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공공기술 이전기업의 시장성과에 관한 요인탐색

        권태혁(Taehyuk Kwon),서일원(Ilwon Se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공공기술 사업화의 성과는 그동안 공급자적인 관점에서 관리되어 왔으나 사업화 시장이 성숙됨에 따라 최근 기술을 활용하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효과성을 성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성과의 관리측면에서 볼 때 공급자의 성과지표는 통제가 가능하고 정량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만, 수요자 측면에서 기술사업화의 성과는 복합적이고 비선형적인 과정을 통해서 도출되기 때문에 그동안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의 시장성과에 공공기술이 기여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핵심적인 성과요인을 파악하고 그 영향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Decision Tree와 Random Forest 알고리즘을 기법을 적용하여 패턴을 구분한 결과 경쟁환경이 치열하고, 기술기반 제품의 비중이 높은 기업들 중 기술이전에 대한 만족도가 양 극단적인 기업들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국내의 기술기반 기업들이 공공기술이전을 결정하는데 있어 시장에서의 경쟁압박과 기술기반 제품의 비중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the inwa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widely recognized as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he technology provider and purchaser. literature, still, remain silent about the market performance of purchaser. It is of importance to reveal the extent which licensee firms transform its exogenous technology into economic performance because the goal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sing policy aims at enhancing the capacity of small firms. This study explores the market performance of licensee firms, as a proxy for the effectiveness of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sing policy, by identifying the critical factors. First, we reduce the criteria of variables into four by employing a decision tree, and then the factors are assessed in order to compare the influences in the latter part. The result suggests that three variables-higher market competition level, the higher ratio of a technology - intensive product among firms’ portfolio, and satisfaction level - show a strong impact on the market share. The empirical result implies that a firm’s competition-driven condition or ‘market pull’ act as the driving force for them to find exogenous technology.

      • KCI등재

        제약기업의 지식재산권 지원정책에 따른 부가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를 중심으로

        권태혁 ( Kwon Taehyuk ),서일원 ( Seo Ilw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시장의 제약분야 기술혁신 선도기업의 이윤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가 기업의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제약산업은 연구개발 투자규모가 크고 기술 집약적인 산업이며 연구개발 성과가 지식재산권 형태로 보호되기 때문에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어 진입장벽이 높다. 그러나 동시에 특허등록 후 제품출시까지의 기간이 길고 기술이 공개적으로 명문화되기 때문에 합성의약품의 경우 후발 의약품을 빠르게 복제하여 특허침해의 판단에 앞서 시장출시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존재했다.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는 이러한 고위험/고수익 형태의 제약산업 구조하에서 기업의 기술혁신 다이내믹스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일환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퍼스트 제네릭을 생산하는 선도그룹 기업의 이익을 일정 기간 보장하는 제 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를 통해 기술 선도기업의 이윤을 보장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인 부가가치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로 기여하는지에 관해 639개 제약분야 기업의 재무회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악한다. 성향점수매칭기법을 활용해 선도그룹(제도활용그룹)과 비활용그룹을 비교한 결과 연구개발투자비용 측면에서는 선도그룹이 연구개발비용과 인력 보유 수준에서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측면에서 모두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선도그룹의 인당 부가가치는 제도 비활용그룹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혁신기업에 대한 이익 보호 제도는 부가가치를 통한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policy tools that ensure the profits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can act as a driving force that creates market innovation. In the technology-intensiv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size is extensive,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 R&D performance, which raises the entry barrier for latecomers. As for synthetic drugs, however, publicly stipulated technology makes it easier for latecomers to manufacture generic drugs. The pharmaceutical patent-regulatory approval linkage system plays a role in maintaining market innovation dynamics under the high-risk, high-profit pharmaceutical industry by ensuring the interests of leading companies which develop original drugs and their first generics for some time. The study used 639 pharmaceutical companies’ financial data to find out whether these policy tools contribute to corporate added value. After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study found out that leading companies, which applied the policy, had greater R&D expenses, more skilled manpower, and higher net income and operating profits. In addition, leading companies’ value added per capita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anies which did not utilize the policy. This shows that policy tools that protect the interests of innovation companies are playing a positive role in contributing to firm’s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