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불평등 사회 속 공정 담론의 다차원성 : 청년 공정 관련 신문사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곽영신(Kwak, Youngshin),류웅재(Ryoo, Woongjae) 한국언론학회 2021 한국언론학보 Vol.65 No.5

        This study utilize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youth-related fairness discourse appearing in a series of newspaper editorials during the Moon Jae-in regime, from the beginning of his presidenc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how fairness dis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abor, as a representative social resource distribution channel, is articulated in the public forum of the media. In particular, based on the diagnosis that the meaning of fairness discourse in Korean society is distorted upon the interests and goals of each class and groups, we tried to examine the complex and plural nature of the concept of fairness in a context-specific way. First, fairness discourse is embraced by the ideology of meritocracy that emphasizes the principle of equity and procedural fairness. However, this view can conceal injustice, resulting from structur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Second, the media has expanded and reproduced the discourse of fairnes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pper class and the powerful. As a result, it justifies a ‘winner takes all’ logic and system of domination through existing competition rather than resolving structural injustice. Third, rather than presenting in-depth coverage of fairness discourse to the public, the media tends to serve and immerse itself in the interests of each political camp and use them as a political tool to amplify conflicts. Furthermore, since corruption and foul play are still prevalent in Korean society, the desire for meritocracy and fairness discourse is grow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henomenon of neo-nepotism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e meritocracy system is emerging in Korean society, there is still a social imagination and hope for the ideal meritocracy.

      • RGB LED 조명 스펙트럼에 따른 CIECAM02 색공간에서의 NCS 칼라 차트 색변화 분석

        곽영신(Youngshin Kwak),유찬양(Chanyang You)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5

        RGB LED 조명의 스펙트럼 분포에 따라 실내의 색감이 얼마나 영향을 받는 가를 NCS 앨범에서 R, Y, G, B 색상 페이지의 189개 샘플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RGB 별 10m 내외로 서로 다른 파장 스펙트럼을 갖는 두 종류의 RGB LED 조명에서 테스트 샘플들의 색상을 CIECAM02 명도, 채도, 색각으로 계산하여 D65 광원에서의 색과 비교해본 결과 LED2 조명 하에서 다른 조명들보다 R 및 G 색상 영역의 샘플들은 약 20% 정도 높은 채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 변화는 두 LED 조명 모두 고명도 저채도 샘플들에서 더 크게 나타난 반면 명도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는 조명에 스펙트럼 변화에 따른 색변화 크기가 샘플의 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작은 조명 스펙트럼 변화에도 공간의 색감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Quantifying Visual Specular Gloss Scale

        Youngshin Kwak(곽영신),Hyun Jin Park(박현진),Ki-Hyeong Im(임기형)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 전자 제품의 표면은 광택이 높은 편이나, 색 품질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색차식들은 대부분 광택이나 테스쳐가 없는 평면에 표현된 색을 이용하여 개발된 것들로 기존의 색차식을 이용하여 광택이 있는 제품의 색관리를 하는 데 한계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색채과학 분야에서는 색 뿐 아니라 광택이나 텍스쳐까지 정량화가 가능한 시감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감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우선적으로 측정된 광택과 인지된 시감 광택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수준으로 UV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샘플들을 이용하여 두 세트의 광택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첫 번째 세트는 11 단계의 서로 다른 광택을 갖는 흰색 및 검정색 샘플들로, 두 번째 세트는 21 단계의 흰색 및 검정색 샘플들로 구성되었다. 샘플들을 D65 광원이 켜진 관측 상자 안에 제시한 후 관찰자들에게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인지된 광택 정도를 대답하게 하였다. 각 실험에는 10명 내외의 관찰자들이 참여하였다. 실험 데이터 분석 결과 인지된 광택 정도는 실험 시 함께 제시된 주변 샘플들의 광택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는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광택은 물리적으로 정의되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반사 정도가 아니라 사람들이 표면 특성을 인지하는데 이용하는 시각 정보로 표면 고유의 절대적인 특성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물리적으로 동일한 광택값을 갖는 샘플이다 하더라도 검정색 샘플이 흰색 샘플보다 더 광택이 높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시감 광택 데이터는 향후 광택 예측 모델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 state-of-art color-difference equations for color quality control are developed mainly for matte surfaces without any gloss or textures. However, most of the home appliances or electrical devices available today have glossy appearance limiting the accuracy of surface color difference prediction. Therefore new visual appearance model development will be the next goal for the color scientists including not only the color but also other surface appearances such as gloss or texture. In this study, as a first step of surface appearance model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gloss and the measured gloss were investigated. Two sets glossiness data were obtained for the polycarbonate (PC) surface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UV clear coating. The frist set came from the eleven black and white samples with different gloss levels and the second data set was collected using twenty one black and white samples. The samples were shown in the viewing booth illuminated with D65 simulator and the observers were asked to scale the perceived glossiness between 0 and 100 for black and white samples. Around ten observers participated each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bservers can judge a glossiness of a sample consistently regardless the gloss level of the neighboring samples displayed together. It suggests that glossiness is an intrinsic and absolute visual attribute people use to judge the surface appearance. Also it is confirmed that black samples look glossier than white samples having the same physical gloss value. The experimental data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mathematical glossiness prediction model.

      • KCI등재

        이웃 컬러들이 컬러 어피어런스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

        오세민(SeMin Oh),곽영신(YoungShin Kwa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일상생활 속에서 사람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컬러를 보게 된다. 사람들이 컬러를 볼 때는 한 가지 컬러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이웃한 여러 가지 컬러를 동시에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함께 인지되는 이웃 컬러들이 컬러 어피어런스와 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컬러를 볼 때 함께 인지하는 이웃 컬러들이 컬러 어피어런스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서 조사해 보았다. 실험은 이웃 컬러의 구성이 다른 3가지 배경에서 10가지 평가 컬러 패치에 대해 컬러 어피어런스와 감성을 평가하였다. 컬러 어피어런스의 평가를 위해서는 색상(Hue), 채도(Colorfulness), 명도(Lightness)가 각각 평가되었고, 감성은 10가지 감성 형용사 쌍을 이용해 10명의 피험자가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컬러 어피어런스의 경우, ‘색상(Hue)’과 ‘명도(Lightness)’는 이웃 컬러의 변화에 의한 의미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채도(Colorfulness)’는 이웃 컬러가 존재할 때, 채도가 더 낮아 보인다고 평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성의 경우, 이웃 컬러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그러나 채도가 높은(Saturated) 이웃 컬러가 있는 경우, 감성 형용사 ‘Heavy-Light’, ‘Active-Passive’, ‘Masculine-Feminine’의 평가에서 영향을 받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a daily life, people see various colors. When people see a color, people recognize the color with various neighboring colors behind, not just one color independently. So these neighboring colors can affect color appearance and affectivit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eighboring colors on color appearance and affectivity when seeing a color. The experiment was done under 3 different neighboring color conditions. Ten participants evaluated color appearance and affectivity of 10 test colors. For evaluating color appearance, Hue, Colorfulness and Lightness were evaluated. For affectivity evaluation, 10 adjective sets were used.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Color appearance was changed by the effect of neighboring colors. Firstly, ‘Hue’ and ‘Lightness’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neighboring colors. In case of ‘Colorfulness’, participants tended to evaluate it less colorful when seeing a color with saturated neighboring colors. In case of affectivity, ‘Active-Passive’, ‘Heavy-Light" and ’Masculine-Feminine" showed affectivity changed by neighboring color changes.

      • 디지털 영상의 색차 측정을 위한 CIEDE2000 최적화

        이수연(Sooyeon Lee),곽영신(Youngshin Kwa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의 색차를 계산하기 위해 기존의 컬러 패치 기반으로 개발된 색차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를 실험하였다. 색차식의 성능을 보기 위해 4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60장의 색 변환 영상을 준비하였고, 영상은 CIECAM02 JCh를 이용하여 변환하였고, 영상 선정은 기억색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해 기억색이 포함된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 각각 2장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암실에서 진행되었으며, 18명의 20-30대 남녀가 60장의 영상에 대해 강도 추정(magnitude estimation) 방법으로 원본 영상과의 색차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쓴 색차식은 가장 최근에 CIE에서 표준으로 제안된 CIEDE2000이며, 색차를 계산하기 위해 조정이 가능한 세 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파라미터 세팅에서 CIEDE2000의 성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았다. 성능 평가를 위해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모델 중 하나인 STRESS를 계산하였으며, STRESS가 가장 낮은 파라미터 세팅에서 계산된 CIEDE2000와 정신 물리학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색상 변환 종류에는 크게 상관없으나 피부색이 영상에 포함된 경우 다른 영상의 색차를 인지하는 것에 비해 조금 더 민감하게 색차를 인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서로 다른 두 개의 LCD에서의 CIE 색도 불일치 - 메타메리즘 현상을 중심으로

        고민정(Ko, Minjeong),곽영신(Kwak, Youngshin)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1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observed the phenomenon that the two colors having the same CIE 1931 XYZ tristimulus values on two different displays are perceived as different colors. This study conducted a color matching experiment at a 4° viewing angle using two LCD displays with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followed.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color matching experiments: two adjustment methods and one color sele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as an observer variability of 2.78±1.96 △E<SUB>00</SUB>, it was confirmed that the CIE colorimetric mismatch magnitude was approximately twice as large as the observer variability magnitude; 5.49±2.27 △E<SUB>00</SUB>. Based on the color matching experiment results, the color appearance experiment which evaluates hue and color differ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color matching experiment and the color appearance experiment were consistent. For the colors matched by each individual,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colors were neutral colors which felt a little or no hue, and the color difference with the reference stimulus was low. This study confirmed that CIE 1931 color matching function failed to explain the color matching results, and research on new color matching functions considering huma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