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리스틱 관점에서 본 발도르프유아교육의 실제

        곽노의(Kwak No-Ui)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9 No.1

          홀리스틱 교육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또한 전체는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부분의 합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는 세계관을 기초로, 학생의 지적 측면만이 아니라 신체적인 측면이나 감정적 논리적 정신적 측면 등 전인적 성정과 발달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이는 본질적으로 유아교육이 추구하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BR>  따라서 홀리스틱교육관점에서 유아교육실제와 가장 대표적인 홀리스틱교육의 실천으로 보는 발도르프유아교육과의 맥락을 고찰하였다. 즉 발도르프교육이 직관적 연관, 심신의 연관, 교과 영역간의 연관, 공동체와의 연관, 지구와의 연관, 자기와의 연관을 통한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것들이 유아교육의 무엇과 맥을 같이 하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n waldorfkindergarten"s education in views of the holistic education.<BR>  Holistic educationcan be conceived using different frameworks and metaphors. Three aspects of holistic education are balance, inclusion, and connection.<BR>  The focus of holistic education is on connections- intuitive connections, body-mind connections, subject connections, community connections, earth connections(original relation to the universe), self connections. In the holistic education the children examines these connections so that they gains both an awareness of them and the skills necessary to transform the connections where it is appropriate.<BR>  In this study I have explored on Waldorfkindergarten"s education in views of this connections.

      • KCI등재

        핀란드의 유아 교육과 보육 통합과정에 관한 연구

        곽노의 ( Kwak No U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유아 교육과 보육을 위한 정책은 저출산 대책뿐 아니라 경제 선순환으로 이어지는 정책이다. 대부분의 영유아가 공·사립 교육·보육기관에 다니고 있지만 교육비 부담과 수용 기관 부족, 교육·보육 행정시스템의 난맥 등으로 학부모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영유아 교육·보육은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영유아 교육·보육 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여 마음 놓고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우선 소관부서 통합을 실행한 후 재정, 교육과정, 교사교육, 현직교육 및 연수, 기관평가 등을 핀란드의 경우처럼 순차적으로 통합해 가면서 영유아교육의 현안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 핀란드의 교육은 2003년 OECD회원국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능력 평가(PISA)에서 최상위를 기록하여 그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을 시작으로 모든 교육과정을 정부가 전액 지원하는 공교육으로 이뤄낸 결과이다. 여기서 필자는 핀란드의 유아교육서비스가 통합되어 교육문화부로 이관되었다는 점에 관심을 갖고 그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핀란드에서도 유보 통합되기 이전에는 초등 준비단계인 6세를 위한 유아학교(pre-school)은 교육문화부(The ministry for Education and Culture)에서 관장하고 유아교육과 보육 단계인 0~5세 서비스는 최근까지 사회보건사업부(The ministry for social and Health Affairs)에서 관장하였다(의무교육은 초등교육단계인 7세부터 시작됨). 핀란드에서는 일련의 정책의 변화를 통하여 2013년 유보통합을 실현하였다. 우리나라는 현재 교육과정은 통합되어 만 3-5세 유아들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시행하고 있지만 그 밖에 것은 앞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다. 북유럽의 아이들의 교육은 행복한 어린시절을 보호해주고 지켜주는 기능을 하는 곳이 유아교육기관이라고 한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우리도 유아교육과 보육의 방향을 잡아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gr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Finland. Polic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s a policy that leads to economic virtuous cycle as well as low fertility measures. Mos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tend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centers, but parent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the lack of acceptance institutions, and the stagnation of education and child care administration syste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hould be fully responsible for the entire nation`s responsibility and nur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systems to provide a nurturing environment. First of all, we need to solve problems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union into the budget, education, curriculum, and in-service education. In 2003, Finnish education authorities ranked the highest in the world by recording their excellence in the ranking of their academic abilities (PISA) in the OECD Student Middle School. The result is a result of the education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has resulted in the government`s full support of all education programs. I am concerned about the progress of the integr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Finland which was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improvement to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candinavian countries are trying to establish a preschool(kindergarten) that protects young children`s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곽노의(Kwak, No-Ui),박원순(Park, Won-Soon),이상원(Lee, Sang-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연구자들은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네 가지 영역, 즉 환경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지속가능성에 따라 “당신은 소중한 사람(인권)”, “위험을 피해요(재해예방)”, “다르다고 틀린건 아니에요(다문화)”, “건강한 우리(건강과 에이즈)”, “우리가 주인이에요(시민운동)”, “더불어 사는 우리나라(빈부격차, 갈등)”, “전쟁이 싫어요(평화와 통일)”, “지속가능한 우리 국토(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지구가 아파요(자연자원)”, “반달가슴곰을 지켜주세요(생물 다양성)”와 같이 열 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열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의 관련요소를 고르게 포함하여 각 주제별로 3개씩, 총 30개의 활동이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은 초등부문 연구자들과의 정기적인 회의를 통하여 유?초등 간에 연계성을 갖추도록 하였고, 프로그램의 개발을 의뢰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교육과학부의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is paper develops a program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for young children. Based on UNESCO’s (2012) four dimensions of ESD, this paper develops 10 themes. Three themes are included in the “natural dimension”?“cope with disaster,” “the earth is sick (natural resources),” and “protect Atlantic black bear (biological diversity).” Three are included in the “social dimension” ?“you are the most valuable person (human right),” “different is not wrong (multiculture),” and “our health (health and AIDS).” Two make up the “economic dimension,”?“living together (wealth and poverty)” and “our sustainable homel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sumption).” Two make up the “political dimension”?“we are the owners (civil rights movement)” and “against war (peace and Korean reunion).” For each theme, this paper develops three activities. The activities are designed so as to be usable within the general Nuri curriculum, recently developed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Our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reques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자연주의교육사상에 기초한 유아교육

        곽노의 ( No Ui Kwa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한국초등교육 Vol.17 No.1

        자연주의교육사상에 기초한 유아교육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upon Naturalistic Education Theory

      • KCI등재

        움직임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리더십 생활기술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곽노의(Kwak No Ui),홍봉권(Hong Bong Kw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움직임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리더십 생활기술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움직임활동과 리더십 생활기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움직임활동, 리더십 생활기술,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운동기술 지도보다는 움직임에 관련된 개념(concepts)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체운동 경험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적 능력을 인지하고 놀이나 작업 또는 창조적인 표현을 하는 움직임활동속에서는 다양한 상호관계 속에서 리더십 생활기술과 친사회적 행동이 발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움직임 활동 간에 발생하는 또래 관계 속에서 리더십 생활기술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기술, 의사결정 기술, 자기이해 기술, 집단관리 기술, 집단 활동 기술도 증진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친구들과의 협동적 관계, 선의의 경쟁관계를 맺기도 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양보?협동? 정직?규칙?약속 준수 등의 사회적 태도를 배우고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타인을 돕거나 이롭게 하는 친사회성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at movement activity increases elementary students leadership life skill and prosocial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effect does movement activity experience through movement activity cause in elementary school lower class young children’s leadership life skill awareness? What effect does movement activity experience through movement activity cause in elementary school lower class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s Leadership life skill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this agree that awareness of leadership life skill can be increased in the peer relations through movement activities.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s prosocial behavior of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profitable was increased means that children learning prosocial activity that help another person because it forms relation, well-meaning competitorship cooperation enemy with friends and escape social attitude of various kinds concession through various activity, cooperation, honesty, promise observance etc. in egoism while they experiences movement activity.

      • KCI등재후보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척도 개발 및 분석

        곽노의 ( No Ui Kwak ),임은정 ( Eun Jeong L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는 유아가 스마트기기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지, 부모의 인식은 올바른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부모용 척도를 개발하여 유아를 둔 부모들이 자녀에게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 문항은 문항의 양호도, 척도의 타당도, 신뢰도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결과를 통하여 척도를 완성하였다. 첫째, 문항의 양호도를 살펴본 결과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 문항 반응분포도는 평균이 4.42에서 2.77사이로 나타났으며, 표준편차는 1.01에서 .69까지 분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부모용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 척도문항 상.하위 집단 간 점수 차이도 모든 문항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따라서 본 척도를 통해 부모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 점검을 할 때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의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평가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내용 타당도를 위하여 전문가에게 도구의 하위영역, 내용, 적합성 등을 검토 받았다. 또한 평가 문항별 구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문항별로 총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43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항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의 Cronbach α 계수는 α=.92로 분석되었다. 각 영역별 신뢰도는 사용동기의 적절성이 α=.83, 사용방법의 적절성이 α=.76 사회관계가 α=.69, 스마트폰이 가지는 가치에 대해 느끼는 정도가 α=.76, 사용시간의 적절성이 α=. 88, 의사소통이 α=.72 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s the parents to verify the extent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and determine whether the parents has right awareness,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parents who have Early Childhood when the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mart devices. The questions, which were related to the ``scale for parents``- developed in this study - enabling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were verified from the three standpoints, i.e., the soundness of questions, validity of scale, and reliability thereof, and based o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the scale was brought to comple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oundness of questions showed that the mean value ranged between 4.42 and 2.77 regarding the question response distribution of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s use of smart devices, and furthermore, the standard deviation ranged from 1.01 to .69.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was observed for all questions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scores between the upper-ranking group and lower-ranking group with respect to the ``scale for parents``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Early Childhood `s use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is is the evaluation tool all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ranking group and lower-ranking group to be distinguished when the parents look into the extent to which their Early Childhood use the smart devices through this scale. Second, the sub-area, contents, suitability, etc., of the tool were reviewed by the experts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of the total scores was analyzed based on each question in order to look into the validity of recrui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43 questions. Third, the Cronbach α coefficient for the results in whole was found to be α=.92 when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was examined. The validity of scale was established, considering that the reliability for each area was found to be stable with the suitability of motivation of use standing at α=.83, the suitability of usage standing at α=.76, the suitability of social relationship standing at α=.69, the extent of value perception towards the smartphone standing at α=.76, the suitability of time spent on using the smart devices standing at α=. 88, and the suitability of communication standing at α=.72.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관점에서 본 유아숲교육의 전망

        곽노의 ( Kwak No Ui ),이봉자 ( Lee Bong Ja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3

        현재 우리는 자연환경과 인성의 파괴가 전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매 순간 접하고 있 다. 이미 20세기 과학과 기술의 급속하고 한계를 모르는 발전이 인류의 미래를 위기로 몰아넣 을 수 있다는 불안에 젖어 있다. 문명의 눈부신 발전은 인간성의 파괴와 고갈로 이어지고 있 다. 플라스틱 놀이터의 증가와 뒤뜰의 감소로 자연에서 멀어지면서 문명에 중독된 아이들이 보내는 위급 신호에 대한 어른들의 숙고(熟考)는 유아교육이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과 왜 연 동되어야 하는지를 말해 준다.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자연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게 하는 숲교육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대안적 교육 패러다임으로 지속가능성을 위 한 교육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관점도 제공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간이며, 인간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행동을 촉구하는 것이 교육의 힘이다. 특히 가치와 신념의 기초를 형성하는 유아기는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출발점으로 숲은 지속가능한 미래 를 위한‘인식의 전환’과‘행동의 촉구’를 추구하는 교육의 장(場)으로 매우 적합하다. 누리과정에 서도 시대적·국가적 요구에 따라 녹색성장교육의 가치를 교육 목표와 내용에 반영하였으며, 환 경교육을 중심으로 한 녹색생활의 체화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숲교육은 자연 안에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본성을 깨어나게 하고 ‘나’에 대한 자아의식을 일깨워주며 자연과 인간 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한 인식과 함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태도를 길러 줄 수 있다. Across nations, we are currently facing the destruction of our environment and one’s character. As a result, we worry that the rapid and limitless development of twenty-first century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jeopardize the future of mankind. This impressiv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could lead to the depletion and destruction of human nature. Grown-ups’ careful deliberations on children’s urgent needs proceeding from their distance to nature and addition to civilization have gathered children to the forest. Education in the forest that enables children to live with and form a positive connection to nature is an alternative education paradigm preparing for a sustainable future. People make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while education makes people change awareness and prompt action. In particular, the early childhood stage when children tighten their own values and beliefs is a perfect starting point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Education in the forest would be a suitable place of learning and training pursuing ‘change of awareness’ and ‘urging for action’ for a sustainable future.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lso includ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with regard to green growth education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country, while establishing the embodiment of green lifestyle centered around green growth education as a basic direction.

      • KCI등재후보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곽노의(Kwak No Ui)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1

        유아교육은 이미 자연에 근거하여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유아교육 분야의 다양하고 새로운 유아교육 동향과 방향이 자연주의 유아교육 철학과 무관하지 많다는데서 이 연구는 현장 적용점을 찾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옥적이 있다 연구의 옥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이전 연구에서 문헌고잘 및 선행연구를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프로그램의 하위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자연주의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및 교육평가를 구성하였다 나아가 이 자연주의 유아교육프로그램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운영의 툴로 자연주의적 교육관점을 현대 교육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매우 가치 있는 연구라 하겠다. It is well-known that early childhood has started based on nature. Recently it is sai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s trend has related with naturalism. This is why this research has airmed on developing the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To achieve this research's purpose, I examined former documents and research analytically which led to abstraction of lower elements. Thus this research composed goal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s curriculum. Furthermore this research would be a very useful results for applicating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education environments nowadays with frame of admitting divers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