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대상 비대면 사회서비스 제공 경험 및 효과적 제공 방안에 관한 연구: 종사자 FGI 분석을 중심으로

        어유경(Yugyeong Eo),고정은(Jung Eun Ko),권영지(Youngji Kwon) 한국사례관리학회 2024 사례관리연구 Vol.15 No.1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서비스 영역에도 비대면 서비스를 도입하는 다양한 사례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사회서비스의 주요 수혜집단 중 노인은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물리적 환경 미비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의 접근성과 효과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노인을 위해 비대면 사회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노인 대상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노인 대상 비대면 사회서비스 제공 경험 사례를 수집하고, 비대면 사회서비스의 제공 수준과 효과적 제공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노인 대상 비대면 사회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을 위한 방안 및 필요한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비대면 서비스의 목적은 사람과 사람 간 소통에 두어야 하며, 효과성도 소통 활성화에 달려 있다. 둘째, 서비스 제공기관 수준에서는 유연한 서비스 제공, 제공방식에 대한 전략적 선택, 주민에 의한 교육, 기관 종사자의 디지털 역량 증진, 지원 인력 배치 및 경험 독려, 신체건강 비대면 서비스 제공 등이 중요하다. 셋째, 정책 차원에서는 서비스 제공기관 및 이용자를 위한 물리적 환경 지원, 이용자 편의를 위한 가이드 및 쉬운 기기 개발, 예산의 유연한 활용 허용이 필요하다.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a surge in the adopt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within the social services sector has been observed. Despite these advancements, th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services for older adults, a significant beneficiary group of social services, remain constrained due to factors such as low digital literacy and insufficient physical environments.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more effective ways of delivering non-face-to-face social services to older adults who continue to rely on such services.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staff from major institutions providing social services to older adults, aiming to comprehend the overall status of non-face-to-face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ervice provision and effective delivery. The analysis results prompted the formulation of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provision of non-face-to-face social services for older adults, organized according to influential factors. Firstly, it is imperative that the purpose of non-face-to-face services prioritiz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ith effectiveness contingent upon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Secondly, at the institutional level, flexibility in service provision, strategic decision-making in service delivery methods, resident education initiatives, enhancement of digital capabilities among institutional staff, deployment of support personnel, encouragement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provi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for physical health were identified as crucial elements. Lastly, at the policy level,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support in physical environments for both service providers and users, the development of user guides and user-friendly devices to enhance convenience, and flexibility in budget utilization. These recommendations collective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non-face-to-face social services, ensuring their efficacy and accessibility for the older adult population.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가 인지하는 지역사회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에 관한 연구

        채성현(Chae SungHyun),강태인(Kang TaeIn),김미영(Kim MiYeong),권영지(Kwon YoungJi),박형빈(Park HyungB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1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부모가 인지하는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과 주거지원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자신의 욕구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지원을 선택하고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면서 생활하는 자립생활 영위에 필요한 실질적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은 “자립은 할 수 있지만 옆에서 많이 도와줘야 하는 것”, “어느 정도 도와주면 혼자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립생활의 동기와 지원방안으로는 “혼자 남게 될 발달장애 자녀에 대한 걱정”, “형제자매의 부담”, “경제적인 어려움”, “안전에 대한 우려”, “정서적인 외로움” 등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원에 대한 인식으로는 “주택마련의 어려움”, “청소, 빨래, 식사와 같은 전반적인 일상생활의 지원과 개입”, “혼자보다는 두세 사람이 함께 사는 형태”, “기관의 관리자, 중계자, 매니저 역할의 감당”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을 위해서는 주거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주택지원을 포함한 주거공간 마련과 제도적 장치 수립, 주거지원 모형 수립 및 발달장애인의 욕구에 기반을 둔 다양한 주거지원서비스가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aningful way about independent living and housing support how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a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by finding necessary resources form support of community through their parents perceived. As a result, the awareness of independent lives appear that "they can be independent, but somebody has to help them a lot". And realistic difficulties is that "the worry abou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s loneliness", "the burden of their siblings", "economic difficulties", "the worry about safety", "emotional loneliness". The result of housing support is appeared like “the hardness of having housing”, “the assistant and engagement to overall daily life such as cleaning, laundry, eating". "the type of living in-group rather than living alone", “institute has to do the role of manager, agent”. In future, it will be needed various follow-up measures related to housing support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 also will be needed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housing support policies and services based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