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유교화와 17세기: 도이힐러의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과 그 해석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09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0

        With emphasis on the sudden acceleration of the Confucianization of seventeenth-century Korean society, this review article looks at Martina Deuchler’s The Confucianiz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Cambridge: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1992) and analyzes its significance, contributions, and some issues, including concepts of primogeniture, the longevity of the Chosŏn dynasty, mentalité methodology, and traditional/Confucian values. As for the motives of the Confucia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to Martina Deuchler’s emphasis on ideological factors and Mark Peterson’s emphasis on socioeconomic factors,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Manchu conquest of Korea and Ming China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unique politico-intellectual trend it affected upon Korean ruling elite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한국사학계의 환경·기후 문제 연구 동향과 과제- 소빙기 학설의 활용을 중심으로 -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22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6

        이 비평논문에서는 지난 40여 년간 소빙기 학설을 한국사에 적용한 기존 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평한다. 문제의식은 간단하다. 냉해로 인한 자연재해가 장기적으로 이어졌다는 소빙기에 왜 하필 인구는 급증했는지다. 전근대 사회에서 인구 급증은 농업발전이 견인하거나 무역을 통한 부의 유입이 구조적으로 받쳐줘야 가능하다. 이런 현상이 장기화하면 인구 압박이 발생한다. 인구 압박을 새로운 경제력으로 돌파하거나 ‘new land’를 찾거나 신흥 도시로 인구를 내보내지 못하면, 다들 고만고만하게 가난해지면서 인구 증가율도 그만큼 떨어진다. 세계 학계에서는 그 대표적 사례로 19세기 청나라의 상황을 꼽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그런데 어느 정도의 인구 압박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계속 크게 증가했다면, 그것은 어떤 악조건도 상쇄하고 남을 정도로 경제력이 견실하다고 해석해야 합리적일 것이다. 하지만 국내 소빙기 관련 연구를 보면, 이런 경제학·인구학 논리에 기초한 해석보다는 소빙기가 초래한 자연재해 및 그 피해만 집중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 비평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작금의 소빙기 학설 활용 연구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 KCI등재

        영어권 학계의 호란 관련 연구 관심

        계승범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6

        The Imjin War (1592-1592), also known as the Hideyoshi Invasion of Korea, was the main event on the eve of the turn of the 1600s, which seriously challenged the existing Chinese world order from the south for the first time in East Asian history. Some Western scholars have showed their interests in this Great East Asian War. Unlike the Imjin War, Western scholars have had little interest in the Manchu invasions of Korea (1627, 1637; horan in Korean) because it was a sort of regional war that did not have a decisive effect on the course of the Manchu conquest of China. Indeed, a few Western scholars displayed their interests in the Manchu invasions of Korea. This review article first examines Evelyn Rawski’s article on the correspondences between Injo, King of Chosŏn, who escaped in haste into a mountain fortress in the early phase of the second Manchu invasion, and Hong Taiji who laid siege to the fortress. In addition to Rawski’s discovery that some parts of Hong Taiji’s original letter to Injo were omitted in the veritable records (sillok) of the Chosŏn dynasty, this article provides not only som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that are not in either the Manchu text or the Qing shilu but also the reasons why over 70% of the original letter were either omitted or added intentionally by the historiographers of the veritable records. This article also refutes the common understanding among scholars, including Rawski, that one of the reasons why Hong Taiji launched a military campaign against Chosŏn in late 1627 was a chronic food crisis in the Later Jin. No primary source suggests that the Jurchen demanded a large amount of provisions in the course of peace talk with Chosŏn. Focusing on JaHyun Kim Haboush’s articles and monograph, this article also looks at the aftermath of the Chosŏn surrender to the barbaric Manchu in 1637,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shaping the post-Ming Chosŏn politics and policies, comparing it with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studies. 2,000년이 넘도록 中原 중심으로 돌아간 동아시아 국제질서 프레임에 구조적 도전을 처음으로 가한 사건은 일본이 일으킨 임진왜란(1592~1598)이었다. 당시에는 조선과 명의 총체적 국력이 아직은 일본의 침공을 막을 수 있었지만, 약 300년 후 동북아질서의 전통적 패러다임을 바꾼 청일전쟁(1894~1895)을 예시하기에는 충분하다. 이것이 바로 동아시아에 관심을 둔 영어권 역사가들이 임진왜란을 연구주제로 잡은 이유이다. 그런데 호란(1627, 1637)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극히 미미하다. 왜란과는 달리, 호란은 청의 ‘중원정복전쟁’ 과정에서 한반도를 대상으로 일으킨 국지전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런 일방적 침공의 결과가 청의 중원정복이라는 거시적 흐름에 큰 영향을 줄 정도로 심각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이 비평논문에서는 영어권 학계에서 호란 자체를 다룬 거의 유일한 단독 논문인 로스키의 연구를 우선적으로 검토했다. 청군이 남한산성을 포위한 상황에서 홍타이지와 인조 사이에 오간 서신을 만문 자료와 한문 자료를 대조하고 그 차이를 지적하는 데 그친 로스키에 비해, 이 비평논문에서는 그런 차이를 좀 더 명확히 파악하되 그런 차이가 발생한 이유를 『인조실록』 편찬자의 고의적인 첨삭에 무게를 두어 살폈다. 다음에는, 정묘호란의 동인에 대한 기존 해석을 종합・정리한 로스키의 글을 검토했다. 특히 당시 후금 내부의 식량 부족을 조선침공의 주요 동인으로 본 기존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는 방향으로 비평을 가했다. 마지막으로는, 호란의 여파,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삼전도항복(1637)과 명의 몰락(1644)이 조선에 남긴 엄청난 후유증을 다룬 일부 연구를 소개했다. 영어권 학계에서 호란 관련으로 갖는 연구 관심은 호란의 여파가 조선후기 조선사회(post-Ming Korea)를 어떻게 좌우했는지에 닿아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호란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구책으로서 일세를 풍미한 ‘北伐 프로퍼갠더’와 ‘조선중화’ 사상 및 그에 대한 반동으로 한때 등장한 北學論은 국내 학계에서도 주지하는 바이지만, 그런 사조의 전이과정을 호란의 여파를 극복하기 위한 조선 지배엘리트들의 자구노력이었다는 프리즘으로 조망하는 통시적 시각은 아무래도 영어권 학계가 더 강한 것 같다.

      • KCI등재

        조선 속의 명나라 ― 大報壇을 통해서 본 조선 지배층의 중화 인식 ―

        계승범 명청사학회 2011 명청사연구 Vol.0 No.35

        With emphasis on the sacrificial performances at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Taebodan), designed to pay tribute to the memory of the three emperors of the fallen Ming, this paper examines the way in which Korean ruling elites struggled to link themselves to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Since the 1500s, Ming China had been honored in Chosŏn Korea as the suzerain-father, with the result that the Ming became the object for Chosŏn filial piety as well as loyalty. With the compromise with the Manchu in 1637, however, the Korean leadership faced an ideological crisis; king and court officials themselves had violated the two primary Confucian values, loyalty and filial piety, on which the ruling mechanism of the dynasty had been based for about 250 years. The establishment and enlargement of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in the palace yard was designed to offset the violation and visibly demonstrate Chosŏn’s fulfillment of its righteous obligations to the fallen Ming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The post-Ming Korean kings, such as Yŏngjo (r. 1724-76) and Chŏngjo (r. 1776-1800) performed sacrifices for three Ming emperors on the anniversaries of their deaths every year. These sacrifices were regularly performed even after Chosŏn opened up its ports to Japan (1876) and Western powers (1880s), and continued until Seoul was occupied by the Japanese on the eve of the Sino-Japanese War (1894-95), implying that the majority of Korean elites still lived spiritually under the imaginary Ming order on the threshold of the so-called modern era. It also suggests that Ming China was still serving as a source of authority in Chosŏn Korea even after the Ming disappeared from the scene in 1644.

      • KCI등재

        조선왕조의 長久性과 한중관계

        계승범 명청사학회 2012 명청사연구 Vol.0 No.38

        Historians have attributed the longevity of the Chosŏn dynasty (1392-1910), which spanned several centuries of world history, to its stability as a political entity. They have interpreted its prolonged existenc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Japanese scholars in the colonial period of the early 1900s explained the longevity as evidence for the stagnation of Korean civilization, while Korean scholars in the late 1900s explained the stability as evidence for the steady progress of a dynasty that had successfully established a high-level government system and a ruling ideology based on Confucian values. This article first critically reviews the concepts of two historical terms, longevity and dynasty, and analyzes where the Chosŏn dynasty should be positioned in world history with regards to these terms. Furthermore, it expounds on the main factors in the stability of the Chosŏn dynasty from both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The Chosŏn dynasty was managed by the ruling elite group called sajok, commonly known as yangban, which monopoliz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ivileges as well as Confucian knowledge. This article analyzes the ruling mechanism of the sajok class and explains it as a primary internal factor for Chosŏn’s stability. This article also lays more emphasis on the East Asian world order dominated by the empires centered in the northern region of China and the so-called tribute system. This article posits an interpretational theory that such an international order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tatic ‘balance of power’ that lasted about two millenniums in East Asia until the late 1800s, when the new ‘modern’ powers destroyed the existing traditional order. Around the turn of the 1900s, when the ruling system of the sajok class was seriously challenged and the traditional order in East Asia was in its last phase, the Chosŏn dynasty subsequently perished together with the empire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