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황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 반포 20주년과 30주년의 의미

        강영목(Young-Mok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9 가톨릭사상 Vol.- No.58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이 반포된지 벌써 30년이 지났다. 그 가운데 20주년을 맞이하여 의미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고, 다시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결국, 오늘날 시대의 평신도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양성되어야 하고 어떠한 모습으로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권고의 핵심은 입문성사의 중요성과 이를 토대로 한 신앙을 증거하는 삶에 맞추어진다. 겉으로는 한국 천주교회의 수적인 성장이 보이는 것 같지만 그 이면에는 수많은 이들이 교회를 떠나 있는 현실을 보게 된다. 이 많은 부분은 그리스도인 양성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 대한 양성의 약화가 반복되어지는 가운데, 신앙이 삶이 아니 라 기호가 되어버리는 현상에서 반복되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결국, 사도들과 수많은 주님을 따르는 이들이 그리하였듯, 그리스도를 증거하지 않는다면 신앙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래의 평신도 그리스도인의 참된 의미와 양성에 대해 다시 근본적으로 진지한 성찰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무엇인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리고 그러한 문제가 지속되어질 때, 가장 쉽고 정확한 방법은 기본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황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이 말하는 오늘날의 평신도 그리스도인의 소명과 사명을 계속해서 이 시대에 맞게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반복된 노력 속에 그 저 시대적 현상이라 포기하는 교회의 모습이 아닌 살아있는 생명력의 교회를 계속해서 다시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thirty years since Pope John Paul II’s Apostolic Exhortation ‘CHRISTIFIDELES LAICI’ was released. In the meantime, meaningful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the twentieth anniversary of ‘CHRISTIFIDELES LAICI’, and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This Apostolic Exhortation which presents proper formation and role of the laity toda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s of initiation and on testimony of faith based on them. While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appears to be developed in terms of numbers, many people actually have left the Church. The main reason for this circumstance is that formation about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of Christian faith has been repeatedly neglected; as a result, faith has become personal taste rather than real life. As apostles and other many followers of Christ showed, our faith cannot help diminishing in the end if we do not testify Christ. In this regard, we need to have a fundamental and serious reflection on true meaning and formation of original Christian laity. When a problem occurs and continues, the easiest and correct way is to start from the basic. Therefore, the vocation and mission of the laity which Apostolic Exhortation ‘CHRISTIFIDELES LAICI’ states need to be reinterpreted continuously for this era. Through the repeated efforts, we will be able to rebuild the Church which is not abandoned in the current of the times but is filled with vitality.

      •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과 평신도 양성

        강영목(Young-Mok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18 가톨릭사상 Vol.- No.56

        양성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완성되는 결과를 의미하지 않는다. 양성은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성장해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 순간에 멈춰지지 않는다. 그러기에 시대적 상황에 맞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양성은 공동체의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오늘날, 교회는 신앙의 위기라는 말이 이제 일상화된 것처럼 느껴지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는 양성과 관련하여 더욱 더 올바르고 필요한 양성이 필요한 시대임을 감지하게 된다. 무엇보다 세상과 교회를 살아가는 평신도 양성이 긴급하고 절실한 과제임을 보게 된다. 왜냐하면 오늘날 냉담자 증가, 신자의 고령화, 주일미사 참여자의 감소, 유사종교의 득세 등 교회는 복음선포를 통한 신앙 전수라 는 본질적인 역할에서부터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평신도 양성과 관련한 교회의 가르침과 시대적 적용을 다시 살펴봄으로써, 이 시대에 부합한 지속적인 양성의 방향을 계속해서 모색해 나가야 한다. 그 중심에 1988년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이 있다.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평신도 양성이라는 주제를 다시 소환한 문헌이 바로 이 권고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 사도적 권고가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그 시작이 된 1987년 세계 주교 시노드의 역사와 내용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 결과물인 사도적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에서 평신도 양성을 다룬 5장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000년대를 맞이하면서 평신도 그리스도인에 대한 소명과 사명에 대한 신학적 논의가 다시 시작된 로마 세계 평신도 대회를 통해 평신도 양성의 방향과 발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는 이 시대의 참된 평신도 그리스도인을 위한 양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term ‘formation’ does not mean a result being completed for one aim. Formation is an ongoing process which grows according to a context, and therefore it will not be finished at one point. In this regard, proper and effective formation which reflects on context of our times is a very important work for the future of community. Today, the Church lives in an age which the expression ‘crisis of faith’ is familiarized. This circumstance reminds us of the significance of proper formation. In particular, it is a crucial and urgent task to foster lay people who are members of the Church and live in the midst of the world. In fact, the Church faces a crisis due to an increase in lapsed Catholics, an aging congregation, a decline in Sunday Mass attendance, and a rise of a pseudo-religion, and it experiences difficulties in playing its role for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examine Church teaching on formation of the laity and ought to seek a way of ongoing formation which is in accord with needs of our times. Pope John Paul II’s 1988 apostolic exhortation “CHRISTIFIDELES LAICI” can be a great help for this task.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theme of formation of the laity was resurfaced by this document. This thesis explores the background of this apostolic exhortation and history and topics of Synod of Bishops in 1987 that led to the publication of CHRISTIFIDELES LAICI. Then, this paper studies chapter five of the document which deals with formation of the laity. This thesis also examines the Congress of Catholic Laity in Rome (2000) which caused to resume a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vocation and mission of lay faithful.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find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formation of the laity. I believe that the crisis facing the church today can turn into opportunity and hope that the continuing study for formation of lay Christians contributes to create a good opportunity.

      • 사회적 거리두기와 사목

        강영목(Young-Mok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1 가톨릭사상 Vol.- No.63

        코로나 시대라는 전염병 유행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새로운 세상의 변화와 그 한계를 우리는 여실히 지켜보고 있다. 장기화되어 가는 이러한 흐름들 속에 각 개인에서부터 교회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일선 사목 현장에서 부터 그 위기와 변화의 모습에 당혹감과 두려움을 지니지 않을 수 없는 오늘날의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전통적인 사목의 개념에서 사목은 그리스도께서 하신 것처럼 인격적인 상호만남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사목의 이해는 오늘날 기술의 발달의 시대에서도 간과될 수 없는 본질적인 사목의 특성이다. 그런데, 코로나 시대의 장기화로 인해 이러한 사목의 본성의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른바 방역 차원에서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대에서 사목은 인격적인 만남과 더불어 공동체의 성격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그런데, 아무리 기술이 발달하고 시대가 개인화된다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 것은 사람은 사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의 시장경제 원리의 세상에서 코로나 전염병의 극복을 위해서는 함께 하는 연대와 협력이 아니면 어려운 위기와 현실을 맞이하게 됨을 프란치스코 교황은 회칙 『모든 형제들』을 통하여 명확히 밝혀 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서로 간의 물리적 거리두기의 간격이 실제로 사목적인 친교와 나눔마저도 상실되는 시대를 만들어 가서는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목적인 시각들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제 예전으로 돌아가는 시대는 오지 않는다. 또 다른 관점과 변화, 쇄신을 위한 시대에 대한 고민을 교회공동체는 하여야 하고 또 직면해 있다. 개별적 차원의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강화되어야 하지만, 이것이 공동체를 지향하는 변화의 모습으로 이루어지는 통합적 사목의 의식이 요청된다. 동시에 기존의 고정된 사목자의 역할이 아니라, 기다리지 않고 찾아나서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점점 더 개인화되는 선택적 신앙이 되지 않기 위한 우선적인 노력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인간적 거리두기로 전락하여 본연의 사목의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인간적 거리두기를 좁히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예측할 수 없는 변화의 코로나 시기는 위기이지만 동시에 기회임을 생각하면서 시대적 징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려는 시도와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s we live in the era of the epidemic of the COVID-19, we are clearly watching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the new world. Amid these prolonged trends, front-line blind spots, from individuals to church communities, are facing a reality that cannot help but be embarrassed and afraid of the crisis and change. In the traditional concept, pastoral takes place in personal mu tual encounters, as Christ did. The understanding of pastoral i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rivate items that cannot be overlooked even in today’s era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However, due to the prolonged covid 19,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of the pastoral can be applied. In the so-called era of social distancing at the level of quarantine, we think about whether the pastoral can continue to maintain the character of the community along with personal encounters. However, no matter how advanced technology is and the times become personalized, what does not change is that people need people. In particular, in the world of market economy principles, Pope Francis clarifies through the encyclical Fratelli Tutti that we will face difficult crises and realities unless we are together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to overcome the Corona epidemic. In this context, the gap between physical distancing between each other should not create an era in which even private friendship and sharing are actually lost. Therefore, we can reconsider the private views of the post-COVID-19 era. The era of returning to the past does not come. The church community must and is facing another perspective, change, and the era for reform. A sense of integrated pastoralization is required so that socio-cultural fa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can be strengthened and at the same time in the form of change aimed at the community. In addition,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find it without waiting, not the role of the existing fixed pastoral. This can be a priority effort not to become an increasingly personalized selective belief. In addition, conscious efforts to narrow human distancing should be continued so that the meaning of the original private item does not fade as social distancing has degenerated into human distancing. Attempts and effort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signs of the times, thinking that the COVID-19 period of unpredictable change is a crisis, but at the same time, it is an opportunity, should continue.

      • 그리스도인 양성의 통일성

        강영목(Young-Mok KANG)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0 가톨릭사상 Vol.- No.60

        그리스도인 양성은 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평신도 그리스도인까지 포함한 모든 교회 구성원이 참여하는 교회 공동체의 모습을 이루어가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안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양성을 통해서만 신앙을 강화하며, 신앙을 전파할 수 있는 교회의 근본 사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오늘날까지 그리스도인의 양성에 대한 강조와 방향 설정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양성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 우선적이면서도 중요한 것은 보편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적용에 대한 부분일 것이다. 무엇보다 교회를 이루는 모든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양성의 방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 재점화는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권고들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평신도 그리스도인-성직자-수도자로 이어지는 그리스도인에 대한 양성의 인간적, 신학적, 사목적 다양한 측면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리스도인의 양성의 공통된 요소들을 발견하게 된다. 곧, 교회 안의 신분과 역할의 차이에서의 양성의 특수성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향한 자신의 삶을 모으는 삶의 일치의 통일성을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요한 바오로 2세의 권고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성의 본질적 고유성이 서로 유기적으로 모든 교회 구성원들 안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그리스도인의 양성은 어느 한 부분의 양성이 아닌, 전체적인 통합적 맥락에서 양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21세기를 시작하면서 이런한 통합적 양성의 맥락은 계속해서 선임 교황의 가르침 안에 이어져 오고 있다. 모든 그리스도인의 양성의 공통된 요소들을 통해, 양성의 주체와 대상은 어느 누구만의 몫이 아닌 모든 그리스도인이며, 상호간의 연대와 협력에서만 진정한 통합적 양성이 가능한 것임을 다시 발견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앞으로의 교회가 계속해서 강조하고 발전시켜 가야 할 양성의 핵심이며, 현대의 모든 그리스도인의 소명이자 사명임을 기억해야 한다. Christian 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shaping the church community, which includes all church members, including laymen and Christians, after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is is because only through formation can we strengthen faith and realize the fundamental mission of the church that can spread faith. Therefore, the emphasis and directional setting on Christian Forma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o this day. Above all, the priority in setting the right direction of the formation will be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universal church guidance. The re-ignition of specific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specific formation for all who make up the church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postolic expositions of St. John Paul II. Common elements of the positive of the Christ are found through discussions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human, theological and theological and the mission of the positive towards the Christians from lay people, to clergy and religious person. In other words, there exists a speciality of forma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status and role in the church. Nevertheless every Christian has the unity of life that collects his own life toward Chris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s view with John Paul II s apostolic exhorta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ssential uniqueness of the formation is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within all church members. In short, Christian Formation must be nurtured in the overall integrated context, not in any part of that.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is context of integrated formation has continued within the teachings of the senior pope. Through the common elements of Christian Formation, the main agents and subjects of formation are all Christians, not just anyone s share, and integrated nourishment is possible only in mutual solidarity and cooperation.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is is the core of the formation that future churches must continue to emphasize and develop, and the calling and mission of all Christians of today.

      • 본당 사목자와 사목신학

        강영목(Kang Youngmo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49 No.1

        고유한 교회의 사목의 원천지인 본당 공동체에 대한 사목은 예나 지금이나 그 중요성을 늘 지니고 있다. 지역 공동체 안의 친교와 참여를 통한 일치, 그리고 나아가 하느님을 모르는 이들에게 말로써 삶으로써 신앙을 증거하는 구심점으로, 본당 사목은 늘 교회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나아가 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면서 본당 사목은 내외적 다양한 복합적인 문제들을 마주하고 있고, 이는 사목신학적 관점에서도 계속해서 지적되고 있다. 오늘날 본당 사목이 직면한 고령화 사회, 개인의 삶의 가치에서 신앙이 우선시되지 않는 사회적 풍조, 그리고 무엇보다 본당 사목의 책임자인 사목자의 의지와 관련된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또 개선되는 과정이 더디게 흘러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특별히 성직주의로 인한 본당 공동체의 참여와 연대의 구조적 발전의 한계, 그리고 교회는 선교를 지향하는 근본적인 속성을 간과한 울타리 안의 공동체, 또한 점점 더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는 냉담 교우들의 증가는 본당 사목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함께 계속해서 원인과 대처를 향한 노력과 방향 설정의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간격을 좁혀 갈 수 있음을 보게 한다. 이에 현대 사회의 사목적인 교회의 가르침에 부합한 철저한 자기실현과 반성의 과정이 다시금 반복되어야 하고, 이러한 사목신학적 사고를 통한 사목자와 공동체 모두의 노력이 절실한 때이다. 위기가 곧 기회이듯, 현재의 일선 본당사목의 가장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다시금 우리의 현실을 제대로 돌아보고, 본당 사목의 교회 삶의 근본 터전이 생명력을 잃어가지 않도록, 더 나은 사목신학적 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Parish pastoral, intrinsic source of the Church pastoral, keeps its importance in all ages. Parish pastoral is always the basis of the Church as center pivot, as the unity through fellowship and participation within local communities, and moreover to witness the faith as words and acts to the people who don’t know God.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also living in the Corona Pandemic era, parish pastoral faces various internal/external complicated problems, and this is pointed out continuously in pastoral theology point of view. These days, parish pastoral faces the aging society, social tendency which faith is not prioritized in personal life value, and even more parish priest’s own various problems related his will occur steadily, but the process of its improvement flows slowly. Especially, the limitation of structure development of paris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due to hierarchism, the community within the fence where overlooked its essential attribute of the direct mission, and the increase of non-practicing believers can narrow the space through setting direction and working with efforts for cause and reaction and its work come true with the theological reflection on parish pastoral community participation. So, thorough the process of thorough self-realization and self-reflection in accord with the pastoral Church’s teaching in modern society should be repeated, it is urgently needed the efforts of pastor and all community through such pastoral theology view. Like “Crisis is opportunity”, living in the most difficult period to front parish pastoral, it is time to look back right current reality, not to lose vitality, which is the foundation of parish life, and to seek constantly more forward a resolution of better direction of pastoral theology.

      • KCI등재
      • KCI등재

        무지 외반증에서 Chevron 술식과 Wilson 술식의 결과 비교

        박성진,이인주,최남용,한석구,주인탁,강영목,Park, Seong-Jin,Lee, In-Ju,Choi, Nam-Yong,Han, Suk-Gu,Choo, In-Tak,Kang, Yong-Mo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99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 No.1

        In a retrospective study, we compared the results of 24 cases of Chevron osteotomies with those of 17cases of Wilsons osteotomies in the treatment of hallux valgus. We used FFSS(Fore Foot Scoring System) and radiographic finding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perations in terms of pain relief and appearance. All patients in the Chevron and Wilsons osteotomy group had good functional result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foot. We conclude Wilsons osteotomy is useful method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 전방 십자 인대 수술 후 합병된 슬관절 강직 - 원인분석 및 치료 -

        최남용,이인주,최문구,고해석,김승기,박성진,한석구,강영목,Choi, Nam Yong,Lee, In Ju,Choi, Moon Ku,Ko, Hae Sok,Kim, Seung Ki,Park, Sung Jin,Han, Suk Koo,Kang, Young Mok 대한관절경학회 199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2 No.1

        Between March 1992 and December 1995 at St. Paul's, Holy Family, St. Vincent and Eui Jung Bu St. Mary Hospitals Catholic University, two hundred and eighty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central one-third bone-patellar tendon-bone autograft. Nine of these patients had limitation of motion(LOM) defined as a knee flexion contracture greater than 10o or less than 125o of passive knee flexion.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LOM after ACL reconstruction as well as the results after passive manipulation or arthroscopic adhesiolysis under anesthesia for L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ut of nine patients, initially three had isolated ACL injuries and six had combined injuries. Seven of nine cases were perfomed by ACL reconstruction within four weeks and two were performed after four weeks following injury. 2. Treatment for LOM after ACL reconstruction was done after 5.5 months on average. 3. Arthroscopic adhesiolysis was done in 5 cases. There were fibrous adhesions at suprapatellar pouch and femoral intercondylar notch in all cases, respectively, infrapatellar fat pad in 3 cases and medial para patellar gutter in 2 cases. Two patients had a fibrous nodule, "cyclops" lesion, which formed anterior to the ACL graft. 4. Range of motion and Lysholm knee score were much improved following passive manipulation or arthroscopic adhesiolysis under anesthesia for LOM.

      • KCI등재

        족관절 상비골근지대 견열손상의 수술적 치료

        최남용,박성진,이인주,한석구,주인탁,강영목 대한골절학회 1998 대한골절학회지 Vol.11 No.3

        The superior peroneal retinacular injury in ankle is often diagnosed as an ankle sprain and treated conservatively because of normal bony contour in type 1,2 injury according to Eckert's classification and small bony fragment with early union, evenly displaced in type 3. But its complications such as peroneal tendinitis and recurrent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peroneal tendons sometimes develop late. Compared to peroneal tendinitis, the surgical treatment method for recurrent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peroneal tendons is known superor to conservative method in results. And many reconstructive methods have been reported. In spite of their good results, harmfulness to normal structures, recurrences and technical difficulties may be a problem. So we perfomed 10 cases of acute surgical repair in superior peroneal retinacular injuries in ankle from March 1993 to February 1997 and prospectively analysed thei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ith complications. Preoperative radiological diagnosis was done by plain films, peroneal tenography with computed tomography and also postoperatively evaluated with plain films and peroneal tenography. 1. The most common cause of injury was sports(6 cases) including ski injury(4 cases) and average age of the patient was 29(17-56) years. 2. 4 cases of bony avulsion(type 3) were fixed with mini-screws and mean duration of bony union was 3.6 months. 3. The incidental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peroneal tendons was not found intra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4. All patients are able to participate in active exercise postoperatively except one patient who complains of lateral ankle discomfort due to peroneal tendinitis. In conclusion, acute surgical repair of superior peroneal retinacular injury in ankle is a recommended method to prevent it s complications such as peroneal tendinitis and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peroneal tendons especially, in young and active pati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