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커넥팅 플레이트의 최적 설계

        강인학(Inhak Kang),최성현(Sunghyeon Choi) 한국자동차공학회 2017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7 No.11

        In this study, we used the reaction surface method to optimize the connecting plate weight and stress. The connecting play is located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annulus gear and thrust bearing. It supports thrust force of thrust bear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finds optimal values in two or more variables in one of the experimental design methods. The design variables were determined and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SYS. MINITAB was used to extract the number of experiments and find the optimum value for the reaction surface method. The validity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was verified using ANSYS.

      • 비영리단체의 보조기구 관련 사업 전망 분석에 관한 연구

        오도영,한중석,강인학 대한재활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1

        본 연구는 보조기구 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비영리단체들을 중심으로 보조기구에 대한 인식 수준과 보조기구 관련 산업 전망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제기되고 있는 보조기구 관련 사업의 과제와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영리단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영리단체들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정부 의존도가 높고, 주로 복지 및 고용 분야의 단체들이 보조기구 관련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 아이템으로써 보조기구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조기구 관련 사업적 측면에서는 조사 대상 단체들은 보조기구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며, 보조기구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직관적으로 보조기구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현재 비영리단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기회요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아울러 보조기구 관련 사업 수행의 가장 우선적 과제로 정부 정책 및 제도 등을 통한 실중적 지원이 핵심적인 것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ssignment and possibility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proposed currently positively by examining cognitive level of non-profit institutions with interest in the assistive devices industry on assistive devices and the prospect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industry. To realize the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non-profit institutions and analyzed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non-profit institutions had high dependence on the government and welfare and employment related institutions took a lot of interests in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Also, the study analyzed that they had a lot of interests in assistive devices as a conversion item to a social company. Second, in the side of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the surveyed institutions were not enough to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about assistive devices and had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the assistive devices business intuitively without enough examination about assistive devices. On the contrary, the study analyzed that they had a high understanding about opportunity focused on non-profit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Also, the study analyzed that it wa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support through policies and systems of the government as the most preferential assignment in doing assistive devices related business.

      • 사례기록을 통한 맞춤형 보조기구 서비스 요구 분석

        육주혜,손병창,공진용,이준석,오도영,강인학 대한재활공학회 2008 보조공학저널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개개인의 맞춤형 보조기구 서비스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전 연령 장애인 대상으로 다양한 보조기구를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과정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의 3년간 122건의 사례기록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센터의 일반정보, 이용자 장애정보, 일상생활을 위한 보조기구 요구 사항, 이동기기 및 센터 이용 교통수단, 보조기구 서비스 과정이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한 보조기구 서비스 과정은 초기상담, 상담/평가, 영역별 기능평가, 기구 적용, 종합계획수립, 사례회의, 시험적용, 기구대여 또는 지원, 사용자 훈련/기능 향상 평가, 종결 및 사후관리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122 cases from 2004 to 2007 of GyeongGi-Do Assistive Technology Research & Assistance Center (ATRAC) that provided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various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of all ages. General information, disability, assistive technology needs in daily living, wheeled mobility & transportation,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of 122 case reco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dividu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ss consisted of intake, consultation & assessment, functional evaluation, applic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center, planning, case conference, application of recommended devices in the user's environment, device lease or provision, user training & evaluation of functional improvement, and completion & follow-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