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해주의 원주민을 바라보는 어느 러시아인의 이야기 - 데르수 우잘라, 아르세니예프 저

        강인욱(Kang In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소설 󰡔Dersu Uzala󰡕는 연해주에서 만난 원주민 데르수와 러시아인 아르세니예프 만나서 같이 연해주를 탐험했던 이야기를 주요한 테마로 한다. 아르세니예프는 자연과 함께 살던 데르수의 삶을 존중했지만 결국 러시아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 지역의 개발이었다. 그의 조사이후 연해주는 철도가 놓이고 급격히 개발되어갔다. 그 와중에 얼마나 많은 또 다른 ‘데르수’가 사라져갔는지는 짐작조차 할 수 없다. 해양을 매개로 다른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었던 다른 서양의 열강과 달리 러시아는 자국의 영토를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거점위주로 시베리아와 극동을 개발했다. 이러 한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진 러시아의 유라시아에 대한 관심과 지배의 맥락에서 한국 과 주변을 인지했다. 󰡔데르수 우잘라󰡕는 러시아가 극동으로 진출했을 때에 원주민에 대한 회한과 애정이 담긴 탐험가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문학작품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The novel [Dersu Uzala] focuses on the story of author’ travel helper Dersu Uzala, who belonged to aborigine Goldi(or Nanai) of Far East. The plot of this novel is based on one year’ trip of Arceniev and Dersu to northern mountainous region of Primoire. In spite of discrimination to aborigines from Chinese, Korean and Old belivers of Russian Orthodox church, Arseniev respects Dersu’s life who matched and harmonized with mother nature, but ironically Arceniev’s expedition served for russia’ exploitation of this region. Furthermore, Dersu was killed in urban area near Khabarovsk, following Arseniev’ suggestion to residence in urban area with him. Arseniev felt he’s responsible on Dersu’ death. The noble ‘Dersu Uzala’ is a kind of his confession to aborigines, who rapidly disappeared by civilized people. Unlike other Western nations that colonized other continents through the ocean, Russia’s colonization was a kind of gradual expansion of her territory to Siberia and the Far East. So, russian’s conception and interest on Far Eastern Asia was reflected on Arseniev’s noble.

      • KCI등재

        日帝强占期 咸鏡北道 先史時代 유적의 조사와 인식

        姜仁旭(Kang, InUk) 한국상고사학회 2008 한국상고사학보 Vol.61 No.-

        Although the influence of japanese archaeology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ignificant, historiographical research from the korea archaeological school is almost absent. Furthermore. most of japanese archaeologists was occupied by the colossal excavation and monographs on the significant tombs of three kingdoms and Lorang, which were used for manipulating the propaganda of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the study on he prehistorical period was poorly known. In spite of this situatio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咸鏡北道) is remarkable for intensive researches for prehistorical archaeology. In this paper, author tries to analyze why these archaeologist hold their interests and which role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plays in. The research o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the anthropological school of Tokyo university(1900~1920 y.). Mainly, Torii Ryujo and Yagi Shoshaburo pioneered this region. And their researches are characterized by the ethnographical explanation of pottery and stone tools. Second, the activity of amateur collectors, lived in this regions. This kind of archaeological collecting was not sole for this regions but long tradition of dilettantism from the Edo period of Japan. As japanese started to colonized korean peninsula(specially, the borderline territories with China and Russia), many archaeological sites were ruined. The revealed relics were hunted by these collectors. The third group(1929~1941) were carried out by Fujuda Ryosaku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Fujita' researches were more sustemized expeditions and high valued by other japanese archaeologists since long years of excavation of prehistorical sites, that were even rare in that time in Japan. The school of anthropological laboratory of Tokyo university was inclined to examine inferiority by judging the refinements of archaeological artefact, so they were far from the real archaeological methods or analysis and couldn't shirk responsibility of their contribution to imperialism and colonialism of Japanese military government. Besides the long years of Fujita' investigation, his understanding to prehistorical archaeology of North-eastern part of Korea wasn't different from the bias of Torii Ryujo's. Fujita' wholly ignored the stratigraphic situation of sites, and chronological development in archaeological cultures. His poor understanding to prehistory could be explained by absence of concrete archaeological background and prejudice to colonized korean peninsula. As described above,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was main field for prehistorical archaeology and strong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oncept in South Korea until 1970's, but their researches were poorly published and understanding the prehistory was not so far from ethological research, based on imperialism. 본 고에서는 그간 조선고적조사연구회의 고분조사에 가려져서 거의 주목받지 않았던 일제시대 선사고고학 연구사를 함경북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함북 지역 선사시대 유적이 일제강점기 주목을 받고 연구되게 되었던 이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鳥居가 시작한 선사학의 연구가 20세기 초반에 도입되면서 동북한 지역이 주요 필드로 선정되고 많은 유적이 확인되었다. 이에 당시 정치적 지리적 특성으로 많은 일본인이 거주했던 회령지역에는 많은 호고가들의 독자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와중에 藤田亮策으로 대표되는 경성제대 연구팀은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와는 별도로 동북한지역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함북지역 선사시대의 조사에 종사한 연구자 층을 분석한 결과 藤田亮策으로 대표되는 경성제대·조선고적연구회의 인력 이외에 東京大 인류학교실의 1910년대 연구와 제 3의 연구자 층이라고 할 수 있는 호고가들의 연구가 실질적인 일제시대 선사고고학의 기층을 담당했음을 밝혀냈다. 일제때 유독 함북지역에 조사가 집중된 이유로는 아이누-고로봇꾸로 논쟁과 같은 명치인류학의 영향을 받은 鳥居龍藏이 기본 자료를 많이 조사했으며 부산과 함께 일본인의 거주가 많아서 호고가의 활동이 활발했던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藤田이 1920년대 말부터 선사고고학에 뛰어들게 된 이유는 당시 총독부 조사와의 차별성을 유지해야하는 점과 鳥居龍藏 이후 거의 정지된 선사고고학 연구를 연장시키려는 보완하는 성격을 띤 것이다. 총독부조사팀과는 다른 연구를 해야했던 점을 들 수 있다. 게다가 두만강유역에 선사시대 유적이 풍부하게 분포했다는 점과 함께 고분과 같은 문명의 흔적이 별로 없었던 탓에 노골적으로 식민지 이데올로기에 이바지했었던 고분중심의 역사고고학보다는 좀 더 고고학이라는 학문에 충실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무문토기-즐문토기의 상관관계로 대표되는 선사시대의 문화발전에는 거의 무지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석기의 수집차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한계를 내포한다. 또한 본격적인 고고학조사를 한 藤田亮策의 조사조차도 사실상은 鳥居龍藏의 선사시대 인식을 답습하는 수준이었으며 대부분의 조사가 불충분하게 보고되어 부분적인 일차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쳤기 때문에 선사고고학의 발전에 이바지했다기보다는 한국문화이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에 그쳤다는 데에 결정적인 한계가 있다.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강인욱(Kang Inuk)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1

        문헌사에서는 고구려 성립 초기부터 멸망 직전까지 책성을 중심으로 연변지역으로 경영했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제 연해주와 연변 일대에서 전형적인 고구려의 흔적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에 필자는 고고학적 자료에 기반하여 백산말갈의 형성과 고구려의 지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2세기경까지 북옥저는 읍루계통의 문화의 영향을 받은 올가문화로 존속했고, 관구검의 침략 이후 기존의 북옥저 계통의 문화가 와해되었다. 이후 4세기이후에 본격적으로 말갈문화가 등장했다. 관구검의 침략은 토착 사회에 큰 위기가 되었지만, 역설적으로 기존의 북옥저 계통의 문화(=크로우노프카문화)가 완전히 없어지고 고지의 방어성 취락과 철제 무기의 급증 등으로 대표되는 말갈문화를 전폭적으로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잡곡농경에 기반하여 평지에 마을을 이루는 옥저계 주민들의 생계경제 대신에 수렵과 채집을 병행하는 말갈계통의 문화가 연변과 연해주 전역에 확산되었다. 한편 고구려는 연변지역 진출 초기부터 멸망직전까지 이러한 토착문화의 독자성을 유지시키는 정책을 계속 유지했다. 한편, 훈춘 고성촌 자료에서 보듯, 이 지역에 부여계 이주민이 들어와서 사원을 건설한 흔적도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 지역 토착민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를 건설하되, 성지, 사원지와 같은 거버넌스를 유지하는 집단은 부여계통의 이주민도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6~7세기간에 고구려의 지배 과정에 대해서는 필자가 발굴한 크라스키노 성지의 최하 문화층의 발굴로 설명할 수 있다. 크라스키노 성지의 주요 사용 시기는 발해시기이지만, 최하층의 존재로 이미 고구려 시기에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런데 크라스키노 최하층에서 출토된 토기의 양상은 말갈계 토기보다는 고구려 계통의 일부 토기와 올가문화(=연해주 폴체문화)와 유사점이 크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바로 말갈계 문화가 일괄적으로 성립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 따라서는 폴체계의 문화계통이 지속적으로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연희 2년명 토기의 존재로 볼 때 책성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연해주와 연변 일대는 지속적으로 주변지역과 교류를 하며 그 존재를 알렸던 것으로 보인다. 관구검의 군대가 철저하게 옥저세력을 파괴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즉, 독자적으로 북옥저-백산말갈로 이어지는 토착민의 물질문화가 책성지역의 중심이었다. 하지만, 이타인의 묘지처럼 이러한 토착문화의 강성에도 불구하고 고구려의 일부로서 강력한 소속의식을 계속 지니고 있었다. 즉, 말갈로 대표되는 고고학적 문화는 결코 하나의 민족집단이 아니었으며, 또 무조건 고구려/발해와 배치되는 세력이라 볼 수 없다. 말갈계 고고학적 문화 역시 시대와 공간적 맥락에 따라서 적극적으로 고구려와 발해 역사를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삼강평원의 두막루-물길문제에서도 제기된 바, 극동지역의 두 민족집단의 계통인 부여-옥저-동예로 이어지는 예맥계와 읍루-말갈로 이어지는 퉁구스계는 서로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 받았다. 비슷한 상황을 책성-백산말갈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문헌에서 제시된 주민집단을 도그마화해서 해석에 집착하기보다 계속 증가하는 고고학적 자료와 비교할 때 한반도 북방의 민족사상이 조금 더 체계적이며 명확하게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匈奴遺蹟출토 銘文자료에 대한 일고찰

        姜仁旭(Kang, Inuk)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본 고에서는 흉노의 유적에서 출토된 漢字銘文資料들을 고고학적 정황과 함께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북흉노와 남흉노의 사회구조 및 대외관계의 일단면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북흉노와 남흉노의 명문을 살펴보고, Ⅲ장에서 명문 및 공반 유물의 분석을 통하여 북흉노와 남흉노로 대별되는 흉노사회의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북흉노의 유적에서는 漆器, 錦繡와 같이 재분배가 가능한 위신재에서 명문이 확인되었으며, 남흉노는 벼슬을 상징하는 관인과 명문이 새겨진 와당 등이 발견되었다. 남흉노의 경우 적어도 기원전 51년 이후에 지속적으로 한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銅印은 남흉노가 한화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또한 내몽고일대에 거주했던 남흉노의 경우 흉노명의 명문기와와 靑海上孫家寨무덤의 예에서 보듯이 명문자료가 출토되지 않는다면 물질문화상에서 중국계문화가 큰 구분이 되지 않는다. 이로 볼 때 남흉노는 중국에 부의하면서 자신들의 고유 문화를 빠르게 폐기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破걞, 歸義와 같은 명문의 관인으로 볼 때 한정부의 以夷制夷정책에 근거, 다른 이민족들을 통치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지를 굳혔던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북흉노는 서한말 이후에 漆器, 錦繡등의 위신재와 중국계 정착민들의 이민이 본격화되면서 명문자료가 출토되기 시작했다. 북흉노의 대표적인 명문자료인 칠기의 경우 장안의 考工과 蜀郡에서 제작된 어용품이 유입되었는데, 제작연대로 볼 때 기원전 16년경부터 1세기 중반에 이른다. 銘文錦은 王莽의 新이 건국 초기에 흉노를 달래기 위해서 제공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같이 명문자료로 볼 때 적어도 60~70년간은 북흉노는 중국의 사여품을 재분배하는 방법으로 자신들 내부의 집단들을 통치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특별한 고고학적 증거가 남아있지 않은 남흉노의 사회조직을 추정할 수 있는 주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In this study author gathered archaeological materials with chinese inscription from Hunnu sites, and analysed social structure and diplomatic relationship of north and south hunnu. In Ⅱ chapter, author divides materials with inscriptions into 5 groups(lacquerer, roofing tiles and pottery, bronze seal and gold buckle plates and figures out the archaeological context, contents and chronology of each inscriptions. Based on Ⅱ chapter, in Ⅲ chapter author compares features of inscrip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Hunnu. Those inscriptions from each Hunnu were found in different contexts and let us take a glimpse of social structure and diplomatic relationships in each Hunnu. Lacquerer were mainly found from supreme royal tombs of North Hunnu in Mongol. These inscribed lacquerer were made by Han imperial court(Kaogong and Shujun) around 8 BCE to 16 CE. It is worthwhile that one of this lacquerer was made by private workshop with similar technique of imperial court. This situation alludes that Chinese Court should prepare tribute to Shanyu of North Hunnu in a quite short time, and Chinese Court possibly ordered to private workshop to accomplish demands form Hunnu punctually . The embroidered brocade with inscriptions from Noyon–ool and Oglakhty was imported to Hunnu in different time. Brocade from Noyon–ool was probably made in the period of dynasty Xin, which are concerned with Wang Mang’ appeasement policy to Hunnu just after his enthronement. But finds from Oglakhty are dated after fall of North Hunnu. Contrast to North Hunnu, in South Hunnu’ boundaries, just bronze seal and roofing tiles with inscriptions of Hunnu was yielded. Furthermore, except inscriptions most of accompanied materials belongs to typical Chinese. It means South Hunnu became assimilated to China in material culture from the middle of 1th century BCE. And the contents of bronze seals shows that these south Hunnu, naturalized as Chinese officials, was dispatched to colonise another frontier tribes.

      • KCI등재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

        강인욱(Kang Inuk)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무덤자료를 통해 살펴본 이 변동의 시기 만발발자 유적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기원전 4세기경에 만발발자 집단은 토광묘를 축조하고 있었다(Ⅱ구역). 이들은 2단계가 되면서 모피무역으로 야기된 전염병으로 추정되는 큰 변화를 맞이하여 20, 21호의 집단토광묘의 예에서 보듯이 집단 내부의 인구가 급감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무덤의 축조 입지는 유적의 서편에서 동편으로 옮겨졌고, 토광묘 집단 이외에 대석개묘로 대표되는 새로운 집단이 유입되었다. 이들은 자연스럽게 동화되었고, 입지를 달리하여 구릉의 정상에 대석개묘와 적석총을 축조하는 등 사회는 새롭게 전환되어 통합되어갔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와 묘제의 통합을 거시적으로 바라본다면, 그 이전까지 요서지역과도 연결되었던 만발발자의 네트워크가 해체되었고, 대석개묘 집단의 유입을 거쳐서 그 동쪽의 고구려로 대표되는 압록강 중상류지역 집단의 네트워크로 편입되었다. 통화 만발발자는 통화와 환인 일대가 후기 고조선의 영향을 벗어나 초기 고구려 세력에 편입되는 과정의 변화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통화 일대는 명도전이 출토되는 압록강 중~하류 지역에서 떨어져 있으며, 산악이 매우 발달한 지역으로 농업보다는 어로, 사냥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 지역은 고조선이 발흥하던 시점에 모피의 1차 취합 및 가공을 하던 집단으로 기능했다. 만발발자는 비파형동검 전기 단계에서 시작하여 토광묘 위주의 후기 고조선에서 대석개묘와 적석총으로 대표되는 초기 고구려에 이르는 과정이라는 동아시아의 거시적인 문화변동을 보여주는 동시에 통화 지역이라는 독특한 조건에 적응하며 살았던 지역집단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The Wanfabozi, Tonghua, is one of most significant site that shows the change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early Goguryeo forces around the Tonghua and Huanren area. The Tonghua region was located far from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he Yalu River, where hoards with knife money (mingdaoqian) were found. It was highly mountainous, and the ratio of fishing and hunting was very high compared to agriculture. An analysis of animal remains found bones of various fur animals other than pigs raised as livestock, which is extremely unusual. This area functioned as a group that performed the primary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fur at the time of the rise of Gojoseon. Moreover, various other unique goods were traded, given the nature of the mountain region. The area grew through the Chinese state’s fortcentered expansion (for example, the chibaisong fortress site of Tonghua region) and traded with various regions such as Gojoseon, early Goguryeo, and Buyeo due to the changes of northern China in the 3rd and 2nd centuries B.C. However, this was the group in charge of production, and the power did not expand around them. This is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various memorial services coexisted in one space without overlapping across different zones. Beside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ocial status among the relics of each tomb. The Wanfabozi society rapidly changed with the advent of the early Goguryeo group as represented by piled-stone tombs, reflecting the progression of social complexity and integra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pit tombs to stone mound tombs can be regarded as a transition period in which the early Goguryeo took over the network with the collapse of the Gojoseon network. In this way, Wanfabozi illustrates a macroscopic cultural change in East Asia, starting from the early stage of the lute-shaped bronze dagger to the late Gojoseon, centered on pit tombs, and the early Goguryeo, represented by stone-covered tombs and stone mound tombs. At the same time, this area clearly shows the appearance of a local group that lived and adapted to the unique conditions of the Tonghua area. It meets the definition of a glocalistic approach, which is recently emerging in history and culture studies. It enables researchers to identify the formation process and flow of individual remains and then understand the regional adaptation diffusion based on the macroscopic historical flow.

      • KCI등재

        디지털 트윈의 국방분야 적용방안에 대한 검토

        강인욱(Inuk Kang),오자훈(Jahun Oh)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2

        Digital twin is a technology that replicates the real world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is being developed along with recent base technologies such as IoT, big data, clou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Because digital twins can detect the real world in real time and support optimal decision-making through simulation, they are being actively used by the private and government sectors in manufacturing, urban management, and logistics.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digital twin technology, their applicability to the defense field, including weapon system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training and education, military logistics and supply, cyber operations, and decision-making support. We also explore policies and development trends related to digital twin technology in the domestic and foreign defense field. In addition, cyber security, explainable digital twin based on integrated information, and lightweight twin environment construction technology are presented as technologies that need to be developed for digital twins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efens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