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민주주의 이해 양상

        강화정(Kang, Hwa-Jung) 효원사학회 2014 역사와 세계 Vol.- No.45

        Democratic education is the key goal of modern public education. The democratic education in Korean history has been performed in a way of view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mocracy focusing on the area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democracy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by focusing on 5 · 16 and 5 · 18. The 1st grade students of an academic high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33 students in the @th grade of the first grade recognized 5 · 16 as a “military coup(coup d’etat)” or a “military revolution”. Most of the students recognized 5 · 18 as a “democratization movement”, but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regarded it as a “riot”. When students’ recognition was examined in relation to 5 · 16 and 5 · 18, two students who regarded 5 · 16 as a military revolution and 5 · 18 as a riot were incidentally the users of “Ilbe (Daliy Best)”. Ilbe is the name of a website called the Daily Best Storehouse. It is known as the site that posts the messages that shows deep hatred and aggression against progress female foreign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eight students who connect to Ilbe steadily at least once in 2-3 days. As a result, things in common could be found from the eight students as follows. First, The Ilbe users were sharing the same recognition about particular historical events. Second, they understood history in terms of dichotomy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ey tried to divide all historical events and historical figures into the left and right. Third, they tried to overturn the narration of the existing democratization movements. Fourth, they have a negative emotion about democratization and democracy. The case of the Ilbe-using students indicated that Korea’s education needs to create democratic education in a completely more sophisticated way. The specific education method to make democracy act as a substantially important value in each student’s life is desperate.

      • KCI등재
      • KCI등재

        역사교사의 교실 속 역사부정 접근법

        강화정(Kang, Hwa-Jung)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8

        탈진실(Post-truth)이 전 세계적 현상으로 등장했다. 탈진실이란 진실에 기반 하지 않고 정파적 입장에 따라 사실이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탈진실 현상에 조응해 등장한 한국사회 내 역사부정의 문제도 작년 한해 큰 이슈가 되었다. 2019년 〈반일종족주의〉 출간 이후의 논란, 서울의 한 고등학교에서 극우 성향의 학생단체가 학교를 향해 ‘사상독재’를 제기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본고는 역사부정의 파도가 가장 먼저 닿는 역사교실에서 역사부정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역사교사들이 역사부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떤 경험을 해보았는지, 역사부정의 문제를 마주했을 때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역사부정은 몇몇 악당의 진실 가리기를 넘어서 전쟁과 분단을 경험한 한국사회내의 깊숙이 자리한 ‘부인문화’의 토양 위에서 쉽게 싹틀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역사교육에서 역사부정을 다루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역사부정이 혐오의 문제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부정주의자들의 ‘망언’ 속에서 피해자들은 혐오의 대상이 되는데, 청소년들 사이에서 혐오를 가득 담은 ‘일베’ 용어가 또래문화로 광범위하게 퍼져나가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냉전과 분단, 독재정부 아래에서 수많은 인권침해를 경험한 우리사회에서 ‘재발방지’위한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 역사부정에 맞서는 역사교육의 대응방안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역사부정사례의 논리를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방식, 보다 근본적인 접근법으로 역사부정을 논쟁적 수업사례의 하나로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역사가가 자료를 다루는 것과 유사하게 해석과 논쟁을 통한 접근도 있다. 수업을 넘어 교육과정, 기억문화, 기념의 문제까지 확장해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해가야 한다. Post-truth is a worldwide phenomenon, including the United States. Post-truth is a phenomenon in which facts are distorted according to a factional position, not based on truth. In line with the post-truth phenomenon, the problem of historical denial has become serious in Korean society.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blem of historical negation in the history classroom. We looked at how history teachers perceived historical negations, what experiences they had, and how they responded when faced with historical negatives. History denial goes beyond hiding the truth of some villains. In Korean society that has gone through war and division, the “denial culture” is deeply embedded. On this soil, historical denial can easily sprout. Why should we deal with historical negatives in history education? This is because historical corruption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hatred. Victims are the object of hatred in the negative comments of the negativity. However, Ilbe"s words of disgust are widespread among youth. In Korean society, which has experienced numerous human rights violations under the Cold War, division and dictatorship, it is necessary to seek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to prevent recurrenc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in confronting historical corrup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logic of representative historical negative cases and respond immediat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al with historical negation as one of the more controversial class cases. It is also necessary to approach the historian in a similar way to how he deals with data. It is necessary to find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by extending to the problem of memory culture and memorial in the curriculum beyond class.

      • KCI등재

        MSY 향상을 위한 양돈농가의 경영관리 요인 분석 및 제고 방안

        강화순 ( Hwa-soon Kang ),김민경 ( Minkyoung Kim ),최승철 ( Schung-chul Choi ),최선웅 ( Sun-woong Choi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8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individual hog farms to choose necessary strategies for efficient farm management, which, in turn, would lead to successful Korean hog industry in the upcoming severe competitions with foreign imports. A survey was designed with questions of factors that potentially affect the farm productivity level (MSY), and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 with more than 500 farm managers. The data collected were focused on the MSY, farm workforce status, the characteristics of farm managers/owners, hog barn facility and wasting disease control system. We divided farm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MSY level: top 20% and bottom 20%, and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farm management factors that cause the MSY to rise by using two different kinds of analytical methods, the Decision Tree Analysis and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어린이의 흥미·경험·시선으로 재구성한 초등 현대사 수업 연구

        강화정(Kang, Hwa Ju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1

        이 글은 2018학년도 부산 금정산 초등학교(가명) 6학년의 역사 수업을 관찰한 기록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수업 관찰은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다. 이 중 9차시에 걸친 초등학교 현대사 수업과 관련하여 수업 특성을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교사는 중요한 현대사 사건 10가지를 학생들에게 제시하였다. 이 중에서 ‘더 알고 싶은 사건’ 4가지를 고르게 한 결과, 학생들은 ‘남북정상회담’과 ‘한국전쟁’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현대사 수업은 남북정상회담 - 한국전쟁의 순서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이 높은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배우고자 하는 학생의 열정과 욕망을 존중하면서 배움에 열중하는 힘을 지속하게 하였다. 또, 교사는 학생의 일상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학생들이 경험했던 트라우마적 상황을 바탕으로 역사적 상황, 한국전쟁의 참상에 다가가도록 한 방식이 인상적이었다. 현대사 수업 과정에서 ‘가까운 과거-미래-현재- 먼 과거’를 오가는 방식을 학생들은 혼란스럽거나 이상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초등학생의 시선으로 역사를 볼때 시간개념에 대한 접근 방식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사례연구를 통해 초등 역사교육을 향한 제안점도 제시하였다. 초등 역사교육에서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숙고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제안, 어린이의 경험과 일상생활을 만나려는 시도 중 하나로서 생활사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검토가 다각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제안, ‘어린이의 역사’를 향한 노력과 대안적 서사 찾기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제안이 그것이다. This article was based on a record of observing history classes of sixth graders at Geumjeongsan Elementary School (a pseudonym) in Busan in 2018. The class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a seme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characteristics of these classes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history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over nine sessions. The teacher presented 10 important contemporary history events to students. As a result of choosing “I want to know more” from among them, students chose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Korean War” the most. Contemporary history class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inter-Korean summit-the Korean War. Students’ interest were high. This process allowed students to continue their passion for learning while respecting their passion and desire to learn. In addition, the teacher guided students to understand history based on their daily experiences. In particular, it was impressive how students approached historical situations and horrors of the Korean War based on trauma experienced in their daily lives. In the course of contemporary history classes, students did not consider the way of narrative of “close-to-future-present-far past” confusing or strange. If one looks at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should think about the concept of time and the approach to time. We also presented suggestions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ther proposals were also possible. First, an approach to reflect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meaning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is needed. Second, a variety of questions and reviews of life history education should be made as one of attempts to meet children’s experiences and daily lives. Third, efforts and alternative narrativ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학생의 삶에 중심을 둔 현대사 교육, 어떻게 만들어갈까

        강화정(Kang Hwa Ju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이 글은 현대사를 역사 전개의 말단이 아닌 학생이 살아가는 동시대사로 인식하며 학생의 삶과 현재적 문제에 중심을 둔 현대사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때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구성하는 서사의 문제와 마주쳤다. 서사를 구성하는 역사적 사실을 ‘많이 아는 것’을 역사학습과 동일시하는 풍토가 일부 존재했고 서사 내용에도 문제가 있었다. 󰡔한국사󰡕의 경우, 1987년 이후 서술은 ‘민주화와 경제성장’의 서사에 갇힌 채 ‘성취’가 강조되면서 ‘성찰’의 조건을 제시하지 못했다. 동시대사로서 학생의 삶을 성찰하기 위한 현대사 교육을 위해 한국사라는 자국사의 틀에서 벗어나 유연한 형태로 자국사와 세계사를 통합한 󰡔역사󰡕과목이 절실해 보였다. 현재 󰡔한국사󰡕의 발전 서사는 다양한 행위 주체와 다른 선택의 가능성, 그 속에서 불거질 다양한 논쟁,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상을 숨기고 있기에 현재와 다른 서사가 더욱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평화와 민주주의를 서사 구성의 원리로 삼아 역사적 논쟁에 주목하고 행위 주체 간의 역사 인식 차이를 드러낼 것을 제안해 보았다. ‘현재와 더 가까운’ 현대사 교육은 기억의 주체로서 학생이 자신의 서사 속에서 국가 서사를 상대화하고 자신의 삶마저도 반성하고 성찰해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마다 다른 기억의 한 장면을 시작으로 역사 속으로 들어가 논의하고, 논쟁하고, 성찰해보는 경험을 역사학습이 제공해야 한다. 이때 서로 다른 생각을 드러내고 갈등을 조절하는 과정이 탐구의 중심이다. 학생이 주체적으로 역사를 읽고 쓰고 말하면서 자신의 역사의식 속에서 자기 서사를 쓸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현재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현대 세계에서 제기되는 보다 일반적인 의제로 역사학습에 접근해갈 수도 있다. 폭력/전쟁/평화, 인종주의, 젠더, 생태환경 등의 주제가 대표적이다. 해당 주제는 현재의 어려움과 미래에 다가올 위기를 함께 포함한다. 이때 현재 뿐 아니라 미래마저도 역사학습의 중요한 관심이 되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현재 인류가 겪는 감염병, 기후 위기, 불평등의 문제 등에서 재앙이나 위기와 같은 어두운 미래를 상상하게 된다. 어떤 미래를 그리는가에 따라 역사학습의 방향도 달라진다. 본고는 ‘지금 이 순간의 역사’, ‘현재와 더 가까운 역사’, ‘현재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학생이 성찰하고 주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현대사 교육의 방향을 숙고해보았다. This article does not view contemporary history as the last period of history. This article argues that contemporary history should be recognized as an era in which students live and that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centering on students lives. At this time, the ‘narrative’ of textbooks and textbooks becomes a problem. In the case of Korean history descriptions after 1987, ‘democracy and economic growth’ are obstacles to reflection on the past.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students lives must escape from national history. A history that integrates domestic and world history is essential. The narrative should include various agency and possibilities of various choices, various discussions, and complex and dynamic society. History narrative i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revealing different thoughts and controlling conflicts. This article argues that peace and democracy should be the principle of creating narratives. In addition,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s needed in a way that focuses on “closer to the present” or or a way that focuses on current problems. Now, not only the present but also the future should be an important concern in history learning. The infectious diseases, climate crises, and inequality that mankind is currently experiencing have no choice but to imagine a dark future such as disasters and crisis. This article reviewed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that students can independently reflect on and recognize, focusing on “History of this moment,” “History closer to the present,” and “Difficulties of the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