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

        구상미,장우심,김래은,Koo, Sang-Mee,Chang, Woo-Shim,Kim, Rae-Eu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두뇌 우성 사고 유형과 공감 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90명으로 이들에게 두뇌 우성 사고 유형 검사로 Herrmann의 BDI를 실시하였고, 공감 능력 검사는 박성희(2004)가 번안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earson 상관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두뇌우성사고 유형은 C사분면이 가장 많았으며. 두뇌우성유형과 공감 능력간의 관계는 C사분면(r=.38)과 D사분면(r=.5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었다. 전체 공감 능력은 D사분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뇌 우성 사고 유형에 따라 전체 공감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95, p<.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해 간호사 양성을 위한 이론 및 실습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t thinking type and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90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year of the nursing department, who were subjected to Herrmann's BDI as a brain dominant thinking type test. The empathy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personal Response Index(IRI) adapted by Park(2004). For dat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ominant brain thinking type of nursing students was in quadrant C the mos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ype and empathy in the C quadrant(r=.38) and D quadrant(r=.54). The overall empathy ability was highest in the D quadrant,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the brain dominant thinking type(F=4.95, p<.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for nurse nurturing to improve empathy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구상미(Koo, Sang-Mee),김현지(Kim, Hyun-Ji),기은정(Ki,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on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0 nursing students and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 2017 to October 30, 2017. As a result,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3.1 out of 5 points. The efficiency of teaching was 3.5 out of 5 points and clinical performance was 3.48 poi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ractice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clinical performance were collegial relationship and majo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clinical performance, two variables showed 13% explanatory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hat lowers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strengthens clinical performanc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90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이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1점이었으며, 교수효율성은 5점 만점에 3.5점, 임상수행능력은 3.48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동료관계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두 변수가 임상수행능력을 13% 예측,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낮추고, 임상수행능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및 관련요인

        구상미(Koo, Sang-Mee),김태임(Kim, Tae-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들의 완전모유수유 실천 기간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이들의 모유수 유실천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전, 충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 중 생후 6개월 이상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 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면접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t-검정, ANOVA 및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 베트남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은 평 균 15.9주 이었다. 둘째, 생후 6개월간 아기의 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완전모유수유 실천율은 감소하고, 분유수유와 혼 합수유가 증가하였다. 셋째, 완전모유수유실천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형태, 모유수유 교육유무였으며, 이 들 변인의 설명력은 30.8% 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모유수유 교육유무가 완전모유수유 실천에 중요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의 완전모유수유 실천기간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 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urvey was to investigate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of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And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mong them. 125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with a child between 6 months and 60 months old were conveniently recruited in tw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Chungcheong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Korean and Vietnamese vers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of the subjects was 15.9 weeks. 2) As the infants grows older, the rate of formula feeding and mixed feeding were markedly increased.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breastfeeding education and family typ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This model accounted for 30.8% of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to develop systematic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promote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among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 지식, 위험태도, 건강관리행위 간의 관계

        구상미(Sang-Mee Koo),김현지(Hyun-Ji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 지식, 위험태도, 건강관리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D광역시, C도 소재 4년제 간호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은 호흡기질환 유무(t=1.9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태도는 호흡기질환 유무(t=2.05, p =.042), 주관적 건강상태(F=3.79, p =.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식(r=.340, p <.001), 위험태도(r=.492, p <.001), 건강관리행위(r=.354, p <.001)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과 위험태도(r=.401, p <.001), 건강관리행위(r=.296, p <.001),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태도와 건강관리행위(r=.550, p <.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식을 높이고, 건강관리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knowledge, risk attitud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8 university students of four-year nursing college in the city of D, 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this study knowledge of fine d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spiratory disease(t=1.92, p <.001). The risk attitude toward fine du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spiratory diseases(t=2.05 p =.042), subjective health status(F=3.79, p = .012).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isk perception of fine dust and knowledge(r=.340, p <.001), risk attitude(r=.492, p <.001),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r=.354, p <.001). Knowledge of fine dust and risk attitude(r=.401, p <.001), health promoting behavior(r=.296, p <.001), risk attitude toward fine dust and health care behaviors(r=.550, p <.001)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awareness and knowledge of fine dust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 KCI등재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염건웅,구상미,김래은,Yeom, Gun-Woong,Koo, Sang-Mee,Kim, Rae-Eu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위치한 U대학의 6개 학과의 재학생은 총 233명이었다. 연구도구로 데이트폭력 인식은 정하윤(2013)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은 CTS2를 김정란(1999)이 번안한 도구를 적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남자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및 피해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을 위한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ale university student perceptions of dating violence on dating violence abuse behavior and damage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3 students from six departments at U University located in Chungbuk. As a research instrument, Haeun Yoon's(2013) instrument was used to recognize dating violence, and CTS2 was used as a instrument for harassment and damaging behavior of dating violence.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ating violence perception and damage behavior was perform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harassment and damage behavior.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rassment behavior or damage behavior an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in 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harassment behavior and damage behavior of dating viol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및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

        김현지,구상미,김연수,Kim, Hyun-Ji,Koo, Sang-Mee,Kim, Yeon-Soo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8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낙관성,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은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D광역시에서 일하고 있는 보육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자아탄련성, 낙관성 및 직무스트레스를 검사도구를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분석,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쨰, 자아탄력성과 낙관성은 정적 상관관계,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 낙관성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optimism, and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The study method was targeted to 191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April 2021. The self-reliance, optimism,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a survey instrument.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ego resilience and optim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go resilience and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optimism and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ego resilience had an effect.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order to lower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a program that can improve self-resilience and lower job stres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실태와 관련요인

        김현지(Hyun-Ji Kim),구상미(Sang-Mee K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실태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대전 및 충청지역 소재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편의 표출하여, 연구자가 직접설문의 방법으로 155명의 여성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적절한 응답을 한 설문을 제외하고 146부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평균 점수는 66점 중 28.87점이었고, 건강정보이해능력 관련요인으로는 국내거주기간(β=0.226, p=.008), 국적취득유무(β=0.195, p=.020), 주관적 한국어수준(β=0.268,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0.159, p=.028)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30.1%이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어 교육과 함께 의료용어에 대한 보건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향상시키고 보건의료서비스이용 시 의학적 지시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ealth literacy in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nd factors associated therewith. From May through October 2015, were immigrant women registered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cheong area were subjected to convenience-sampling. Using a direct-survey method, the present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155 such women. Of the questionnaires gathered, 146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maining nine discarded for inappropriate answer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migrant women had a mean health-literacy score of 28.87 against 66.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health literacy were: length of stay in Korea(β=0.226, p=.008), Korean citizenship(β=0.195, p=.020), Subjective Korean ability(β=0.268,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β=0.159, p=.028), whic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variables exhibited a 30.1% explanatory power for health literacy. Th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 program in Korean as well as in medical terminology would be necessary for immigrant women in Korea who seek health and medical services so that their compliance with instructions given by the medical staff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