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점박이응애의 주요 살비제에 대한 약효 평가 및 저항성 관련 유전자 형질빈도 분석

        곽가연,원설묵,최효준,김미현,권덕호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점박이응애 7개(딸기, 6개; 파프리카, 1개)계통을 채집 및 증식 후,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추천농도에서 암컷 성충을 대상으로 96시간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사충율을 관찰하며 약효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상 약제는 생장 및 발육계 작용 2개 약제, 신경 및 근육계 작용 4개 약제, 호흡계 작용 4개 약제, 그리고 미분류 1개 약제등 모두 11개이다. 대조구의 시간별 평균사충율은 4.0%, 12.2%, 18.4%, 28.4%이였다. 생장 및 발육계 작용 약제의 경우, 11.1%, 15.5%, 22.7%, 31.5%이였으며, 근육 및 신경계 작용 약제는 30.2%, 36.1%, 43.2%, 53.6%이고, 호흡계 작용 약제의 평균보정사충율은 25.7%, 35.5%, 43.4%, 53.6%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미분류 신규 약제인 Acynonapyr은 47.4%, 63.6%, 75.3%, 81.2%로서 점박이응애에 대해서 평균 사충율이 가장 높았다. 약효 검정과 더불어 합성피레스로이드계(L1022V, A1376D, F1704I), 아버멕틴(G323D, G326E), 에톡사졸(I1017F) 약제에 대한 저항성 돌연변이의 형질빈도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 L1022V 5.5%, A1376D 28.7%, F1704I 96.6%, G323D 23.5%, G326E 25.2, I1017F 95.4%로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와 에톡사졸 약제 저항성 관련 점돌연변이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점박이응애 저항성 관련 일부 돌연변이가 작물 재배 현장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해당 자료는 야외 점박이응애의 약효 수준을 가늠하고, 우수 약제 선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다배열생물검정방법을 이용한 과채류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 정밀 관리용 약제 선발 기술

        권덕호,곽가연,김인화,안율균,홍규현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4

        시설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점박이응애는 약제 저항성 발달이 빠르므로 정밀 방제를 위해 약효가 우수한 약제를 선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다배열생물검정방법을 개발하여 점박이응애 관리에 적합한 화학합성 살충제와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 다배열생물검정방법의 적합성 평가에서 엽절편상에 잔류하는 화학합성 살충제는 인접한 엽절편 상에 접종한 점박이응애의 사충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 기존 생물검정방법 대비 약효 평가 준비 시간을 약 21.7% 단축시킬 수 있었다 . 26종의 화학합성 살충제와 38종의 유기농업자재를 대상으로 4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사충율을 관찰한 결과 , 9종의 시험대상 약제 (P_Test_15, P_Test_19, P_Test_25, O_Test_01, O_Test_06, O_Test_13, O_Test16, O_Test_23, O_Test_32등)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약효를 보였다 . 화학합성 살충제의 경우 노출빈도가 낮고 신규등록약제에서 약효가 높은 특징이 있었다 . 일부 유기농업자재의경우 예방 뿐만 아니라 방제에도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약제 별 약효 발현 속도를 반영할 수 있는 가중산술평균사충율을 산출하였으며 , 다섯 단계의 약효등급지수를 적용하여 야외 계통별 우수 약제를 선발하였다 . 계통 별로 전체 64종의 약제 중에서 5에서 14종의 약제가 60%이상 사충율을 보였으며 , 해당 약제는 대상 계통의 방제에 우선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요약하면 , 다배열생물검정방법을 이용한 점박이응애 약효 평가 방법과 가중산술평균사충율을 이용한 약효등급지수는 시설재배지 점박이응애의 정밀 방제를 위한 우수 약제 선발에 기여할것으로 기대된다 .

      • 병해충 관리 현황 이해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

        권덕호,원설묵,최효준,곽가연,김미현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한국농수산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15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병해충 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기본문항과 병해충 관리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문항에는 응답자의 연령, 학적상태, 재배작물, 재배면적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병해충 관리 문항에는 병해충 방제 방법, 농약 선택 근거, 병해충 예찰 방법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문항의 응답을 요약하면, 전체 응답자 중에서 20대 응답자가 91.2%로 가장 높았고, 응답자의 재배 면적은 3헥터 이상이 3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병해충 관리 문항의 응답을 요약하면, 병해충 관리 방식에서는 화학적 방제법이 6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농약 선택 근거에서는 본인 스스로 기존의 방제 기술을 토대로 결정(30%)하거나 농약 판매상(29%)의 결정을 따랐다. 병해충 예찰 방법은 농촌진흥청 산하기관(29%)과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27%)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 판매상의 병해충 진단과 농약 처방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97%가 보통이상의 신뢰도를 보였으나 강한 신뢰도를 선택한 경우는 전혀 없었다. 병해충 진단 및 농약 처방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9%가 높은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는데, 특히, 응답자의 47%는 매우 강한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병해충 진단과 농약 처방을 위한 정교한 기술을 지닌 병해충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이 농업 현장에 필요함을 의미한다. 농민의 시각에서 조사한 설문 결과는 병해충 관리 현황을 이해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 KCI등재
      • 유기농업자재 주요 그룹 별 목화진딧물 약효 변동 및 채집 계통 간 약효 변이 평가

        김미현,원설묵,최효준,곽가연,권덕호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무궁화(JB_01계통), 고추(JB_02계통), 오이(JB_04계통)에서 채집한 목화진딧물의 유기농업자재 33종을 대상으로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약효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농자재는 단일추출물(20종), 광물추출물(1종), 미생물(2종), 혼합물성분(10종)으로 구분하였다. 96시간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그룹 별 평균 사충율 변동을 관찰하였다. 대조구(물처리)의 평균사충율은 2.7%, 9.8%, 16.4%, 24.3%였다. 단일추출물(20종)의 평균보정사충율은 17.2%, 23.8%, 31.1%, 33.9%였으며, 광물추출물(1종)은 17.1%, 21.0%, 24.0%, 32.1%d며, 미생물(2종)은 4.8%, 10.8%, 15.5%, 15.2%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혼합물(10종)의 시간별 평균 사충율은 36.7%, 43.6%, 54.7%, 55.9%로서 혼합물에서 살충 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채집 계통별 평균보정사충율 변동을 관찰한 결과, JB_01계통은 26.4%, 30.4%, 36.9%, 36.3%였으며, JB_02계통은 25.4%, 27.8%, 28.1%, 30.4%이었다. 반면에 JB_04계통은 8.7%, 13.6%, 17.7%, 19.6%로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농약(Imidacloprid, Thiacloprid)을 이용한 대조구 실험에서 JB_01계통과 JB_02계통은 시간별 평균 사충율은 95%, 97%, 98%, 100%였으나, JB_04계통은 67.8%, 64.1%, 68.1%, 70.3%로서 농약 사충율 감소와 유기농업자재 사충율 감소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연구 결과는 유기농업자재의 약효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 약제를 선발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