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 초기의 또래신뢰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우울을 매개로

        강지윤,김지원,강민주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maltreatment(age 9) on peer trust in early adolescence(age 12) mediated by ego-identity, self-esteem, and depression(age 11).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Three waves of data (4·6·7th waves of the 1st grade cohort panel data set) collected from 1,926 children were analyzed. Finally, bootstrapping was conducted with SPSS 26.0 and Process macro program version 4.1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ypothesized model. Results: First, parental maltreatment perceived at age 9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er trust at age 12(β = -.15, p < .001). In addition, parental maltreatm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identity and self-esteem. Moreover, ego-identity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indirect negative effects on peer trust mediated by depression. Finally, because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the effect size was -.031(95% CI [-.040, -.024]). Thus, ego-identity, self-esteem, and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altreatment during late childhood and peer trust in early adolescence.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maltreatment on peer trust mediated by ego-identity,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on child abuse and the necessity of timely follow-up interven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more solid framework to understand the severe consequences of parental maltreatment, thus contributing to eradicating the vicious cycle of violence.

      • KCI등재

        도시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강지윤,양진우,황영순,김기욱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3

        Urban river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have been altered due to factors such as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This alteration have caused the rivers to lose their original value and become exposed to various pollution, resulting decrease in citizens’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citizens’ Willingness To Pay (WTP)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uyeong River in Busan. To estimate the non-market value of the Suyeong River, the WTP of Busan citizen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estimated, apply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WTP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from Grade 4(polluted water) to Grade 2(game fish like bass can live in it) was estimated using the water quality ladder concept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ssuming annual donations for five years. For the CVM, the logistic distribution and Spike Model were adopted. As a result, citizens residing in the surrounding area of Suyeong River expressed a higher WTP. Considering more than half of the Busan citizens are aware of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ecosystems” as a major function of the Suyeong River, this higher WTP could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value of urban rivers. 도시하천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개발 등 여건변화로 본연의 모습과 가치를 잃고 인공적인 모습으로 변해왔다. 이로 인해 도시민의 삶의 질과 만족도 또한 하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수영강을 대상으로 도시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도시민의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비시장가치 추정을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여 수질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를 파악하고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상시나리오는 EPA, 수질사다리(waterquality ladder)의 개념을 이용하여 현재 수영강 수질이 오염된 물(4등급)이라고 가상시장을 설정하고 낚시가 가능한 수준(2등급)까지 개선을 시키고자 할 때의 지불의사를 조사하였다. 이때 지불수단은 기부금의 형태로 지불기간은 연 1회 향후 5년간으로 설정하였다. WTP는 한국개발연구원(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에서 제시하고 있는 로지스틱 분포와 스파이크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지불의사 추정결과 수영강 인접 지역주민의 지불의사가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또한 부산시민의 절반 이상(56.5%)이 ‘자연 및 생태보전’을 수영강의 주요 기능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하천환경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의 상승은 도시하천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 기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 기대수준 충족과 더불어 도시하천 경제적 가치상승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장 혹은 유예 – 1960년대 여성 성장서사 다시 읽기

        강지윤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This study focuses on several literary works that of 1960s Korean literature that resemble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for women. In an effort to account for the specificities of female bildungsroman during this era, this article attempts the gendered re-contextualization of the general perception that romantic stories were a genre mainly for female writers while bildungsroman, a serious literary form of modern art, finally became fully developed by primarily male writers in 1960s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romantic stories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which emphasized the autonomy of female subjects by revealing the interiorities of heroines. However, the fact that the autonomous interiority of a female subject can actively function as a cultural component does not directly represent the social progress of women. Rather, it reveals that female writers were allocated a safe and subordinate site by accepting the dominant order of gender in the process of nation-state building. Nevertheless, it would be unfair to claim that the popular patterns of romantic stories at that time were completely blind to the fantasy of female autonomy. The dramatic dissolution by death, which was common in romantic stories, can be read as a symptom annihilating the endeavors of female subjects who appeared to search for the unity of love. 이 연구는 1960년대에 다수 창작된 여성 연애서사 속에 여성 성장서사의 특징이 발견되는 작품들이 많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 시기 여성 성장서사의 특수성을 추출하는 한편, ‘남성–교양서사/여성–연애서사’가 분화되기 시작한 때로 인식되는 1960년대 문학장을 젠더적으로 재맥락화하고자 한다. 1960년대 여성 연애서사는 여성 주체의 내면을 서사에 전면화하는 기제를 통해 여성 주체의 자율성을 드러내면서 여성 성장서사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여성 주체의 자율적 내면을 문화적 기제로 활용할 수 있었다는 것은 여성의 자율성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으로 여성이 안전한 부속 공간을 할당받는 방식으로 젠더적 지배 질서의 차등적 위치를 수용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 연애서사가 주로 활용했던 대중서사의 문법이 여성 주체의 자율성이 가진 가상성에 맹목적이기만 했다고는 볼 수 없다. 이 시기 연애서사에 자주등장하는 죽음의 파국은 사실상 ‘사랑의 합일’을 찾아가는 주체의 노력을 무화시키는 징후로도 읽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같은 시기 이 가상적 자율성 자체를 질문함으로써 여성 주체의 ‘성장’이 가진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는 작품들이 관찰된다는 사실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문학의 금욕주의자들-자율성을 둘러싼 사랑과 자본의 경쟁-

        강지윤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6 No.-

        This article argues that “love” and “capital” compete against each other to win a hegemonic position over the discourse of an “autonomous modern individual”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It is well known that “love” as a spontaneous feeling was used as the main motif to mediate the notion of “the autonomous modern individual”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Capital,”on the other hand, which was usually considered to be a typical hindrance to true love, was in fact the most likely rival to “love” on account of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While “love” seeks eternal inseparability, “money” is exchanged for and with everything. Many work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compulsively represented this conflict in an “either love or money” manner. Colonial nationalism, which usually transcends personal desires to concentrate instead on “the big cause,” was often u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ascetic heroes in well-known novels such as Lee Kwang Soo’s The Soil, Lee Gi Young’s Homeland, and Shim Hoon’s Evergreen, who sacrificed everything to be pioneers for poor peasants, can be psychoanalyzed as wanting to avoid becoming an object of desire by others, which means paradoxically to be a replaceable being. The method of describing their “Comradeship Love” problematically shows that their seeking a type of comradeship love is not based on what they want to do but on instead what they do not want to do. To find their true lovers, it appears that they must make a very long and difficult detour. They voluntarily choose city girls, who are transformed from sophisticated and urban figures to strenuous workers. In a sense, their lovers are heroes themselves with a hint of fetish as transformed bodies.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자유로운 사랑을 위한 욕망의 개방은 개인의 자율성을 드러내는 가장 핵심적인 서사적 기제였다. 그러나 관계의 개방성이란 사랑에 내포된 오랜 핵심적 관점, 독점적이고도 영구적인 합일이라는 관점과 충돌한다. 매혹의 이끌림에 스스로를 내맡긴다는 것은 주체를 대체 가능한 욕망의 대상으로 만드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유로운 개인의 관념을 촉발하고 있던 또 하나의 힘, 자본의 논리-모든 것의 교환가능성-는 관계의 개방에 대체가능성이라는 위협을 증폭시키고 있었다. 특히 식민지 조선에서 ‘개인’의 법적 근거가 배타적으로 재산권의 행사에 국한되어 있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관념을 둘러싸고 사랑의 담론은 ‘자본’이라는 요소를 자신의 경쟁 상대로 삼는 것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가능성의 과잉이라는 서사적 난국에 처해 식민지의 강력한 민족주의는 개인들의 사랑의 욕망과 배신의 소용돌이를 해결하는 존재로도 이용되었다. 이러한 서사적 해결 방식은 한국 근대문학사에 영향력 있는 문법을 제공했다. 즉 대주체로의 귀속에 의해 대체 가능성의 무한 연쇄로 이어질 수 있는 서사의 불안정성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이광수의 『흙』, 이기영의『고향』, 심훈의 『상록수』 등 ‘브나로드’ 운동이 자극한 한국형 귀향소설들은 이러한 문법을 이어받은 대표적인 예다. 이 같은 시도들은 자율적 개인의 의미에도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식민지의 ‘민족’이라는 상위주체는 ‘결여’의 상태로 언제나 ‘필요’를 요구했다. 귀향소설의 주인공들은 자발적으로 ‘필요의 대상’이 됨으로써 ‘개인적 욕망’이라는 문제로부터 스스로를 차단한다. 그들은 스스로 판단하고 선택하고 행동하지만 그 원인은 언제나 대주체의 필요로부터 제공받는, 자율적 존재의 역설적 모습을 재현한다. 주인공들의 귀향 그리고 그들의 연인들의 귀향의 성격은 모두 ‘개인적 욕망으로부터 면역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 그것은 주체와 사랑의 서사로부터 자본의 문제를 지우려는 강박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주인공의 귀향이 배경으로 하는 도시와 농촌의 대립 구도는 ‘불필요한’ 자본주의적 욕망의 잉여를 오로지 도시에 거주(居住)하게 하려는 분리의 욕망처럼 보인다. 특히 이 소설들이 사랑에 대해 가지고 있는 결론적 관점인 ‘동지적 사랑’이라는 관념은 주인공들의 욕망이 ‘무엇을 원하는가’라기보다 ‘무엇을 원치 않는가’라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사실을 궁극적으로 드러낸다. 마침내 주인공들은 육체와 정신의 온전한 합일이라는 사랑의 서사가 지향하는 소망 상태에 도달하지만 이 합일의 과정은 순수하고 건강한 농촌에서 연인을 만나는 형식이 아니라 도시로부터 이주해 온 연인들이 그들의 육체에 남아 있는 ‘물신’의 흔적을 고통스럽게 제거함으로써만 얻어지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대주체로의 귀속에 타자를 분리해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계기인, 자본이라는 계기를 없앰으로써 결국 주체는 동일자와의 사랑에 도달하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한국 근대문학의 대표적 금욕주의자들의 여정은 이렇게 관계의 개방성이 관계의 동일성으로 귀착된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들의 영웅적인 희생은 비현실적으로 과장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여전히 독자의 마음...

      • KCI등재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의 사례연구

        강지윤 西江大學校 生活相談室 2001 人間理解 Vol.22 No.-

        본 연구에서 다루는 사례는 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격과 진로에 관해 알아보려고 한 대담자가 해석을 하면서 상담으로 연결된 사례이다. 내담자는 자신의 성격이 남자답지 못하고, 새로운 관계를 맺을 때 부담감을 갖거나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소외감을 느껴 만남 자체를 피하는 등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상담을 하는 동안에도 자신의 이야기를 잘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고, 깊은 이야기를 하면 그 다음엔 그만두려고 하는 등 대인관계에서 안정적으로 관계를 맺지 못하는 모습이 상담장면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그러나 내담자의 높은 동기수준과 성실성으로 상담을 계속 진행할 수 있었고 28회기로 종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경(國境) 안과 밖의 여성들 ―‘K–’의 곤경과 한국의 가족주의

        강지윤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first began appearing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form of women’s narrative that was inherited from writers working in the 1990s. These narratives of marriage migration reflected an increase in migration, which was transforming Korea into a somewhat multi- racial society. Moreover, it reveals that the issue of migration in Korean society possessed a distinctly gendered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 recognition of emigrants as civilians occurred mainly in the form of recognizing families composed of a Korean native and foreign spouse.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ideology of familialism conceals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is gradually being shifted to low-wage female workers from less-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feminism reboot” phenomenon in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in the mid-2010s, re-popularized a female image free from the problems of class and race at a time when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were gradually losing prominence.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suc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ref lects the fact the combined patriarchal and neoliberal system of Korean society, which limits the social role of women to being consumers and mothers who direct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maintain the family’s social status, was no longer sustainable due to neoliberalism losing its hegemonic status. 이 글은 2000년대 중후반에 나타난 결혼이주 서사들과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대표하는 『82년생 김지영』을 같이 읽으며 이 두 가지 여성서사들이 한국의 외부와 연결되고 있는 다른 양상이 보여주는 변화를 신자유주의와 함께 작동해온 한국 가족주의에 내포된 문제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독해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중후반 다수 창작된 결혼이주 서사들은 1990년대부터 확대되어온 여성서사를 이어받아 한국 사회의 결혼이주 여성들의 현실을 조명한 작품들로 이해된다. 이 시기 결혼이주 서사들은 글로벌한 차원에서 관찰되는 이주의 젠더화 현상 속에서 여성의 돌봄노동이 저개발 국가 출신의 여성에게 이월되는 현상을 한국의 가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은폐하는 기제를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 리부트’를 주도했던 여성서사인『82년생 김지영』이 결혼이주 서사가 축소된 자리에 한국사회의 ‘내부 식민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를 재등장시키면서 페미니즘의 동아시아적 확대를 추동했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이 글은 2010년대 중후반 페미니즘의 글로벌한 확대를 가져온 『82년생 김지영』이 앞선 시기의 결혼이주 서사가 맥락화했던 여성–인종–계급 문제를 결락하고 있는 역설에 주목할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