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4 포스터 발표 : 토양 환경 분야(PS) ; PS-12 : 서로 다른 토양에서 Imidacloprid의 흡착 및 탈착 특성

        이창호 ( Chang Ho Lee ),남지윤 ( Ji Youn Nam ),권회군 ( Hoe Gun Kwon ),이제형 ( Je Hyeong Lee ),송은희 ( Eun Hee Song ),추환용 ( Hwan Yong Choo ),맹은호 ( Eun Ho Maeng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Imidacloprid는 chloronicotinyl계 침투성 살충제로서 흡입해충(sucking insects), 토양해충(soil insects),흰개미(termites), 저작해충(chewing insects) 등을 방제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꿀벌(Apismellifera)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높고, LD50이 8 ng/bee로 보고 되어 있다. 그리고, 토양내에서 imidacloprid의 수착(sorption) 정도는 유기탄소 및 무기물질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토양에서 imdacloprid의 흡/탈착특성을 알아보고, 토양내 거동형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HCB-SL-PF (silty loam, pH 6.8, OC 33.0 g kg-1), Iowa Soil (silty loam, pH6.2, OC 8.5 g kg-1)의 두 종류의 토양을 선정하였으며, 흡/탈착실험을 위하여 토양과 용액비율을 1:3(w/v)으로 하여 Imidacloprid를 0, 5, 10, 50, 100, 500 mg kg-1 수준으로 처리하여 상온에서 20 rpm의 속도로 4시간 진탕하였다. 산출된 결과를Freundlich equation에 적용한 일차식으로 나타내었고, 흡착실험에서 HCB-SL-PF 토양은 기울기 0.807 (R2 0.980), KadsF 1.897, Iowa Soil 토양은 기울기 0.950 (R20.998), KadsF 1.359로 나타났다. 탈착실험에서는 HCB-SL-PF 토양은 기울기 0.582 (R2 0.924), KadsF3.461, Iowa Soil 토양은 기울기 0.977 (R2 0.917), KadsF 1.390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유기탄소함량이 높은 HCB-SL-PF (OC 33.0 g kg-1) 토양이 Iowa Soil (8.5 g kg-1) 토양보다 흡착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살구 중 Bifenthrin의 잔류 특성 연구

        신현우 ( Hyeon-woo Shin ),이창호 ( Chang-ho Lee ),권회군 ( Hoe-gun Kwon ),나경민 ( Kyung-min Na ),양승현 ( Seung-hyun Yang ),김평열 ( Pyoung-yeol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시설재배 살구 중 Bifenthrin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잔류 특성을 구명하고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농산물의 출하단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동일한 품종을 재배하며 지리적으로 차이가 있는 서로 다른 3개 지점에서 수행하였다. 시험농약은 살구에 등록된 농약제품 중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높고 최종 약제살포 후 수확 일이 짧아 잔류가능성이 높은 제품(비펜트린 8% 입상수화제)을 사용하였고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여 살포한 후 최종 약제 살포 후 0, 1, 3, 5, 7, 10 및 14 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의 전처리는 QuEChERS method (EN 15662)에 따라 수행하였고 LC-MS/MS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살구 중 Bifenthrin의 정량한계는 0.01 mg/kg이었으며, 회수율 및 저장안정성시험결과는 첨가농도별 평균회수율 허용범위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살구 중 Bifenthrin의 일차별 잔류량을 토대로 각 지점별 회귀방정식에 의한 감소상수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모든 지점의 처리구에서 최종 약제 살포 후 잔류량이 경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A 지점(경북 영천)에서의 반감기는 8.5일, B 지점(경북 영천)에서의 반감기는 6.9일, C 지점(경북 포항)에서의 반감기는 8.3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지점에서 살구의 일차별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의 최대 64%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가 유통단계에서 섭취할 수 있는 살구에 해당되는 최종살포 후 수확일의 평균 농약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의 63~50%로 안전한 수준이라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