의 전 과정에 걸쳐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전장 부품 하드웨어에 적용되는 ISO26262규격의 실질적 적용에 대한 것으로, 전자식 조향 보조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그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하드웨어의 설계와 관련된 V-cycle 의 Key activity 인 PMHF 를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수행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제품이 HARA분석에서 정의한 ASIL을 만족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 또한 FMEDA 시, Component 의 고장모드에 해당하는 Diagnostic measure 를 정의하고 SPFM과 LFM을 계산하면서 회로 설계상의 오류를 검증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설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비용상의 이점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모든 차량 전장품 설계에 적용한다면, 안전 규격 만족과 동시에 설계의 물적/시간적 낭비를 막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