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 42서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사례연구

        권상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4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7 No.1

        IT 개발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데 비해 이들의 역량을 향상하는 데 기업 및 공공기관의 노력과 지원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42서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IT 개발자 교육기관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의 역량모델 개선에 초점, IT 개발자의 소프트 스킬을 향상할 수 있는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역량모델링 수립은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으며 문헌 분석, 외부 전문가 인터뷰, 패널 토의 워크샵, 내부 경영진 검토 등을 거쳐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분석적 사고, 변화관리, 계획수립 및 구조화라는 5대 역량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행동 지표를 도출하였다. 행동 지표는 IT 개발자의 눈높이에 맞게 학습-적용-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 맞춰 3단계로 역량의 레벨을 확정하였다. 역량을 통해 IT 개발자의 학습과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동 지표는 BARS 척도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IT 개발자를 위한 역량모델링 수립에 관한 실천적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연구에서 더 많은 역량모델링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역량 관련 연구의 초석을 쌓는 데 공헌하였다. While the interest in IT programmer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a lack of effort and support from corpor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petency model of Innovation Academy, which runs the 42 Seoul program,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IT programmers, and conducts an in-depth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ency model that can enhance the soft skills of IT programm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ternal experts, panel discussion workshops, and internal management review, five competencies were selected: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analytical thinking, change management, and planning and structuring, and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rived to develop each competency. The behavioral indicators are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IT programmers, and the competency levels are organized in three stages to match the process of learning, application, and performance. The behavioral indicator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BARS scale so that IT programmers' learning and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competency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contributions to stimulate more attention in establishing competency modeling for IT programmer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directions on competency modeling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domai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소벤처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이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혁신풍토 및 자원관리에 대한 시사점

        권상집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2 중소기업정책연구 Vol.7 No.1

        중소벤처기업의 조직창의성이 지니는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개념인 사내기업가정신과 브리콜라주는 국내 중소벤처기업 연구자에게 그동안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사내기업가정신과 조직창의성의 관계에 있어 조직의 혁신풍토와 기업가적 자원관리 방식인 브리콜라주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벤처기업 200곳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 조직의 혁신풍토가 조성될 때 사내기업가정신이 브리콜라주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브리콜라주는 사내기업가정신과 조직창의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한다는 점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벤처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이 조직창의성으로 이어지는 데 있어 조직의 혁신풍토와 브리콜라주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시사점을 본 연구는 제안하였다. 연구의 학문적 공헌도, 정책적 시사점, 후속 연구 방향은 결론 부분에 추가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팔로워십,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권상집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ders’ servant leadership, follower’s follow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cting information. A total number of 252 employees responded to survey items. In order to analyze the hypotheses, the sample data were examined AMOS 20.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leaders’ servant leadership is positively leading to followers’ follow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followers’ followership is positively leading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followers’ followership strengthens the relation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ose who have high followership are able to boost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n given servant leadership for the consideration and dedication. Next studies should collect data from diverse organizations and explores the potential effects of servant leadership and followership to provide an overall picture predicting the influential role of followership in organizational growth.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팔로워십,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 국내 공기업 및 사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252부를 수집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인 AMOS를 활용,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의 팔로워십과 조직몰입 향상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구성원의 팔로워십 역시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향상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성원의 팔로워십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강화하는 매개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의 정(+)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데 기여했다. 본 연구 결과는 배려와 헌신을 위한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주어질 때, 높은 팔로워십을 보유한 구성원들은 누구나 조직몰입과 헌신적으로 기여하는 조직시민행동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후속 연구는 보다 다양한 기업 및 조직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잠재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 조직 성장에 필요한 팔로워십의 영향력을 명확히 규명하여 좀 더 포괄적인 통찰력을 조직 현장에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권상집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mpowering leadership,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individual creativity. Empowering leadership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success factors for organizational growth. In order to analyze study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 to 229 employe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otal 188 employee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ir data were includ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individual creativity. Second, psychological ownership have positively meaningful influences on job engagement and individual creativity. Third, followers’ psychological ownership fully mediates the relation among empowering leadership, job engagement, and individual creativity.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contribution since it demonstrated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Also, the research findings prove that followers’ psychological ownership help develop empowering leadership impacts within their organizations to boost job engagement and employee creativity. This study offers managerial implications to business field regarding how to develop leadership capabilities and follower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academic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 자율성, 권한위임 등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와 개인 창의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중소 및 중견 기업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188명의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판발타당성 분석 후 도출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열의, 개인 창의성 모두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 역시 직무열의와 개인 창의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열의, 개인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강화하는 완전매개 변수로 임파워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핵심 영향 요인이라는 점과 함께 심리적 주인의식이 구성원들의 직무열의 및 창의성 증진과 리더의 임파워링 행위를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촉매제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조직 및 리더십과 관련된 기업 교육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학문적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안정그룹 애착이 협상 결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호 양립 가능한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권상집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2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 attachment secur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negotiated outcom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est compatibility. To strengthen causal relationships and rule out alternative explana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based on employees. I collected data from 136 employees in a middle market enterpri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ecure group attachment or control conditions. All four participant composing one negotiation unit were primed with an group attachment security or neutral condition. Therefore, this study used a one-factor (experimental group vs. control group) between participant design.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1) The securely group attachment was positively perceived interest compatibility than control condition (2) Also, perceived interest compatibility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negotiated outcome. (3) Finally, perceived interest compati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attachment security and satisfaction with negotiated outcome. This study advances research areas about group attachment and negotiation research, and related variable.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organizations to take a step to alleviate the competitive cultures and strategy on negot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ositive influence of group attachment security. 본 연구는 협상팀 간의 상호 양립 가능한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안정그룹 애착이라는 심리적 변인이 해당 변인을 통해 협상 결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인과관계를 강화하고 추가적으로 미칠 수 있는 변수의 효과를 사전에 배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임직원 136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기본적으로 안정그룹 애착 또는 이와 무관한 통제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되었고 2대2 협상을 토대로 안정그룹 애착을 부여받은 실험 집단 간의 협상, 중립적 조건에 놓인 통제 집단 간의 협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연구 결과, 안정그룹 애착을 형성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상호 양립 가능한 이해관계에 보다 높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안정그룹 애착은 협상 결과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정그룹 애착과 협상 결과 만족 사이를 상호 양립 가능한 이해관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룹애착 이론 및 협상 등 관련 연구 영역을 한층 더 진전시키는데 기여했으며, 더 나아가 실무적으로도 기업 및 조직 관점에서 협상과 관련하여 경쟁 위주의 전략과 문화를 다소 완화시켜야 할 바를 중요하게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가 안정그룹 애착이 협상 결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밝히는데 필요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엔터테인먼트 & 미디어 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폐기학습의 매개효과

        권상집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3

        최근 들어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에서 가장관심을 받고 있는 키워드는 사내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이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산업에서 개인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가무엇인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에 종사하는 212 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고 수집된 설문을 토대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의 창의성은 사내기업가정신과 폐기학습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폐기학습은 사내기업가정신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개인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에 관해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봤으며 실증 분석을 토대로 사내기업가정신, 폐기학습,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련 연구 영역에 다양한 측면의 학술적 기여도를제공하였다. 또한, 경영진은 조직 구성원이 조직의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폐기학습을 활성화하고 창의성을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요소인 사내기업가정신을 독려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기업가적 리더십의 양면성: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에 따른 패러독스 효과

        권상집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In venture creation research, studying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important for uncovering and comprehending the underlying causal process in innovative behavior performance. Although previous studies provide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enhances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there is few research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followers’ characteristics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s focus is paradoxical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On the basis of individual regulatory focu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action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followers’ regulatory focus differed in promotion view and prevention view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To strengthen the casual mechanism, this study conducted in priming experiment method using employees in SMEs. This study used a 2(entrepreneurial leadership vs. control) x 2 (regulatory focus: promotion vs. prevention) between-participants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at (1) Individuals in promotion focus especially benefited from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terms of its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2) whereas entrepreneurial leader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innovative behavior of followers’ prevention focus. In sum,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ing evidence for hypotheses, combined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regulatory focus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hypotheses of this study, revealing that promotion focus show more innovative behavior than prevention focus when their leaders’ leadership style is entrepreneurial leadership. Also, the paradoxical effe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regulatory focus of followers on innovative behavior was mediated by followers’ self-efficacy. This study helps explain how leaders’ entrepreneurial leadership boost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particularly for those employees who have promotion focu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y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regulatory focus and innovation literature. Finding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organizational processes that shape innovative behavior in venture/startup corporations and provide contributions for venture business field. 벤처창업 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 및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핵심 고리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기업가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성원의 개별 성향과 복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절 초점 성향을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변수 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재직 중인 구성원을 대상으로 점화 기법 기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참가자를 2(기업가적 리더십 점화 집단 vs. 통제 집단)×2(조절 초점: 성장 초점 집단 vs. 예방 초점 집단), 네 가지 집단에 각각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가적 리더십은 성장 초점의 구성원들이 지닌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가적 리더십은 예방 초점 성향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과 혁신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험연구 결과,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절 초점 성향의 상호작용이 자기효능감을 토대로 혁신행동에 양면적인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장 초점 성향의 사람들이 예방 초점 성향의 사람들보다 리더가 기업가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훨씬 더 혁신행동을 발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에게 미치는 양면적 효과는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고 있다는 점도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절 초점 성향, 혁신이론에 중요한 학문적 기여도를 제공하였으며 실무적 관점에서도 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운영 프로세스에 관한 의미 있는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애착 유형이 심리적 임파워먼트, 창의적 프로세스 몰입, 혁신 행동에 미치는 차별화 효과: 안정 애착을 중심으로

        권상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4

        Most studies on attachment theory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factors. This study extends attachment theory to a task-related domain -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using an experimental study for a casual explanation primed attachment style (i.e., secure, anxious, avoidant attachment). After the prime process, participants rated to subsequent measure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participants primed with securely attached conditions perceived more psychological empowerment than those in the other (anxiously attached & avoidantly attached prime) condition. Also, participants in the attachment-security condition perceived more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an those in the other conditions. Thus, attachment security enhance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which booste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expands the prior research domains on attachment theory and psychological mechanism. In conclusions, the further theoretical contributions,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results are discussed. 기존 애착 이론 연구는 주로 개인 간의 친밀한 관계와 해당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요소 분석에 집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업과 관련된 창의적 프로세스 몰입과 혁신 행동에 애착 이론을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변수 간의 명확한 인과관계 도출을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위해 점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애착 유형을 실험 조건으로 조작한 후, 설문 응답자는 이어지는 문항에 답하게 하여 애착 유형이 미치는 효과를 정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정 애착 조건에 해당된 실험 참가자는 다른 유형의 애착 조건에 해당된 참가자보다 더 높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인지하였고 결과적으로 불안 애착, 회피 애착으로 점화된 참가자보다 창의적 프로세스 몰입과 혁신 행동에서 더 높은 반응 수준을 보여주었다. 즉, 안정 애착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창의적 프로세스 몰입과 혁신 행동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애착 이론 및 심리적 메커니즘과 관련된 기존 연구 영역을 확대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본 연구가 미친 학문적 기여도,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를 결론 부분에서 추가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