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계 미국문학 칙릿 소설로서의 『스물일곱, 내 청춘이 수상하다』

        고정윤 ( Jeongyun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본 연구는 캐롤라인 황의 『스물일곱, 내 청춘이 수상하다』를 아시아계 미국문학으로서의 칙릿 소설로 분석한다. 특히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의 사회적 이슈들을 재현하는데 있어 칙릿 소설 장르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논문은 먼저 기존의 칙릿 소설들이 여성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보여준 가능성을 논의한 학계의 토론들을 살펴본다. 논문은 『스물일곱, 내 청춘이 수상하다』가 한국계 미국인 여주인공의 이야기를 통해,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이 미국사회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다채롭게 재현함으로서, 백인 여성의 문제에 집중한 기존의 미국 칙릿소설 장르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캐롤라인 황이 인기장르인 칙릿 소설의 틀을 활용하여 기존의 아시아계 미국문학 독자층을 넘어서서 성공적으로 더 많은 독자층에 다가설 뿐 만 아니라 더 나아가, 미국 주류 독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아시아계 미국인에게 중요한 사회 정치적 이슈를 희생시키지 않고 작품의 전면에 내세우고 있음을 검토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aroline Hwang’s In Full Bloom as an Asian American Chick-lit novel. To consider the effects of Chick-lit genre in conveying Asian American women’s issues, the paper first examines existing scholarly discussion on Chick-lit novels’ potential in highlighting feminist agendas. Then, it considers how Hwang’s Korean American heroine expands the possibility of the Chick-lit genre by tackling Asian American women’s social issues. The paper concludes that by employing popular genre of Chick-lit, Caroline Hwang succeeds in reaching for broader readers beyond typical Asian American literature readers without risking serious questions related to Asian American women’s lives.

      • KCI등재

        현대 미국의 동서양 이분법에 관한 고찰

        고정윤 ( Jeongyun K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수세기 동안 지속된 오리엔탈리즘이 현대 미국의 다양한 공간에서 드러나고 있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논문은 아시아를 이해하고 상상하는 방식으로서의 미국적 오리 엔탈리즘이 어떻게 지속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미국의 동서양 이분법은 논문에서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 논의된다. 첫 번째는 미국인들의 대중적인 사고 속에 뿌리 깊이 자리 잡은 잘 알려진 형태의 오리엔탈리즘이다. 두 번째는 서구의 식민/후기 식민 지배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미국학계의 오리엔탈리즘과의 공모이다. 결론으로 논문은 더 풍부해지고 미국에서 접근이 가능해진 다양한 아시아의 문화 텍스트들이 이러한 지속적인 이분법을 무너트리는데 있어서 하나의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e paper aims to reflect upon the ways that age-old dichotomy of the West and East unfolds in diverse sites of comtemporary America. It examines how American Orientalism as a mode of understanding and imagining Asia has been maintained. In the paper, the binary of the West and Asia is considered in two different ways. The first mode is a well-known, patent form of Orientalism that is deeply rooted in popular imagination of Americans. The second mode is revealed in US academics’ complicity in Orientalism, ironically found in their attempts to critique the West’s colonial and postcolonial dominance. In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heterogeneous cultural texts of Asia, which became more abundant and accessible in the US, as a potential tool in rupturing the persistent bi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