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상태와 암상태에서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나무의 줄기호흡 특성에 관한 연구

        권동주 ( Dong Ju Kwon ),정세훈,( Ju Yeoung Kim ),( Hyoung Chan Song ),김성덕 ( Seong Deok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2012년 6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충남대학교 교내에 있는 상수리나무(7주), 굴참나무(7주), 소나무(2주)에서 직접 제작한 줄기 챔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종에서 줄기호흡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함이다. 온도인자의 증감에 따라 호흡률 또한 증감이 반복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세 수종 모두 암상태에서의 호흡률이 광상태에서의 호흡률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각각의 상태에서 계절에 따라 지연현상은 1시간에서 4시간까지 나타났으며, 줄기온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나무에서 시간변화에 따른 줄기온도와의 상관성은 광상태에서 각각 84%, 82%, 52%, 암상태에서 각각 51%, 89%, 72%로 분석되었다. 일변화에 따른 줄기온도와의 상관성의 경우 광상태에서 각각 91%, 92%, 50%, 암상태에서 93%, 92%, 72%로 분석되었다. 세 수종 모두 여름철의 25℃ 이상에서 호흡률이 감소하고, 수분이 감소하는 부분에서 호흡률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나무의 줄기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각각 단위면적(m2) 당 광상태에서 연간 0.37kgCO2, 0.33kgCO2, 0.22kgCO2, 암상태에서 연간 0.44kgCO, 20.40kgCO2, 0.38kgCO2 로 측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hand made stem chamberr at Q. acutissima(7), Q. variabilis(7) and P. densiflora(2) in CNU site from June 2012 to December 2013. Respiration rates tends to be increased and decreased according to increment and decrement of temperature factors. All of three species were measured higher respiration rates in dark state than in light state. The lagged time in each state, depending on the season, was measured from 1 hours to 4 hours, and stem temperature was analyzed a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tem respi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ime chang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piration rate and stem temperature in Q. acutissim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as analyzed 84%, 82%, 52% in light state and 51%, 89%, 72% in dark state,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ay chang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piration rate and stem temperature in Q. acutissim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as analyzed 91%, 92%, 50% in light state and 93%, 92%, 72% in dark state, respectively. Respiration rate was decreased by temperature above 25℃ and water stress in summer. In accordance with the stem respiration, CO2 emissions of Q. acutissim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was measured as each 0.37, 0.33, 0.22 kgCO2/m2/year in light state and 0.44, 0.40, 0.38 kgCO2/m2/year in dark state.

      • 알래스카 Black spruce (Picea mariana L.)의 줄기호흡특성

        권동주 ( Dong Ju Kwon ),정세훈 ( Se Hoon Jung ),김성덕 ( Seong Deok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알래스카 지역의 극상림인 Black spruce (Picea mariana L.)림에서 2012년 7월 20일부터 2012년 10월 21일까지 줄기호흡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줄기호흡의 CO2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한 챔버를 설치하고 CO2 발생량과 환경인자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른 CO2 발생량과 환경인자들의 상관성을 보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CO2 발생량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대기온도, 토양 지표온도, 지표.5cm온도, 지표.10cm온도와의 상관성은 각각 61%, 52%, 73%, 85%로 지표.10cm온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대기온도, 토양 지표온도, 지표.5cm온도, 지표.10cm온도와의 상관성은 각각 94%, 93%, 91%, 90%로 대기온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Q10값은 각각 3.06, 3.25, 3.88, 4.87로 지표.10cm온도에서 Q10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각각의 온도인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CO2 발생량이 뒤늦게 증가하는 지연시간(time lag)이 나타나고 있다. 대기온도 및 토양 지표온도는 4시간, 지표.5cm온도와는 3시간, 지표.10cm온도와는 2시간의 지연시간이 나타났다. 측정된 발생량을 Q10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2012년 1년간의 월별 발생량에서는 7월에 1.902 tC/ha/month 로 가장 높은 발생량을 나타내었고 1월에 0.021 tC/ha/month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Black sprue (Picea mariana L.) forest in Alaska, during (2012/Jul/20- 2012/Oct/21). The chamber for measuring CO2 efflux rate of stem respiration was installed, and the correlation of CO2 efflux rate with environmental factors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with air temperature, soil surface temperature, soil surface-5cm temperature, soil surface-10cm temperature is respectively 61%, 52%, 73%, 85%. The correlation with surface-10cm is highest. The correlation with air temperature, soil surface temperature, soil surface-5cm temperature, soil surface-10cm temperature is respectively 94%, 93%, 91%, 90%. The correlation with atmosphere temperature is highest. And Q10 value is respectively 3.06, 3.25, 3.88, 4.87. It is highest in soil surface-10cm temperature. Meanwhile, Time lag, lately increase of CO2 efflux rate despite increase of respectively temperature factors, is measured. 4 hours` time lag was measured in air temperature and soil surface temperature. and 3 hours in soil surface-5cm temperature, 2 hours in soil surface-10cm temperature. In monthly CO2 efflux rate in 2012, calculated missing CO2 efflux rate by Q10 value, July is the highest as 1.902 tC/ha/month and January is the lowest as 0.021 tC/ha/month.

      • 상수도공급시스템 치과 유니트 체어의 수관소독 방법에 따른 미생물 비교분석

        임나희 ( Na-hee Lim ),노경호 ( Kyung-ho Nho ),권동주 ( Dong-ju Kwon ) 국군의무사령부 2017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8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icrobiologycal analysis of Dental Unit waterline from public water system with comparisons different waterline disinfection metho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by analysis of microbial counts for 2 dental unit chairs that have auto waterline cleaning system and 10 dental unit chairs that don't have auto waterline cleaning system and 7 wash base near 12 unit chairs. Samples of Ten unit chairs were collected before using devices and after 2minutes flushing. Samples of two unit chairs were devided into pre-waterline cleaning and post waterline cleaning. Results: From ten dental unit chairs, The number of bacteria reduced by 89.9 % at highspeed handpieces, reduced by 79.2% at 3-way syringes, reduced by 7).7%at cuspidors. However, even after the water was flushed for 2minutes,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 was not reduced below 100CFU/ml. From two dental unit chairs, After waterline cleaning, the number of bacteria reduced up to 100%. Conclusions: Before using devices, Flushing and cleaning of dental unit waterline reduced bacterial counts. Unit waterline cleanning is bigger effects than flushing.

      • KCI등재

        옥수수 유래 아라비노자일란 함유 다당체가 자연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신수용(Sooyong Shin),김서현(Seo Hyun Kim),이호성(Ho Sung Lee),권동주(Dong Ju Kwon),전성호(Sung Ho Je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찰옥수수 가공 부산물인 옥수수침지액(CSL)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체(CBP-1S)가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서 면역 활성을 유도함을 밝혔다. CBP-1S를 처리한 대식세포에서는 NO 생성이 유도되었으며, NO 합성효소인 iNOS와 자연면역 활성에 중요한 COX-2와 다양한 면역활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또한 CBP-1S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에서는 IL-12를 발현하는 수지상세포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종양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는 NK 및 T 세포 활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기대된다. CBP-1S의 주성분인 아라비노자일란은 TLR4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물질이 MAPK의 인산화를 유도하고 NF-κB를 통한 전사활성에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라비노자일란을 포함하는 옥수수유래 다당체를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기능성 식품 원료 등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fraction derived from corn steep liquor, called corn byproduct polysaccharide-1-supernatant (CBP-1S), was analyzed for its immune activity in innate immune cells.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Raw264.7 cells, were treated with CBP-1S, which 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CBP-1S treatment also increased the inducible isoform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s well as cytokine gene expression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endritic cells expressing interleukin-12 was higher in the splenocytes of mice administered CBP-1S orally, whi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atural killer and T cell activity that inhibits tumor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Arabinoxylan, a major component of CBP-1S,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promoted transcriptional activity through nuclear factor-kB. Therefore, this compound is believed to mediate signal transduction through the toll-like receptor 4 receptor.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corn-derived polysaccharides containing arabinoxylan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for improving the immun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