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 호텔 로비에 나타난 시간적 혼성표현에 관한 연구

        강예지(Kang, Ye-Ji),김문덕(Kim, Moon-Duc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3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form a new culture due to the vague boundaries of elements fused together in Pluralistic society. A new culture of two or more heterogeneous, it has value when it has combined an impact on society and this trend is formed as a hybrid concept. when temporality was concentrated, it is also reflected in the interior design of hybrid representation. Directing the unique atmosphere of space at different times of the hybrid offer people experience. So Non-daily experience that stimulates the senses. Temporal hybrid especially appears in the space of design hotel that provides a unique experience. The hotel was reflected the specific design is rapidly increasing. There is no comparison between domestic design hotel and foreign design hotel. By increasing our hotel industry, we can improve our competitiveness and we need to introduce creative design hotel. The temporal hybrid representation is shown design. Lobby design is to study about how directing its features appeared.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 양상에 대한 질적 연구

        강예지(Ye Ji Kang),노재희(Jaehee Rho),김도환(Do-Hw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최근 COVID-19로 인해 전면 온라인 수업 실시하게 된 의과대학 사례에 주목하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이 어떤 자기주도적 양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 온라인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이행한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의과대학 학생들은 변화된 학습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에게 적합한 물리적 환경을 새롭게 선택하고, 교수자가 업로드한 강의 동영상의 수강 순서를 자율적으로 배치하며 수업을 이수했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학업량을 자랑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학습 일정을 자신의 학습 패턴에 맞춰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선호되는 부분 중 하나였다. 또한, 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재생과 관련한 반복, 배속, 멈춤 등의 기능, 인터넷을 사용한 정보 검색을 온라인 학습에 적극 사용하였다. 이러한 정보 검색은 때때로 학생 개인의 흥미와 관심이 있을 시 추가적인 심층 학습을 발생시켰다는 점에서, 온라인 수업은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을 넘어선 확장된 학습의 기회를 주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강의식 수업을 기반으로 한 수업 설계, 의학지식 중심의 암기식 학습 양상을 보였던 기존의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습 특성들과는 다르게, 온라인 학습 상황 속에서 자기주도적으로 변화된 상황에 적응해나가며 수업을 이행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경험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ent cases of medical schools implementing full-scale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and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medica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12 students who followed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rough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As a result, medical students adapted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selecting the best-fit learning environment for their studies, and autonomously arranging the video lectures the professors uploaded to fit their schedules. One of the most preferred aspects of this transition was that the medical students-who boast an intense academic workload-could now manage their study schedule to suit their learning patterns. Students also actively utilized the tools available on the online education system such as repeat, speed, stop, and internet searching for information. Such onlin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hile listening to online classes sometimes created additional in-depth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en their interests aligned with the course material. This means that online classes gave extended learning opportunities beyond the formal curriculum. These research findings are meaningful as they discuss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dapting to the change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by leading self-directed study in an online education system, unlike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 design and memory-based learning.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useful foundation for future improvements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귀국 대학생의 구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강예지(Ye-ji Kang),김미현(Mihyu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해외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귀국 대학생들의 구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취업을 준비한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대학생들에게 구직 경험은 단순히 취업을 하는 것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국제대학이라는 공간 내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 생활의 적응에는 실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지만, 향후 국내에서 취업을 하는 것을 더 큰 적응과 융화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의 취업 준비는 한국에서 살며 대학에 들어온 ‘일반학생’들과 자신들을 구분하고, 또 한국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스펙 요건들을 인식하고 준비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귀국 학생들은 대학생활 그 자체에 어려움을 겪는다기보다, 구직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인 한국 사회로의 적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귀국 대학생들의 구직 현실을 파악하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발전적인 아이디어를 구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job search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returned after living overseas.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regarding fiv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 preparing for employment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 returning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finding jobs meant more than merely getting employed. Returning students recognized that, while living within an international university area made adjusting to college life easier, future employment in Korea was a different matter that required more adaptation and integration. Therefore, their preparation for employment is characterized by their abilitie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general students who have lived and studied in Korea, and to recognize and prepare for diverse job specifications required by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job search experiences of returning students and to developing ideas to support them.

      • KCI등재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강예지(Ye Ji Kang),김미현(Mihyun Kim),노재희(Jaehee R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medical students who have attended the middle and high school out of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by in-depth interviewing with five students who lived and attended middle and high school abroad and entered the Korean medical school through a overseas students admission track. This study reveals that they were experiencing acade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long stay abroad, they have difficulty in reading and writing with Korean language, in which lectures are given. Language issue led to academic difficulties. They take Korean language is their personal problem and try to solve by themselves with little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wanted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They try to become a part of classmates in medical school or form a peer group among similar returning students in university. By doing so, they tr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y cultur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ulture. They get most of cheers and support primarily from family. This study help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returning college students in medical schools and developing medical school curriculum to reflect increasing diversity of students in medical schools. 본 연구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재외국민 특별전형으로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인 다섯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6월부터 8월까지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은 학업적 어려움과 정서적 어려움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학업적으로는 한국어 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특히 읽기, 어휘, 글쓰기 영역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국 학생 에 비해 학업 역량이 뒤쳐진다는 인식을 가졌고, 한국 교육방식에 낯섦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대학생은 이 같은 어려움을 개인의 문제로 감내하고 스스로 해결하는 소극적 대처 양상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초반에는 의과대학 공동체를 자 신과 분리하여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국내 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가족의 지지와 응원을 통해 위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은 점차 자기이해와 반성적 성찰, 학업과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통 해 귀속 집단에 적응하며 의과대학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해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에서의 어려움이 의과대학이라는 교육 환경 맥락 전체 속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의과 대학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보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