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페인 집시를 통해서 본 플라멩코 탄생에 관한 연구: 집시 정책과 법 규정을 중심으로

        권미란 ( Kwon Mi Ra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구 한국서어서문학회) 2019 스페인어문학 Vol.0 No.93

        Gypsies and Flamenco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the extent that many people think that the flamenco belongs to the gypsies. Without a doubt, the gypsy community is the one that has contributed the most to flamenco. Throughout the middle ages, the gypsies harmoniously mixed the Andalusian multicultural elements, leading to the birth of flamenco. The gypsies dedicated their time to spread it outside their community. In Spain,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different cultures that led to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specially in Andalusia, where it has received influence from the Phoenician, Greek, Roman, Goth, Arab, Jew, Gypsy and other communities. As the home to flamenco, it is here where the diverse cultural and musical traditions fused themselves to give birth to the flamenco. To sum this up, this is the synthesis of a very varied contribution, that includes many factors such as the oriental influence, Andalusican folklore, the contribution of gypsies, etc. From flamenco, the gypsy dedication has to be highlighted primarily, despite their suffering and persecutions. Gypsies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flamenco with their peculiar musical expressiveness. In this document, the origin of flamenco will be approac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eps taken by the gypsies after their arrival in Spain. Their persecution history will be reviewed briefly, as well as their treatment by politicians and other citizens. Specially we have focused on the ‘Great Gypsy Round-up(Spanish: Gran Redada de Gitanos) in the period of Ferdinand VI of Spain. From this, the reason why flamenco emerged in Andalusia, impulsed by a minority like the gypsy community will come to light.

      • KCI등재

        제 2차 쿠바 사태와 관련된 스페인의 대외 정치에 관한 연구

        권미란 ( Mi Ran Kwo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1 스페인어문학 Vol.0 No.58

        En 1895 la segunda rebelion cubana volvio a plantear la custion en los mismos terminos que en 1868. Cuba atravesaba las vicisitudes que desembocaron en una guerra contra Espana, formando una conciencia popular. Mientras tanto las directrices de la politica internacional de Espana daba una prioridad a la defensa de la Monarquia restaurada, el pais se mantenia en una situacion de aislamiento internacional. El gobierno espanol realizaba la politica de recogimiento, propugnada por Canovas del Castillo para evitar la posibilidad de que el pais se viera mezclado en contiendas internacionale, que era algo enteramente nuevo en la politica exterior de Espana. Con anterioridad, el gobierno norteamericano habia mostrado su interes en intervenir en el ambito del Caribe por motivos economicos e incluso habia realizado gestiones para comprar la isla de Cuba. Al estallar el conflicto cubano de nuevo, la intervencion de los EE.UU. sera impulsada por las obras de expansionistas como Mahan y Fiske, pero sobre todo por una apasionada campana de prensa y por los grandes intereses economicos que iban aumentando ano tras ano. Finalmente, el nuestro trabajo concluye que la politica de recogimiento auspiciada por Canovas es mas una necesidad impuesta ante la realidad espanola e internacional que un deseo expreso del hombre de Estado espanol, que actuara como condicionante de la politica inhibidora seguida por la mayoria de los Estados europeos. De este modo, Espana entra en un proceso de <reedistribucion colonial> a escala internacion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계적 자아의 실체, 이동하는 주체의 가능성 ― 「널 위한 날 위한 너(2017)」를 중심으로

        권미란 ( Kwon Mi-r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5

        이 논문은 한국 연극에서 탈북자를 다루는 방식과 그 의미적 표현 양상에서 드러난 개인의 정체성 문제를 다룬다. 탈북자는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논의케 하는 존재로, 국내외 연극의 주요 소재로 다뤄지고 있다. 연출가 박해성이 이민 3세대 작가 Mia Chung 미아 정의 작품 < you for me for you(2015) >을 번안해 공연한 <널 위한 날 위한 너(2017)>는 두 자매의 일상을 무너트린 국가 권력의 폭력성과 자본주의 논리를 탈북자가 겪은 고난과 시련으로 그려내며, 사회적 경계와 불평등 문제를 인류사적 차원에서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탈북은 고향상실이라는 심적 고통과 함께 육체의 침탈과 위협이라는 실증적 공포로 자연스레 ‘죽음’과 이어진다. 그래서 탈북자는 가치관의 변화와 정체성 혼란이란 이중의 고통을 또 다른 생존위기로 인식한다. 두 자매는 인간성 훼손과 함께 가족공동체마저 도구화하는 부정한 ‘국가 권력’의 만행에 시달리다 국경을 넘는다. 자매는 사회적 돌봄과 보호를 기대할 수 없는 국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사회 체제에 빠르게 순응하고 서로를 구원하기 위해 자기를 희생한다. 자매의 자기희생은 여성의 상호적 연대를 상징하며 그들을 가족 붕괴, 빈곤, 강제 이주라는 극한의 생존환경을 극복한 강인한 주체로 형상화한다. 그래서 국경은 주체의 의식변화를 보여주는 심리적 공간으로, 가족과 고향을 상실한 채 한국적 디아스포라로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을 구체화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f individual identity revealed in the way North Korean defectors are treated and their semantic expressions in South Korean plays. North Korean defectors are the main subjects of South Korean and South Korean dramas. Director Park Hae-sung's "For You (2017)" is a remake of Mia Chung's "You for Me for You (2015)". The work depicts the violence and capitalist logic of state power that broke down the lives of the two sisters as hardships and trial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als deeply with social boundaries and inequality at the human historical level. North Korean defectors naturally lead to "death" due to the mental pain of losing their hometown and the empirical fear of physical invasion and threat. Therefore, North Korean defectors perceive the double pain of changing values and identity confusion as another survival crisis. The two sisters cross the border after suffering from the atrocities of "state power" that undermine humanity and even instrumentalize the family community. The sisters sacrifice themselves to quickly adapt to the new social system and to save each other in order to escape the border where they cannot expect social care and protection. The sisters' self-sacrifice symbolizes the mutual solidarity of women and embodies them as strong subjects who overcome the extreme survival environment of family collapse, poverty and forced migration. Thus, the border is a psychological space that shows the chang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embodying their appearance as a Korean diaspora, losing their family and hometown.

      • KCI등재

        과학 에세이 쓰기의 과정과 피드백 효과 ― 글쓴이의 체험과 가치관 드러내기 ―

        권미란 ( Kwon Mi-r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이 논문의 목적은 과학 에세이 쓰기를 통해 이공계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고 그들의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글쓰기 과정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과학 에세이는 글쓴이의 자기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과학지식을 활용하게 한다. 이공계 학습자의 과학 에세이 쓰기가 갖는 교육적 성과와 효용성은 교수의 피드백을 토대로 글의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과 과학지식 정보의 가치와 필요성을 다각적으로 논하는 데서 구체화 된다. 즉, 학습자는 과학 에세이를 쓰면서 글쓴이로서 자기 주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학습 공동체 의식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주제를 찾는 팀 활동과 교수의 1:1 글쓰기 상담은 학습자가 자기 글의 형식과 내용을 구성하며 자기 글의 가치와 중요성을 확신하게 한다. 이로써 과학 에세이 쓰기는 학습자가 자기 경험과 생각의 가치를 논하게 하고 글쓴이로서의 개성이 담긴 글을 쓰는 생생한 체험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enhancing science and engineering learners’ writing skills and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identity through writing science essays. Science essays allow the author to use scientific knowledge on his own initiative based on his own experience and thoughts. In the process, the learner becomes subjective as a writer. In order to reveal the various utility and value of writing science essays, we would like to select the subject of the writing that proceeds with the feedback of professors at each writing stage and look at the process of mel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Based on a sense of learning community, learners organize the form and content of the text they want to write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individual counseling. Science essays ar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iscuss the value of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and essays treat scientific knowledge with interest and recognize the process of giving value and meaning to the writer’s personality.

      • KCI등재
      • 가족형태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권미란 ( Mi-ran Kwon ),류대현 ( Dae-hyun Ryu ),신승중 ( Seung-jung Sh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가정은 인간의 출생과 더불어 최초로 소속되어지는 공동체이며 최초의 교육의 장이다. 인간의 성장 발달에 있어서 초기 환경이 중요한데 여러 환경요인 중에서도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가정환경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족의 형태에 따른 인터넷 중독, 대인관계 그리고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가족의 형태와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부적응 행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하여도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가족의 형태에 따른 인터넷 중독은 부(-)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대인관계에서는 가족의 형태가 정(+)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적응 행동은 인터넷 중독과 같이 가족의 형태와 부(-)의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나 부적응행동을 통해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해서도 검증되었다. 그 결과 대인관계와 부적응 행동요인이 가족형태와 인터넷 중독 사이의 매개변수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카를리즘 출현에 관한 연구: 왕당파들을 중심으로

        권미란 ( Mi Ran Kwon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6 스페인어문학 Vol.0 No.78

        Carlism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olitical phenomenon in contemporary Spain. It is also known as one of the oldest ideologies in Spain. With more than 180 years of life, it appeared in history as a movement of peasants and small landlords with the support of the lower clergy, who fought for the defense of communal and charter rights under the flag of Carlos Maria Isidro, who was considered the successor of his brother Fernando VII. Despite its marginality, it still survives in our days and its long life shows that it has been consequent with its origins. Our work aims to find the origins of said movement in the period of crisis of the Old Regime, which removes the temptation of considering carlism as just a simple dynastic crisis. However, due to the multiple interests and aspirations that it came to agglutinate, due to the diverse social groups which it represented and due to its multifaceted nature, carlism is defined as a political phenomenon of great complexity. After the Throne and Altar of the royalist proclamations, thousands of hopes were projected, allowing the movilization of crowds and starting civil wars. This study allows us to observe that carlism was born as an offer from the Old Regime to modern society, as an extension against the liberal project of its elimination, as a rejection to a standardized constitutionalism, with a challenge difficult to fit among the precapitalist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