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부지방에서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의 월동생태

        강창헌,이상명,정영진,최광식,박정규,Kang, Chang-Heon,Lee, Sang-Myeong,Chung, Yeong-Jin,Choi, Kwang-Sik,Park, Chung-Gyoc 한국응용곤충학회 200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3 No.3

        실험실과 밤 재배지에서 2001/2002년 겨울과 2003년 봄에 복숭아명나방 Dichocrosis punctifer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의 월동생태를 연구하였다. 같은 밤 재배지에서 2003년 겨울에 채집 우화시킨 24마리의 암컷과 14마리의 수컷은 모두 과수형이었다. 야외에서 월동유충 개체군의 휴면종료는 1월 하순부터 시작하여 4월 20일 이전에 완성되었다. 휴면종료된 유충의 용화는 5월 상순부터 시작하여 6월 3일까지 $100\%$ 용화하였다. 휴면 종료 후 암컷 유충이 용화되기까지의 기간은 20, 25, $30^{\circ}C$에서 각각 12.5일, 8.9일, 7.5일이었다. 용기간은 세 온도에서 각각 14.7일, 11.8일 ,9.0일이었다. 휴면 후 월동세대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20일부터 6월 28일까지이었으며, $50\%$ 우화시기는 6월 8일-9일이었다. 그러나 산청, 하동, 진주 세 지역의 성페로몬 트램에 포획된 수컷의 수를 종합하면 $50\%$ 포획시기는 6월 17일이었다. Overwintering ecology of the peach pyralid moth, Dichocrosis punctiferalis Guenee (Lepidoptera: Pyralidae) was studied in laboratory and in a chestnut orchard in 2001/2002 winter and 2003 spring. All twenty-four female and fourteen male moths were fruit-feeding type which were emerged from the larvae collected at the same chestnut orchard in 2003 winter. Periodical thermal treatment of overwintering larvae at $25^{\circ}C$ revealed that diapause termination of the larval population started from the end of January and was completed until April 20 in southern region of Korea. Pupation of diapause-terminated larvae started from early May and reached to $100\%$ at June 3 in chestnut orchard. Days to pupation of female larvae after diapause termination were 12.5, 8.9, and 7.5 at $20^{\circ}C,\;25^{\circ}C$, and $30^{\circ}C$, respectively. Those of male larvae were similar to those of females. Pupal periods of female were 14.7, 11.8, and 9.0 days at the three temperatures. Moths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emerged from May 20 to June 28, and reached to $50\%$ emergence on June 8 to 9 under emergence cage. Attraction of the male moths of overwintered generation to sex pheromone traps showed that the date of $50\%$ catches to the traps were June 17, when data from 3 southern regions of Korea were pooled.

      • KCI등재

        단감의 저온저장 기간에 따른 해충의 밀도변화에 관한 연구

        강창헌,박정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6 No.1

        우리나라의 단감의 수출선을 다변화하기 위해서는 검역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저장 기간 중에 단감에 존재하는 해충이 저온에 의해서 어느 정도 제거되는지를 조사하였다. 톡톡이류는 약 20일간의 저온(-1±0.5℃)저장에 의해서 밀도가 1/10로 감소하였고, 저장 56일 이후에는 저장 중인 과일에 톡톡이를 찾을 수 없었다. 균식성응애도 저온에 대한 내성이 낮아 저온저장에 의해서 밀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4일 저장 후에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차응애도 저장 56일 이후에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주머니깍지벌레는 꽃받침 밑에서만 월동 난 상태로 휴면하고 있었는데, 다른 곤충과는 달리 저온에 대한 내성이 강하였다. 저장 74일 이후에도 과일당 5개의 알 수준으로서 다른 충에 비해서 밀도 감소가 뚜렷하지 않았다. 월동난 존재과율도 전 저장기간에 걸쳐 5~13%에 달하였다. 따라서 주머니깍지벌레가 발생하는 포장에서 생산되는 단감의 경우에는 이들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Insects or mites on the exporting fruits should not be allowed to meet the quarantine requirements of importing countries. Some fruits are stored before shipment for export at -1±0.5℃. Density changes of the pests on persimmon were checked during the low temperature storage (LTS). The collembolan could be killed by LTS. Density of collembolan under calyx decreased to one-tenth of the initial after a 20-d storage. No collembolan survived after 56-d storage. The LTS resulted in high mortality of the fungus-feeding mite and leaf mite. There were no fungus-feeding and leaf mites on the fruits after a 74- and a 56-d storage, respectively. However the overwintering eggs of grape-myrtle scale (Eriococcus largerstroemiae Kuwana) survived the LTS. Some of them were still alive after a 74-d storage; 5-13% of the sample fruits had the eggs under their calyxes. Therefore the fruits from the orchards infested by E. lagerstroemiae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to kill the scales.

      • KCI등재

        집파리 불임화를 위한 Flufenoxuron제제의 개발

        박정규,강창헌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0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35 No.-

        본 연구에서는 불임화제제의 야외적용을 위한 소규모 실험과 제제의 제조 및 효과 검정, 불임화제제의 저장 기간별 약효 지속기간 점검 등을 실험하였다. 소규모 사육상자실험에서는 flufenoxuron 1,500ppm과 500ppm 모두 F_1난의 부화율이 0%로서 아주 우수한 불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flufenoxuron 처리는 파리의 유인이나 섭식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임화제제의 개발과 효과 검정에서는 여러 가지 제제 중에서 펄라이트제제와 톱밥제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펄라이트를 이용한 불임화제제를 제조하여 실제 우사(牛舍)에서의 집파리에 대한 유인효과를 검정한 결과, 약제의 농도에 따라서는 유인수에 차이가 없고, 집파리의 sex pheromone인 muscamone을 함유시킨 제제의 유인력이 좋았으며, 처리에 따라 유인된 암, 수의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Perlite 불임화제제를 실내 및 냉장 조건에서 일정기간 저장한 후 불임효과를 검토하였는데, 실혼에 저장시 불임효과가 100% 유지되었다.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icacy of laboratory-made flufenoxuron(1-[4-(2-chloro-a,a,a-trifluoro-p-tolyloxy)2-fluorophenyl]-3-(2,6-difluoro- benzoyl) urea) formulations for house fly (Musca domestica) sterilization. Sterilization effect of a sugar granule formulation dipped in ethanol solution (1,500 and 500 ppm) of flufenoxuron was tested in rearing cages in laboratory. The eggs deposited by the flies contacted to the sugar granule formulation showed 0% of hatchability. The flufenoxuron itself (20~700 ppm) coated to sugar granules had no effect on the attraction and feeding amount of the flies. Four types of flufenoxuron formulations dipped in 500 ppm solution were tested for its sterilization efficacies against house fly in laboratory. The perlite and sawdust formulations were most effective. The female flies in cages containing sawdust formulation deposited 100% sterilized eggs. Less than 30% of hatchability showed the eggs deposited by the flies in the cages containing the sugar granule and the perlite formulations. The attractancy of perlite formulation was tested in a cattle pen. The formulation was made by dipping perlite carrier in flufenoxuron solutions (100 and 500 ppm) to which house fly sex pheromone(muscamone) was added. Concentration of the flufenoxuron solution in which the perlite were dipped has no effect on the attractancy. The muscamone added formulation attracted significantly more flies than the check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ex ratio of the attracted flies among flufenoxuron concentrations and muscamone existence in the formulation. The formulation could be stocked for 10 days in a room without reduction of sterilization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